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봄 잠녀는 건들지 말라

[김준의 섬섬옥수] 제주, 해녀이야기

2021.05.06 김준 섬마실 길라잡이
목록

호이, 호이. 호이, 호이.
간간이 들리는 숨비소리가 일출봉에 부딪혀 터진목으로 건너간다. 분홍색 부표 10여개가 윤슬 사이로 오간다. ‘호이 호이’ 잘 있냐 금순아. 응, 잘 있어 말자야. 해녀들의 숨비소리는 ‘물벗’의 삶을 확인하는 소리이자 내 몸에 생명 불어넣는 소리이다. 물벗은 작은 움직임과 숨비소리에도 서로의 안위를 살필 수 있다. 그 숨비소리는 살기 위해, 먹고 살기 위해 내는 소리이다.

물질을 하는 해녀들의 모습.
물질을 하는 해녀들의 모습.

운이 좋았다. 여행객들이 가는 길을 벗어나 포구로 내려서길 정말 잘했다. 그리고 점심 무렵까지 몇 시간을 성산포를 오르내렸고 하룻밤을 더 묵었다. 해녀들이 물질을 하는 날이다. 미역이나 우뭇가사리나 톳 등 해조류는 소라와 달리 채취하는 시기가 정해져 있다. 아무 때나 채취할 수 없다. 소라는 금채기를 제외하고 한 달에 두 번 물질을 하는 날은 채취할 수 있다. 하지만 해조류는 채취시기가 있다.

5월은 제주 해녀들이 우뭇가사리를 채취하는 달이다. 일 년 소득의 절반을 우뭇가사리로 얻는다. 채취하는 날은 마을에서 결정하지만 채취량은 해녀의 능력이다. 그만큼 경쟁도 치열하다. ‘몸’(모자반), ‘메역’(미역), ‘우미’(우뭇가사리)를 채취하는 봄철에는 해녀들의 모든 신경은 바다에 가 있다. 그래서 ‘봄 잠녀는 건들지 말라’했다.

파도가 높고 바람이 거세 물질을 하기 힘든 날은 바닷가로 밀려온 우미를 줍기 위해 쉴 틈이 없다. 바위에서 자라는 우뭇가사리가 파도에 떨어져 밀려온 것이다. 이러다 보니 봄철에 ‘식객(제사)’이라도 있으면 남자들이 음식을 만들고 상을 차려야 한다.

물질을 마치고 채취한 해조류를 지고 성산포에 오르는 해녀들.
물질을 마치고 채취한 해조류를 지고 성산포에 오르는 해녀들.

우뭇가사리는 자홍색으로 조간대에서 수심 20-30m 깊이의 바다에 붙어 자란다. 연골질인 납작한 실 모양으로 깃털처럼 가지를 많이 내어 다발을 이룬다. 여름 번식기가 지나면 본체의 상부는 녹아 없어지고 하부만 남아 있다가 다음해 봄에 다시 새싹이 자라난다. 미역도 그렇지만 녹아 없어지기 전에 채취해야 한다.

동해안·남해안과 황해의 먼 바다 섬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생산량의 대부분은 제주에서 채취하고 있다. 우뭇가사리는 한천을 만드는 재료이다. 깨끗하게 씻어 햇볕에 잘 말려서 솥에 넣고 푹 삶아서 걸러내고 물을 식히면 우무가 된다. 여름철 콩국에 띄어 음료나 식사대용으로 먹었다. 식품첨가용, 공업용, 농업용, 화장품 재료로도 사용한다.

우뭇가사리를 말리는 모습.
우뭇가사리를 말리는 모습.

일제강점기에도 해녀들이 목숨을 걸며 지키려고 했던 것이 우뭇가사리였다. 일본인 도매상들이 해녀어업조합과 관리들과 결탁해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강제매입을 하려 했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1930년 성산포에서 ‘우뭇가사리 부정판매사건’이 발생했다. 우뭇가사리를 시세의 반값으로 매입한 것이 발단이었다.

이듬해 하도리에서도 일본 수집회사가 시세보다 낮은 가격에 해산물을 매입을 강요하는 일이 발생했다. 무엇보다 해녀어업조합과 도사가 일본인 상인 결탁해 해녀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일에 분개했던 것이다. 그리고 1932년 1만 7000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항일운동으로 이어졌다.

미역을 말리는 해녀들의 모습.
미역을 말리는 해녀들의 모습.

‘내가 80이라면 믿겠어요’, ‘이어도사나’라고 노래처럼 중얼거리며 해녀가 망사리를 짊어진다. 나이를 묻자 한사코 ‘내 나이를 묻지 말라’며 웃던 어머니다. 긴 노끈을 이리저리 엮어 망사리를 짊어졌다. 이를 지켜보던 사내가 트럭 시동을 걸었다.

선창을 서성일 때부터 지켜봤던 그 사내는 어머니의 남편이었다. 멀리 성산 남쪽 끝자락에서 해녀가 망사리를 밀며 헤엄쳐와 짊어지고 트럭에 실을 때까지 사내가 한 일은 오리발을 옮겨준 것뿐이었다. 해녀는 사내에게 어떤 요구도 하지 않았다.

김준

◆ 김준 섬마실 길라잡이

어촌사회 연구로 학위를 받은 후, 섬이 학교이고 섬사람이 선생님이라는 믿음으로 27년 동안 섬 길을 걷고 있다. 광주전남연구원에서 해양관광, 섬여행, 갯벌문화, 어촌사회, 지역문화 등을 연구하고 정책을 개발을 하고 있다. 틈틈이 ‘섬살이’를 글과 사진으로 기록하며 ‘섬문화답사기’라는 책을 쓰고 있다. 쓴 책으로 섬문화답사기, 섬살이, 바다맛기행, 물고기가 왜, 김준의 갯벌이야기 등이 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5월의 봄에 어울리는 아름다운 회화와 음악작품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