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도로에선 안전벨트, 바다에선 구명조끼

2019.07.03 조현배 해양경찰청장
목록

조현배 해양경찰청장
조현배 해양경찰청장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부서지는 파도소리, 여름철이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바닷가의 모습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바다는 모든 것을 품을 듯 조용하고 평온해 보이지만 날카로운 발톱을 숨기고 있는 사자와도 같은 위험한 존재이다.

갑작스런 헝가리 유람선 사고 소식에 구조상황과 사고영상을 보는 내내 제발 구명조끼를 입고 있었기를 바라며 구명조끼 착용여부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러나 구조된 관광객의 인터뷰에서 “유람선 탑승 후 구명조끼 비치 장소 및 착용에 대한 안내를 받지 못했다”는 소식을 듣고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었다.

다가오는 물놀이 계절을 앞두고 과연 우리 국민들은 구명조끼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또 얼마나 잘 착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이 앞선다.

해양 레저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지난 2017년 통계를 보면 유람선, 낚싯배, 해수욕장, 수상레저 등 바다를 이용하는 누적 인구는 1억 2000만명에 이르고, 낚싯배를 이용하는 국민도 410만명에 이르고 있다. 이는 등산을 즐기는 국민보다 많은 수치라고 한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 국민의 여가활동이 바다로 확대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체험과 생활의 여유를 느끼며 재충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 레저 활동 중 가장 기본적으로 지켜야 하는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음으로써 소중한 생명이 위협받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 2월 11일 제주지방해양경찰청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현장 간담회에 참석한 조현배 해양경찰청장 등 해경 관계자들이 구명조끼를 입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지난 2월 11일 제주지방해양경찰청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현장 간담회에 참석한 조현배 해양경찰청장 등 해경 관계자들이 구명조끼를 입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해양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연안사고 사망자는 370여명으로, 그 중 90% 이상을 차지하는 337명이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특히 여름철 물놀이 계절에 전체 사고의 46%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사망자 가운데 가정과 사회의 중추세대인 30~60대가 63%를 차지하고 있다.

가정은 물론 우리 사회 중심세대의 사망은 직·간접적으로 우리 사회에 많은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연안사고 사망자의 90%가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았다는 통계를 볼 때 ‘만약 구명조끼를 착용했다면 많은 소중한 생명이 구조될 수 있었을 텐데’라는 아쉬운 마음을 감출 수 없다.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는 것은 ‘귀찮은 것’이거나 ‘나는 수영을 잘 하니까… 설마 사고가 날까’라는 안전의식 부재가 주요한 원인으로 추정된다. 

구명조끼는 해상 사고 시 부력을 유지해 안정감과 호흡을 유지하게 하며 바다에서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 한편 구조기관에서 구조할 수 있는 시간과 위치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생명을 구하는 구명조끼에 대한 인식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부경대학교에서 발표한 2018년 우리 국민의 바다에 대한 친숙 지수(76.2)는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교육지수(42.7)와 안전지수(50.8)는 낮게 나타나고 있다. 바다에서의 안전의식이 향상되고 문화로 정착되기에는 아직 풀어야 할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고 할 것이다.

해양경찰청은 지난 6월 8일 한강 뚝섬공원에서 ‘해양안전문화대전’을 주최해 구명조끼 입고 걷기 대회를 통해 많은 시민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명조끼 착용의 중요성을 홍보하는 등 국민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해 안전문화 확산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올해를 구명조끼 착용의 원년으로 삼아 ‘범국민 구명조끼 입기 실천 운동’을 전국 지방해양경찰청 및 해양경찰서를 중심으로 지자체와 합동으로 실시하고 있다.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정부’를 만들기 위해 대통령을 비롯한 전 부처가 국민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국민 개개인의 안전을 정부가 모두 챙기는 것은 여러가지 요인으로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바다에서의 안전을 해양경찰이 담당하고 있지만 바다 환경과 인적, 물적 제한으로 모든 사고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선진국에서는 평상시 안전을 생활화하고 ‘개인의 안전은 개인이 스스로 지킨다’는 시민의식을 기본으로 안전에 대응하고 있다. 사고 현장에서 개인의 기본적인 안전을 확보한 이후에 신속한 정부의 구조를 기다릴 때 더 많은 생명이 보호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구명조끼는 바다에서 사고가 발생할 때 개인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가장 필요한 요소이다.

안전한 바다는 일부 공공기관만의 노력만으로 이루어 질 수 없다. 국민 모두의 인식 변화와 참여를 통해 안전 문화로 정착되었을 때 더욱 더 안전하고 즐거운 바다가 만들어 질 것이라고 믿는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우리 아이의 ‘강점지능’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