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온라인 신문 텔레그래프가 과음한 사람이 숙취 해소를 위해 기능성 숙취 해소제품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물을 충분히 섭취하고 숙면을 취하는 것이 훨씬 현명한 방법이라고 보도했다.
영국 런던에 있는 마리아 병원의 존 헨리(John Henry) 교수는 “과음을 한 후에는 숙면을 취하고 평소 식단에 물을 좀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숙취를 해소할 수 있다”면서, “숙취 해소제품을 이용하거나 특별한 식사를 한다고 과음 후 정상을 되찾는 시간이 빨라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사우드햄프턴 대학의 마틴 와이즈먼 교환교수는 “시중에 선보이고 있는 숙취 해소제품들은 과학적인 근거가 부실한데도 소비자들이 찾고 있다”고 지적했다.
화학자이며 과학기사 기고가인 존 엠슬레(John Emsley)는 “인체에는 과다하게 섭취하는 불필요한 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이 있다”고 설명하면서 “특정 숙취 해소제를 섭취하면 보다 빨리 술이 깰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넌센스”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과학자들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숙취 해소제가 소비자들을 현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인체의 화학반응을 충분히 인식하고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음주에 대해 ‘해독’이라는 물질들의 화학반응에 중점을 둔 발언이기는 하지만 숙취 해소를 위해 수분섭취와 숙면의 중요성을 지적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지적이라고 볼 수 있다.
과음 후 물이 왜 그렇게 중요한가?
숙취의 원인은 무엇보다 수분부족 때문이다. 숙취 해소에 효과가 입증된 것은 ‘물’ 뿐이라는 지적도 있는데, 과연 그 이유는 무엇일까?
술은 이뇨제, 수분손실을 부른다. 맥주를 마시면 화장실을 너무 자주 가야 해서 소주를 마신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사실 술 자체에는 이뇨작용이 있다. 따라서 술 한 잔을 마시면 그보다 훨씬 많은 수분이 빠져나가므로 맥주를 마실 때 소변으로 빠져나가는 것은 술이 아니라 미네랄, 전해질과 함께 인체의 수분이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술을 마실 때 수분공급을 하지 않으면 탈수상태가 되기 쉽다. 이런 이유로 음주 후 땀을 빼는 사우나를 삼가야 하며, 음주 중이나 음주 후에도 수분을 계속 보충해 주어야 한다.
알코올은 가수분해, 해독작용 위해 물이 필요하다
알코올 분해는 가수분해라 물이 필요하다. 즉 알코올을 해독할 때 이용되는 물을 계속 공급해주어야 인체의 해독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과음 후 숙면을 취하라는 뜻은?
과음 후에는 휴식시간을 꼭 가져야 한다. 휴식한다는 것은 우선 3일 이상 소요되는 간의 해독작용을 도와 알코올 분해작용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사실 술을 마시면 금방 잠자리에 들기는 쉽지만, 수면의 질을 방해하여 잠에서 금방 깨도록 만들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과 숙면을 취하기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음주 후 잠을 청하지 않는 것은 평상시에 잠을 청하지 않는 것보다 배 이상 나쁜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자료="하이닥, ⓒ(주)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전력예비율 아슬아슬… 절전 참여 늘리자!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