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병희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교수·전 한국PR학회 회장 |
한 해가 가고 또 다른 새해가 오는 거지만 연말연시를 앞두면 송년 분위기와는 별도로 사라질까봐 아쉬운 것들이 있다. 연하엽서, 크리스마스 씰, 나눔의 손길. 연말이면 떠오르는 사라질까봐 아쉬운 것들의 목록이다.
12월 중순이 지났지만 연하엽서를 고르려고 우체국이나 문구점을 찾는 사람들을 보기 어렵다. 문구점에서 종이로 된 연하엽서를 사는 풍경을 영영 보지 못하고 영원히 사라질까봐 아쉽다.
아무리 스마트 미디어 시대라 하더라도 스마트폰으로 문자 몇 줄을 보내고, 그것도 단체 문자로 보내는 것을, 정성스런 마음을 담은 송년인사나 새해 인사라고 할 수 있을까? 연하엽서가 아닌 디지털 엽서를 보낸다고 해서 탓할 일은 못 된다.
하지만 엽서를 고르고 한 땀 한 땀 정성을 다해 인사말을 써나가던 그 고운 마음까지 똑 같다고 할 수는 없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송년인사나 신년인사를 전하면 물론 편리하다. 그렇지만 거기까지다.
이번 연말에는 우체국에 들러 연하엽서를 골라 한 줄이라도 좋으니 자신만의 인사말을 써보자. 세상이 스마트해질수록 아날로그적 온기가 더 필요하다. 그렇게 쓴 연하엽서를 받는 분은 스마트폰의 문자 메시지를 받을 때보다 한결 소중한 새해인사로 느끼지 않겠는가?
![]() |
문자메시지나 그것도 귀찮아 이모티콘으로 크리스마스 인사를 하는 시대다. 간편하지만 손품과 발품을 팔아 만들어진 정(情)이 부족하다. 세상이 스마트해질수록 아날로그적 따스함이 필요하다. 사진은 지난 2002년 교보문고 크리스마스 카드 진열대 모습.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이제, 크리스마스 씰(seal)도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사라질까봐 아쉽다. 1960~1970년대에는 크리스마스 무렵이면 연례행사처럼 크리스마스 씰을 사고는 했었다.
지금의 40대 이상 분들은 학창 시절에 크리스마스카드나 연하장에 우표와 씰을 나란히 붙여 보내곤 했었다.
크리스마스 씰은 덴마크 코펜하겐에 있는 작은 마을의 우체국장이던 아이날홀벨이 1904년에 처음 개발했으니, 올해로 113살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한결핵협회가 창립된 1953년부터 결핵 환자의 치료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크리스마스 씰 판매 캠페인을 전개했다.
아직도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결핵 환자 1위의 국가다. 10만 명당 79명의 결핵 환자가 있다고 한다.
그런데도 계속해서 크리스마스 씰 판매가 급감하고 있으며, 심지어 크리스마스 씰이 무엇인지 모르는 어린 학생들도 많다.
지난 1970년대에는 학교 선생님이 인솔해서 크리스마스 씰을 단체로 구입하기도 했었다. 크리스마스 씰을 사려고 우체국 앞에 줄을 서는 풍경도 자주 목도할 수 있었다.
일선 학교에서는 크리스마스 씰 캠페인(loveseal.knta.or.kr)을 다시 한 번 전개했으면 싶다. 결핵 환자들에게 사랑을 전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쉽지 않겠는가?
더욱이 어려운 경제 여건 탓인지 사랑의 온정을 나누는 기부금도 줄고 있다고 한다. 기부 문화가 서서히 사라질까봐 아쉽다.
2015년의 세계기부지수(World Giving Index)에서 우리나라는 전 세계 145개 국가 중 64위에 머물렀다. 우리나라(GDP 13위)에 비해 경제 규모가 작은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같은 나라보다 기부 지수가 낮다고 하니, 우리들의 부끄러운 민낯이다.
이런 상황에서 연예인들이 전국재해구호협회(이하 희망브리지)를 통해 지난 11월에 일어난 서문시장 화재사고로 피해를 입은 상인들에게 기부금을 전달했다는 훈훈한 소식도 들려오니 희망이 없는 것만은 아니다.
‘나눔’이라는 말이 기부보다 상위 개념으로 보편화되고 있지만, 정작 기부 문화는 보편적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연말연시에 서로서로 나눔을 실천함으로써 ‘사랑의 온도탑’ 수은주가 더 올라가도록 해야 한다.
삶의 지혜가 담긴 동양 고전 ‘채근담(菜根譚)’에는 이런 말이 있다. “아무리 큰돈이라도 사람에게 일시의 기쁨조차 주지 못할 때가 있고, 단 한 공기의 밥일지라도 사람에게 일생의 은혜로 감동을 줄 때도 있다.” 단 한 공기의 밥을 비롯해 나눔을 실천하는 방법이 우리 주변에 널려있다.
올 연말에는 지갑을 움켜쥐기보다 지갑을 열자. 나눌수록 기쁨은 더 커지지 않겠는가?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136조(벌칙)
-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 및 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4차 산업혁명의 주인은 현재의 청년입니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