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금기시 됐던 통념에 도전한 실천적 진보지식인

[문인의 흔적을 찾아서] 남해유배문학관/김만중

2021.01.27 이광이 작가
목록
<‘양가의 아들 되어 장원급제 한림학사하고 출장입상하여 공명신퇴하고 두 공주와 여섯 낭자로 더불어 즐기던 것이 다 하룻밤 꿈이라…필연 사부가 나의 염려의 그릇함을 알고 나로 하여금 이 꿈을 꾸어 인간 부귀와 남녀 정욕이 다 허사인 줄 알게 함이로다.’
“성진아, 인간 부귀를 지내니 과연 어떠하더뇨?”
“성진이 이미 깨달았나이다. 사부가 자비하사 하룻밤 꿈으로 제자의 마음을 깨닫게 하시니 사부의 은혜를 천만겁이라도 갚기 어렵도소이다.”
“…‘장주가 꿈에 나비 되었다가 나비가 다시 장주 되니’, 어느 것이 거짓이요, 어느 것이 참인 줄 분변치 못하나니, 어제 성진과 소유가 어느 것은 정말 꿈이요 어느 것은 꿈이 아니더뇨?”>

<구운몽(九雲夢)>의 한 대목, 제자 성진과 스승 육관대사의 문답이다. 성진은 세속의 부귀영화를 다 성취한 인물. 벼슬은 승상에 오르고 부인으로 공주가 두 명에 첩이 여섯이다. 거기에 자신을 더해 구운몽의 아홉이다. 인생의 허무를 느끼던 가을날, 고승의 지팡이 두드리는 소리에 깨어보니 온갖 영화가 눈 녹듯이 사라졌다. 손에는 염주를 들고 까까머리를 한 행자, 자신의 모습. 부귀영화의 한 생이 남가일몽임을 깨닫는 순간이다. 꿈과 현실은 다른 것이라고 말하는 제자를 향해 장자가 나비 꿈을 꾸었는지, 나비가 장자 꿈을 꾸었는지, ‘호접몽(胡蝶夢)’의 비유를 들면서 그 구분 자체가 무의미한 것이라고 스승은 가르치고 있다.

문학관 내부 전시실.
문학관 내부 전시실.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 1637~1692), 조선 후기 숙종 때의 문신이자 소설가이다. 송시열의 스승인 예학의 대가 김장생의 증손이다. 숙종의 초비(初妃) 인경왕후의 숙부이기도 하다. 아버지(김익겸)가 정축호란 때 순절하여 홀어머니 밑에서 컸다. 어머니는 궁색한 살림 중에도 필요한 서책을 구입하면서 값을 묻지 않았으며 직접 <소학> <사략> 등을 가르치며 아비 없는 자식에 대한 정성과 희생을 다했다고 한다. 그가 훗날 소설을 좋아하는 노모를 위해 <사씨남정기> <구운몽> 등의 한글소설을 남기게 된 것도 그런 이유이다.

16세에 진사에 일등으로 합격한 뒤 1665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갔다. 그는 질녀가 세자빈에 책봉되면서 승승장구하다가 서인의 몰락으로 비운을 맛보기도 하고, 복귀하여 대사헌과 대제학에 오르는 등 정치적 부침을 거듭했다. 1687년 문신 조사석이 우의정에 오르자 “항간에 동평군 이항과 가까이 지내며 후궁 장희빈과 결탁, 출세했다는 말이 떠돈다”고 비판했다가 숙종의 진노를 불러 파직, 선천으로 유배된다. 이듬해 풀려나지만 1689년 장희빈의 아들에게 원자의 휘호를 정하라는 숙종의 명에 반대하는 서인들이 숙청(기사환국)되면서 김만중은 53세에 다시 남해로 유배의 길을 떠난다. 그 와중에 어머니는 아들의 안위를 걱정하던 끝에 병사했다. 효성이 지극했던 그는 장례에 참석하지도 못했고, 3년2개월 유배를 끝으로 1692년 남해의 적소(謫所)에서 56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재남해문양질배절도(在南海聞兩姪配絶島)’ 유배 당시 비탄과 절망 속에서 지은 시다.
‘재남해문양질배절도(在南海聞兩姪配絶島)’ 유배 당시 비탄과 절망 속에서 지은 시다.

