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내가 을사년에서 갑자년까지 이십년간 안개비 어둑어둑한 가운데 있었고, 을축년과 병인년에야 별과 달의 작은 빛을 얼핏 보았다. 정유년 시월에 해가 다시 환하게 밝은 것을 상쾌하게 바라보게 되었다. …사림의 화는 정유년에 서리를 밟았고, 을사년에 얼음이 얼었으며, 얼어붙기를 이십여 년이었다. 을축년에 이르러 비로소 점차 움직여 정유년에 이르러서야 녹았다. 다만 옛 흔적으로 위훈이 아직 삭제되지 않은 것이 있어서 한 점 응달이 되고 있다고 하겠다.’
조선전기 문신 유희춘(柳希春 1513~1577)이 쓴 <미암일기>의 부분이다. 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를 가던 전후의 과정을 묘사한 것이다. 을사사화가 시작된 해부터 갑자년(1564)까지 20년의 상황은 안개비를 맞고 있던 때로, 을축년(1565)에 문정왕후가 죽고 윤원형이 실각하면서 이배되던 시기는 별과 달의 작은 빛을 보았던 때로, 그리고 정묘년(1567)에 유배에서 풀려 자유의 몸이 되고 다시 입각하게 되던 무렵은 하늘의 해를 거듭 밝게 빛나던 때로, 간난신고의 여정을 기상(氣象)에 빗대 기록하고 있다.
앞부분은 사화에 얽힌 사적 기록이고, 서리와 얼음, 응달로 표현되는 뒷부분은 시대상황을 묘사한 공적 부분이다.
.jpg)
유희춘은 해배 이후 관직에 재입각할 때인 1567년부터 죽기 전인 1577년(선조10)까지 11년에 걸쳐 매일 일기를 썼다. <미암일기>에는 당시의 공적·사적인 일들이 망라되어 있다. 개인의 사생활부터 견문내용, 관아의 기능, 관리들의 생활, 사회풍속 등이 담겨있다. 특히 동서분당 전의 정계와 사림의 동향, 감사의 직무수행, 경재소와 유향소의 조직운영, 중앙 및 지방관료의 관계 등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jpg)
실록이 주로 정치 관련 언급인데 반해 이 일기는 선조 초기 조정의 대소사와 백성들의 사회 경제, 문화사를 이해하는데 소중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임진왜란으로 1592년 이전의 <승정원일기>가 모두 불타 없어져 <선조실록>을 새로 편찬할 때, 율곡 이이의 ‘석담일기(石潭日記)’와 ‘경연일기(經筵日記)’, 고봉 기대승의 ‘논사록(論思錄)’과 함께 기초사료가 된 것이 이 일기다.
미암(眉巖) 유희춘은 전라도 해남 외가에서 태어나 자랐다. 어머니가 <표해록>을 남긴 최부(崔溥)의 딸이다. 하서 김인후, 고봉 기대승, 일재 이항, 죽천 박광전 등과 더불어 호남 5현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jpg)
미암은 ‘면앙정가’를 남긴 송순의 중매로 24세에 송덕봉과 결혼했다. 송덕봉은 신사임당, 허난설헌, 황진이와 함께 조선4대 여류시인으로 꼽히는 대단한 문재이다. 그녀는 남편이 유배 도중 첩에게서 낳은 딸을 친자식처럼 키우며 홀로 시어머니 삼년상을 치른 효부이기도 했다. ‘덕봉집’을 남겼으나 전하지 않고 <미암일기>에 25수의 시문이 전한다. 1560년 덕봉이 함경도 종성에 유배되어 있는 남편을 찾아 해남에서 3천리 길을 가는 도중에 함경 남북을 가르는 마천령 고개에 서서 노래한 시, 마천령상음(磨天嶺上吟)이 유명하다.
걷고 또 걸어 마천령에 이르니(行行遂至摩天嶺)
동해는 평평한 거울처럼 끝없이 펼쳐있구나(東海無涯鏡中平)
부인의 몸으로 어이 만리 먼 길을 걸어왔나(萬里婦人何事到)
삼종의 도는 무겁고 이 한 몸은 가벼운 것을(三從義重一身輕)
.jpg)
유희춘은 25세에 과거 급제하여 정6품 홍문관 수찬과 무장현감을 지냈다. 1547년 양재역(良才驛) 벽서사건에 연루되어 제주도에 유배되었다가 함경도 종성으로 이배되었다. 그 곳에서 19년간 독서와 저술에 몰두하면서 백성들 교육에 힘써 글을 깨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한다.
충청도 은진에 이배되었다가, 1567년 선조가 즉위하자 삼정승의 상소로 석방되었다. 해배 직후 몸이 허약해진 유희춘을 허준이 정성으로 치료했고, 유희춘은 허준을 내의원 의원으로 천거하여 ‘동의보감’을 탄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일화가 전한다.
대사성·부제학·전라도관찰사 등을 지냈고 예조·공조참판, 이조참판을 지내다가 사직 낙향했다. 시강원설서 재임 시에 세자(후의 인종)의 학문을 도왔고, 선조 초에는 경연관으로 경사(經史)를 강론했다.
.jpg)
유희춘에게서 학문을 배웠던 선조는 항상 “내가 공부를 하게 된 것은 희춘에게 힘입은 바가 크다’고 말했다는 기록이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에 기록되어 있다. 처가인 담양으로 낙향하여 김인후, 송순, 고경명 등과 교우하며 후학을 양성했다. 만년에 경서의 구결언해(口訣諺解)에 참여해 <대학>을 완성하고, <논어>를 주해했으며, 11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미암일기>를 썼다. 64세를 일기로 숨졌다.
미암집 목판은 유희춘의 21권 10책의 시문집으로 1868년 후손들이 편집하여 발행했고, 현재 ‘미암박물관’에 396판이 보존되어 있다. ‘유희춘 미암일기 및 미암집목판’은 조선시대의 일기류 및 판본으로 1963년 보물(260호)로 지정됐다. 모현관은 박물관 앞 연못 가운데 1959년 지은 독특한 석조건물인데 이곳에 그의 기록들이 남아있다.

◆ 이광이 작가
언론계와 공직에서 일했다. 인(仁)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애인(愛人)이라고 답한 논어 구절을 좋아한다. 사진 찍고, 글 쓰는 일이 주업이다. 탈모로 호가 반승(半僧)이다. 음악에 관한 동화책과 인문서 ‘스님과 철학자’를 썼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136조(벌칙)
-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 및 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목적과 쓰임새로 분류되는 노래 ‘크리스마스 캐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