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로 이런 것이 영리하고 똑똑한 홍보 방식의 예다. 이 대담한 홍보 영상은 피자가 한국에서 발명됐다는 터무니 없는 주장으로 일단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또한 이 영상은 한국사회와 한국인들을 잘 알고 있는 외국인들이 결코 불가능할 것이라고 여겼던 일을 해내기도 했다. 바로 한국인들도 자기 자신을 가지고 농담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다. 이 홍보 영상이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자기 자신을 우스꽝스럽게 만듦으로써 보는 이들로 하여금 한국을 더 존경하게 만드는 것이다. ‘해학을 동반한 겸손’은 오래 가는 법이다.
![]() |
유튜브에 올라온 3분44초 분량의 ‘피자의 진짜 기원’ 영상 캡처 |
학문적으로 살펴보면 ‘유머(humor)’는 과격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과격한 유머는 외부에서 웃음의 대상을 찾는다. 즉 타인을 비하함으로써 웃음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아직 많은 이견이 존재하긴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과격적인 유머가 훨씬 고차원적이라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 비과격적인 유머의 경우 관중들이 훨씬 쉽게 코미디언과 유대감을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피자의 새로운 기원을 주장하는 이 영상을 접한 네티즌들의 반응을 보면 바로 이러한 비과격적인 유머 요소들이 이 홍보 영상의 성공을 이끈 주된 요인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동안 외국인들은 웃음기 없이 자기 자랑만 늘어놓던 -한국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무엇이 얼마나 더 훌륭한지에 대해서만 반복했던 무미건조한- 한국 홍보 캠페인들에 너무 익숙해져서 이렇게 정교하고 허풍스러운 유머가 가득한 홍보 영상에 큰 흥미와 신선함을 느꼈던 것이다.
이 피자 회사가 이 새로운 홍보 방식을 택함으로써 얼마나 많은 돈을 절약했는지도 생각해보자. 몇 백만 달러를 뉴욕타임즈나 CNN 광고에 쏟아 붓고도 끊임없는 혹평만을 들어야 했던 기존의 홍보 캠페인들에 비해 이 홍보 영상은 영상 제작비와 웹사이트 업로드 비용만으로도 다른 어떤 한국의 한식 캠페인들보다 더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몇몇 한국인들은 이 홍보 영상이 혹시나 ‘한국에 대한 나쁜 인상을 심어주진 않을까’ 하는 걱정을 했다고 한다. 그런 사람들을 안심시켜 주기 위해 ‘외국인들은 바보가 아니다’라는 말을 전해주고 싶다. 외국인들도 그것이 농담이라는 것쯤은 충분히 알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실 이 영상은 한국이라는 나라를 완전 쿨(cool)해 보이게 만든다는 사실도 덧붙이고 싶다.
(원문)
The Most Popular Korean Food Campaign
It’s great to know that some promoters of Korean brands are taking risks and using modern techniques. Lately, a series of viral videos have been making the rounds on the Internet. They look like serious documentaries, interviewing Korean experts expounding that pizza was originally invented in Korea and was stolen by Marco Polo. The videos are so sharp and subtle that many people thought they were real until a famous Korean pizza company’s logo appeared at the end. Some people even missed that and truly thought the video was serious.
That, my friends, is an example of smart advertising. The video was bold. It caught people’s attention with the wild claim that pizza was invented in Korea. It also did something that foreign “Korea watchers” thought was impossible―it showed that Koreans can laugh at themselves. It was for this reason that this video has been highly successful. It has been talked about by the largest food blogs, and in a positive way. By making fun of itself, viewers respected Korea even more. Humorous humility goes a long way.
In academics, there are two main branches of humor, tendentious and non-tendentious. Tendentious humor is outward focused. It makes jokes by humiliating other people. Non-tendentious humor is inward focused. It makes jokes by humiliating oneself. There is much debate, but the general consensus is that non-tendentious humor is much smarter. It makes the audience connect more easily to the comedian.
Reading the comments of the people who watched the video, this was one of the main reasons people liked it. They are so used to awkward Korean ad campaigns that were humorless chest beating―bland productions talking about how Korea is better than everyone else―that a campaign with actual subtle, self-aggrandizing humor was fresh and exciting.
Think about how much this company saved by going this route. Other promoters spend millions of U.S. dollars on giant New York Times ads and pointless commercials on CNN. The only feedback they get is how bad the ads are. This pizza company spent only the cost of making the ad and to put it on a website, and it has become more popular than any other food campaign from Korea.
I have heard that some Koreans, when watching this video, were worried that it was giving a bad impression of Korea. I just want to comfort those people by saying that foreigners are smart. They know it’s a joke. In fact, it actually made Korea look very, very cool.
조 맥퍼슨(Joe McPherson)은?
조 맥퍼슨(Joe McPherson)은 한국음식을 주제로 한 영문 블로그 ‘젠김치(www,zenkimchi.com)’을 운영 중인 외국인 블로거다. 미국인으로 지난해 10월 한국인 아내와 결혼했으며, 곱창과 돼지껍데기를 즐긴다. 2004년부터 운영하기 시작한 ‘젠김치’는 하루 최고 1만8000번의 페이지뷰를 기록하는 파워블로그. 미국, 호주 등 영어권 국가뿐 아니라 프랑스, 독일, 심지어 아프리카 국가에서도 이 블로그를 찾고 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기고, 칼럼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전재를 원할 경우 필자의 허락을 직접 받아야 하며, 무단 이용 시
저작권법 제136조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 제136조(벌칙)
-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 및 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이용자를 감동시키는 ‘장애물없는생활환경’ 인증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