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막걸리는 와인이 아니다”

조 맥퍼슨(Joe McPherson) 한식블로그 ‘젠김치’ 운영자

2011.03.03 조 맥퍼슨(Joe McPherson) 한식블로그 ‘젠김치’ 운영자
글자크기 설정
목록
1
언어의 힘은 강력하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신중하게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언어를 경솔하게 사용하면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언어가 어떻게 마케팅을 돕는지 또는 망가뜨리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있다. 바로 막걸리 홍보에 관한 얘기이다.

처음에 막걸리가 유행하기 시작했을 때 한국음식 홍보업무를 담당하고 있던 기관들은 이것을 놀랍게 받아들였다. 그 때까지 이들은 최고급 한국 요리를 집중적으로 홍보하고 있었던 반면, 평범하지만 맛있는 음료인 막걸리에 대해서는 거의 신경을 쓰지 않고 있었다.

이들은 한국 음식을 비싸고 화려한 외식 체험으로 홍보하는 것으로 방향을 설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막걸리가 인기를 얻게 된 진짜 이유에 대해 알려고 하지 않았고, 자신들이 이미 설정한 좁은 틀 안으로 막걸리를 밀어넣었다. 이들은 막걸리를 ‘세련된 어떤 것’으로 만들려고 했다.

막걸리의 매력은 무엇보다 ‘수수함’에 있다. 막걸리는 원래 농부들이 주로 마시던 술이다. 또 소박하고 건강에도 좋으며, 낡아빠진 그릇으로 마셔야 제 맛이다. 막걸리는 ‘와인’이 아닌 것이다. 와인은 과일로만 만들 수 있는데, 막걸리는 곡물로 만든다. 와인은 즙을 짜서 숙성시켜서 만드는데, 막걸리는 담가서 만들고 신선할 때 마셔야 한다. 막걸리는 와인보다는 오히려 맥주와 공통점이 더 많다. 막걸리는 ‘쌀맥주(rice beer 또는 rice ale)’이지 ‘쌀와인(rice wine)’이 아니다. 막걸리를 와인잔과 와인용 유리병에 담아 와인처럼 대하는 것은 사람들을 광대처럼 보이게 할 뿐이다.

막걸리 홍보 기관들은 언제 어디서나 막걸리를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도 별로 하지 않았다. 막걸리는 유통기한이 짧아서 먼 곳으로 수출하기가 어렵다. 막걸리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서는 북미와 유럽에 막걸리 양조 공장을 세워야 한다. 그런데, 막걸리 홍보 기관들은 이런 고민 대신에 막걸리 이름에 대해 걱정했다. 처음에 이들은 막걸리를 알파벳으로 어떻게 표기할 것인지에 대해 걱정했다. ‘Makkoli’가 맞는지, 아니면 ‘Makgeolli’가 맞는지, 또 아니면 ‘McGully’가 맞는지.

막걸리를 알파벳으로 어떻게 표기하는가 하는 것은 의미는 있지만 다른 측면들과 비교할 때 그렇게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나는 한국에서 중국음식점들이 ‘짜장면’이라고도 쓰고 ‘자장면’이라고도 쓰지만 표기방식에 관계 없이 사람들이 그것을 찾는 것을 보아왔다.

막걸리 홍보 캠페인에서 가장 이해가 되지 않았던 부분은 막걸리 홍보 기관들이 막걸리의 영어식 이름을 ‘Drunken Rice'라고 정하려고 했을 때였다. 그건 정말 우스꽝스럽고 창피한 일이었다. 그렇게 이름짓자는 아이디어는 곧 폐기되었지만, 상당한 수준의 자원이 그런 어리석은 일에 쓰이고 있고 실제로 막걸리를 해외에 널리 알리는 데에는 쓰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

막걸리 열풍이 시작된 지 몇 년이 흘렀다. 막걸리 열풍은 사실상 가라앉기 시작했다. 지금은 그 전 만큼 해외에서 인기가 있지 않다. 막걸리 홍보에 쓰였던 그 돈, 과연 효과가 있었을까?

(원문)

Makkoli is not a ‘wine’

Words are powerful. That’s why we must be careful with them. When used carelessly words can cause great damage. The promotion of 막걸리 (makkoli) is a good example of how words enhance and detract a marketing campaign.

When makkoli started to become trendy, it caught the big Korean food promoters by surprise. They had been concentrating so much on high end cuisine that they neglected this common but tasty beverage.

Since they were set on promoting Korean food as an expensive snobby dining experience, they ignored the real reasons why makkoli became popular and forced it into their narrow mindset. They wanted to make makkoli a sophisticated. In English, we have a saying―“Putting lipstick on a pig.” That’s what they were trying to do.

The attraction of makkoli is its unpretentiousness. It’s a drink that farmers enjoyed. It’s rustic and wholesome and is best drunk out of a beaten up tin pot. It’s not a “wine.” Wine can only be made from fruit. Makkoli is made from a grain. Wine is pressed and aged. Makkoli is brewed and must be drunk while young.

It has more in common with beer than it does wine, and that’s perfectly fine. It’s a “rice beer,” or rather a “rice ale.” It’s not a “rice wine.” Treating makkoli as a wine by putting it into wine glasses and decanters just makes people look like clowns.

The promoters of makkoli haven’t made much real effort to make it available. Makkoli expires quickly, so it’s hard to export very far. Makkoli breweries should be built in North America and Europe in order to become successful. Instead, the promoters worried about its name. First they fretted over how to spell it in Roman characters. Makkoli? Makgeolli? McGully?

Spelling, while significant, is not that important compared to other aspects. In Korea, I’ve seen Chinese restaurants that have 짜짱면 and 자장면, and people want it no matter how it’s spelled.

The campaign hit its strangest point when they tried to come up with an English name for makkoli, settling for the name “Drunken Rice.” That was hilarious and embarrassing. This idea was quickly killed, but it’s sad that so many resources were devoted to this moronic exercise rather than going towards actually getting makkoli overseas.

Years have passed since the makkoli craze started. It’s actually started to die down. And it’s no more popular overseas than it was before. So was all that marketing money worth it?

조 맥퍼슨(Joe McPherson)은?

조 맥퍼슨(Joe McPherson)은 한국음식을 주제로 한 영문 블로그 ‘젠김치(www,zenkimchi.com)’을 운영 중인 외국인 블로거다. 미국인으로 지난해 10월 한국인 아내와 결혼했으며, 곱창과 돼지껍데기를 즐긴다. 2004년부터 운영하기 시작한 ‘젠김치’는 하루 최고 1만8000번의 페이지뷰를 기록하는 파워블로그. 미국, 호주 등 영어권 국가뿐 아니라 프랑스, 독일, 심지어 아프리카 국가에서도 이 블로그를 찾고 있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고, 칼럼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전재를 원할 경우 필자의 허락을 직접 받아야 하며, 무단 이용 시
저작권법 제136조
제136조(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누에의 허물벗기에서 변화를 배우자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