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기업과 근로자에게 시간선택제 물어보니…

일자리 만족도 실태조사 결과 …만족도 모두 높아

2017.01.16 고용노동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지난해 시간선택제 일자리 만족도와 실태조사 결과, 시간선택제 일자리 도입 기업과 시간선택제로 일하고 있는 근로자의 만족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제도 도입 기업의 만족도는 4.3점(5점 만점, 100점 만점 환산 시 86.8점),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만족도는 4.2점(84.1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해 10~11월에 시간선택제 일자리 지원 기업의 인사담당자(311명)와 해당 기업에 근무하는 시간선택제 근로자(400명), 전일제(동료) 근로자(200명)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1

시간선택제 운영 기업의 인사담당자 평균 만족도는 전년(84.1점) 대비 2.8점 상승한 86.8점(신규채용형 87.0점, 전환형 86.6점)으로 나타났다.

시간선택제를 도입한 기업의 ‘도입 목적별 효과’를 살펴보면,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지원’에 가장 큰 효과가 있었고 ‘인력운영 효율화’ 및 ‘생산성 향상’ 등에도 성과가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모든 설문 항목의 만족도가 80점대를 넘어 전년 보다 크게 높아졌다.

이렇게 긍정적 효과를 거둠에 따라, 앞으로 신규채용을 확대할 계획이라는 기업이 66.6%, 전환형 제도를 유지·확대하겠다는 기업은 79.3%로 조사됐다.(해당 유형의 시간선택제 운영 기업 기준)

1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만족도는 임금수준, 담당업무, 복리후생제도, 업무환경 등 모든 세부항목에서 신규채용 근로자보다 전환근로자(전일제→시간선택제)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간선택제 선택 동기를 보면, 신규채용 근로자는 ‘학업·자기계발’이, 전환근로자는 ‘자녀보육·교육’이 가장 많았고 최근 들어 ‘자기계발 사유’ 증가세가 뚜렷해 선택 동기가 점차 가족 중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이동하고 활용 사유도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

아울러, 시간선택제 도입 기업에서 일하는 전일제(동료) 근로자들도 대부분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필요하다(83.5%)’고 응답,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일제(동료) 근로자들의 72%가 전일제 복귀를 전제로 향후 자녀 보육(57.6%), 자기계발(36.1%) 등을 위해 ‘시간선택제로 전환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한국고용정보원 안준기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전일제 중심의 장시간 근로관행이 뿌리 깊은 만큼,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인식개선 노력과 함께 기업·근로자에 대한 정부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의 : 고용노동부 고용문화개선정책과(044-202-7499)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지난해 전월세 거래량 전년 대비 0.9% 감소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