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역

최근 3년간 계절용 기기 화재 원인 1위는?

2017.10.31 .
목록

최근 3년간 계절용 기기 화재 원인 1위는?

  • 겨울철 화재
  • 겨울철 화재
  • 겨울철 화재
  • 겨울철 화재
  • 겨울철 화재
  • 겨울철 화재
  • 겨울철 화재
  • 겨울철 화재
  • 겨울철 화재
  • 겨울철 화재
  • 겨울철 화재
  • 겨울철 화재

갑자기 추워진 날씨 덕에 두꺼운 옷 꺼내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이제 화재도 조심해야 하는 계절입니다.

지난 23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동절기인 11월부터 2월까지 최근 3년간 동절기 화재 피해 유형에 대한 통계를 분석해 발표했는데요. 계절용 기기별 화재 945건 중 전기장판 등 494건(52%)이 동절기에 발생했습니다.

동절기에 발생한 계절용 기기 화재 중 동파방지용 열선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전기장판, 전기히터, 난방기, 기타 계절용 기기 등의 순이었습니다.

카드뉴스를 통해 계절용 기기 화재 예방 수칙을 확인하고, 사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사전점검을 실시하는 등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1. 동파방지용 열선

열선은 동파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합니다. 하지만, 잘못 사용하면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안전수칙’을 꼭 지켜야 합니다. 첫 번째, 열선 끝부분은 완벽하게 마감 처리하세요. 마감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물이 침투할 수 있어 화재위험이 있어요. 두 번째, 보온재 및 옷가지 등 열선 위에 추가사용 금지! 보온재, 옷가지 등을 사용하면 열이 안에 갇혀 화재가 발생할 수 있어요.

2. 전기장판

안에 쏙 들어가 있으면 귤이 생각나는 전기장판. 이 역시 화재 예방을 위해 ‘안전수칙’을 꼭 지켜야 합니다. 첫 번째, 사용 전 먼지 제거 및 열선 부위를 확인하세요. 열선 부위가 끊어지면 화재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먼지에 불이 붙을 수 있어요. 두 번째, 보관할 때 돌돌 말거나, 접을 경우 맨 위에 보관하세요. 전기장판을 접은 후 그 위에 다른 물건을 올려두면 열선이 끊어져 불이 날 수 있습니다.

3. 라텍스와 전기온열 침구제품 혼용

보온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라텍스 침구류와 전기장판을 같이 사용하면 화재에 매우 취약합니다. 라텍스의 경우 열이 상당히 쉽게 쌓여요. 따라서 전기장판과 같이 사용하게 되면 라텍스 안에 열이 계속해서 쌓이고, 배출이 되지 않아 불이 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문어발식 전기콘센트는 과부하가 걸리기 쉽게 때문에 자제해야 합니다. 쓰지 않는 콘센트는 꼭 뽑아 주세요!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역사 속 신도시와 행복도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