김만중은 남해에서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를 집필하여 인현왕후를 폐위시키고 장희빈을 옹호했던 숙종을 참회시키고자 했다고 문학관 측은 설명하고 있다. 1974년 <서포소설의 연구> 논문(김무조)에서 용문사 명칭 등을 근거로 남해 집필 주장이 처음 나온 이후 대체로 그렇게 알려졌다. 그러나 1988년 일본 천리대 도서관에서 ‘서포연보(일대기)’가 발견됨으로써 <구운몽>의 저작은 선천 귀양 때 시작하여 남해 귀양 중에 완성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구운몽>은 우아하고 품위 있는 한글언어로 씌어졌다. 현실-꿈-현실로 바뀌는 이야기의 전개, 8명의 여인과 만나고 헤어지는 과정 속에서의 심리묘사, 유불선을 아우르는 철학적 깊이 등 여러 측면에서 작자의 뛰어난 창작력을 보여주는 걸작이다. 이러한 작품의 품격은 한글소설이면서 당시 식자계층까지 독자로 끌어들일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구운몽>은 고소설 창작의 전형적인 모범을 제시하며 우리 문학에 큰 영향을 끼친 작품으로 <춘향전>과 더불어 고소설의 대표작으로 평가된다.

‘남해유배문학관’. 한글로 쓰인 부드러우면서도 굳센 기개가 느껴지는 필체. 건물 정면 현판과 전시실 곳곳에도 이 서체가 걸려 있다. 1968년~1988년까지 20년을 옥에 갇혀 있으면서 ‘감옥으로 부터의 사색’을 펴낸 우리시대의 유배객, 신영복 선생의 글씨다.
‘남해유배문학관’. 한글로 쓰인 부드러우면서도 굳센 기개가 느껴지는 필체. 건물 정면 현판과 전시실 곳곳에도 이 서체가 걸려 있다. 1968년~1988년까지 20년을 옥에 갇혀 있으면서 ‘감옥으로 부터의 사색’을 펴낸 우리시대의 유배객, 신영복 선생의 글씨다.

김만중은 소설 외에 논평을 통해서도 당대에 금기시 됐던 통념에 도전하며 실천적 진보지식인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서포만필>에서 그는 중국 중심주의의 문화관 ‘화이론(華夷論)’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제기한다. 주자학이 대세를 이루던 당시, 주자가 인도의 불경이 중국의 고전인 <열자>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다고 본 아전인수식 주장, 중국의 시에만 각운이 등장한다고 오해한 점 등을 들어 주자의 문화관이 주위나라에 대한 무지에서 출발했다고 비판했다. 정철이 지은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은 굴원의 <이소(離騷)>와 맞먹을 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중국문학만이 가치 있다는 인식에 반론을 제기했다. 또 배불숭유의 사회 분위기 속에서 불교의 ‘공(空)’사상을 작품의 주제를 등장시키고, 불교적 언어를 거침없이 사용함으로써 유불선을 넘나드는 걸림 없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진실로 말할 수 있는 사람이 각각 그 말에 따라 리듬을 갖춘다면, 똑같이 천지를 감동시키고 귀신과 통할 수 있는 것이지 중국만 그런 것은 아니다. 지금 우리나라의 시문은 자기 말을 내버려 두고 다른 나라 말을 배워서 표현한 것이니 설사 아주 비슷하다 하더라도 이는 단지 앵무새가 사람의 말을 하는 것과 같다.’ 한문을 ‘타국지언(他國之言)’으로, 타국지언을 앵무새의 말로 표현한 <서포만필>의 이 대목은 그의 자주적 사유의 절정을 보여준다.

문학관 현관에 ‘유배문학의 산실, 일점선도남해(一点仙島南海)’라고 쓰인 글 아래 서포의 초상화와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문학관 현관에 ‘유배문학의 산실, 일점선도남해(一点仙島南海)’라고 쓰인 글 아래 서포의 초상화와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1698년 관직이 복구되고 그의 효행에 대해 정표가 내려졌다. <구운몽> <사씨남정기> <서포만필> <서포집> <고시선> 등을 남겼다. 

김만중의 유배지는 유배문학관에서 남으로 더 내려간 ‘노도’, 삿갓처럼 생겨 ‘삿갓섬’으로도 불리는 작은 섬이다. 남해 벽련항에서 배를 타고 가야 한다. 한글을 사랑했던 대문호 김만중은 1692년 여기서 생을 마쳤다. 이곳에 잠시 묻혔다가 아들이 이장해 갔다. 선창 입구에 ‘서포 김만중 선생 유허비’가 서 있다.

이광이

◆ 이광이 작가

언론계와 공직에서 일했다. 인(仁)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애인(愛人)이라고 답한 논어 구절을 좋아한다. 사진 찍고, 글 쓰는 일이 주업이다. 탈모로 호가 반승(半僧)이다. 음악에 관한 동화책과 인문서 ‘스님과 철학자’를 썼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아이가 자존감을 갖기 위해서는 아빠의 도움이 필요하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