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매일 ‘푸른 하늘의 날’ 처럼

안승호 수도권대기환경청 기획과장

2017.04.28 안승호 수도권대기환경청 기획과장
글자크기 설정
목록

안승호 수도권대기환경청 기획과장
안승호 수도권대기환경청 기획과장
요즘 들어 우리가족의 아침 풍경이 조금 달라졌다. 아침뉴스의 일기예보를 보면서 가방에 우산을 넣거나, 깜박했던 외투를 챙기기도 했는데, 최근에는 하나 더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다. 바로 미세먼지 예보다.

아침마다 TV나 휴대폰에서 예보등급이나 현재 농도를 확인한 후 등급이 나쁘면 황사마스크를 챙기고 좋을 경우는 반려견을 앞세워 산책을 나서기도 한다.

얼마 전 활짝 핀 벚꽃을 보러 모처럼 가족 나들이를 계획했다가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고 취소한 적이 있었다.

아쉬운 마음이 컸지만 며칠 후 낮은 미세먼지 수치와 함께 새파란 하늘이 선물처럼 나타나 다행히 늦은 봄을 만끽할 수 있었다. 신선한 공기를 가득 마실 수 있다는 사실이 새삼 고맙고 소중하게 느껴졌다.

건강한 사람이라면 물이나 음식이 없어도 하루 쯤은 버틸 수 있지만 공기가 없으면 1분 이상 버티기가 힘들다. 관록 있는 해녀들도 3분 정도가 최대라고 한다.

이렇듯 공기는 인간의 생존에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그동안 흔하고 당연했던 깨끗한 공기가 우리의 삶의 질 향상에 얼마나 중요한지, 최근 불거진 미세먼지 이슈로 더욱 절실하게 느끼고 있다.

수도권대기환경청은 이러한 대기환경의 중요성을 되새기기 위해 2012년부터 매년 5월 2일을 ‘푸른 하늘의 날’로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맑고 신선한 공기를 마시고 항상 푸른 하늘을 볼 수 있는 건강한 대기환경을 조성하는데 모두가 함께 참여하자는 취지다.

올해는 바로 전 토요일인 4월 29일,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서울숲공원에서 ‘푸른 하늘의 날’ 기념 가족단위 행사를 연다.

대한민국 어린이나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그림, 글짓기 대회를 마련해 맑은 공기와 푸른 하늘의 소중함에 대한 생각의 나래를 도화지와 원고지 위에 맘껏 펼칠 수 있도록 했다. 우수한 작품은 환경부 장관상은 물론 장학금도 수여된다.

‘푸른 하늘의 날’ 기념행사를 즐기는 시민들.
‘푸른 하늘의 날’ 기념행사를 즐기는 시민들.

그림·글짓기대회에 참가하지 않아도 행사장에 방문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활동도 준비했다.

두더지 게임을 대기오염습관으로 이미지화 한 ‘대기오염습관 고쳐 잡기’, 저탄소생활수칙이 적힌 막대를 이용한 ‘대기환경보호 젠가’, ‘재활용품 공작소’ 등 총 5종의 미션 프로그램과 바람개비 만들기, 민속놀이, 한국 자생생물 세밀화 미니 전시회 등 다채로운 부대 프로그램까지 온 가족이 함께 즐기면서 체험할 수 있도록 마련했다.

맑은 공기와 푸른 하늘을 만들고 지키는 과제는 우리 모두의 실천에 달려 있다. 정부에서 시행 중인 복잡하고 어려운 정책들도 중요하지만 일상생활 속에서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생활습관부터 몸에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낮은 층은 엘리베이터보다 계단을 이용하고 가까운 거리는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먼 거리는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지만 불가피하게 자동차를 이용할 경우에는 공회전을 하지 않고 급출발·급가속·급정거를 하지 않는 친환경운전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적정 실내온도 유지, 에너지 아껴쓰기, 쓰레기 태우지 않기, 나무 심고 가꾸기, 저탄소제품 사용하기 등도 근본적으로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다.

4월 29일부터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정한 봄 여행주간이 시작된다고 한다. 가족과 함께 야외활동을 하기 더없이 좋은 시기이다. 29일 하루 쯤은 가까운 서울숲 공원으로 가족과 함께 나와 푸른 하늘 아래에서 맑은 공기의 소중함과 이를 지키기 위해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져보길 바란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정책칼럼, 이슈인사이트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전재를 원할 경우 필자의 허락을 직접 받아야 하며, 무단 이용 시
저작권법 제136조
제136조(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외부 정책칼럼, 이슈인사이트 내용은 기고자 개인의 견해로 정부의 정책 방향과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4월 이후 한반도 정세와 우리의 대응방향은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