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리성 정체감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는 ‘다중 인격 장애’라고도 부르며 한 사람이 여러 사람의 성격을 보이는 장애이다. A라는 성격에서 B라는 성격으로 바뀐 상태에서는 A의 성격이 전혀 발견되지 않으며 환자 자신도 그것을 기억하지 못하고, 각 인격은 별도의 인물로서 따로 구별되는 개인의 과거력과 자아상, 정체감을 갖고 있다.
원인으로는 과거 충격적인 기억을 회상하는 일이 너무나 고통스럽고 힘들어서 망각함으로써 정신적인 안정을 되찾으려는 방어적인 기전으로 설명한다. 보통 성장 시기에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한 과거력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아직 정확한 원인은 알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충격적인 사건이나 개인적인 취약성, 환경적인 요소, 그리고 외부 지원 기능의 부재가 원인으로 꼽히며 어렸을 때 충격적인 사건은 신체적, 성적 학대와 연관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힘든 상황을 견뎌야 하는 어린이는 다중 인격 장애가 제공하는 또 다른 정체감으로 도피할 때 평온함을 느끼게 된다.
해리성 정체감 장애 환자들이 가지는 다중 인격의 수는 평균 5~10가지 정도이며, 각각의 인격은 서로 반대되는 특징을 지닌다. 바뀐 인물의 정체감은 완전히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고, 일차적 정체성과는 대조적이어서 공격적이고 적대적이며 통제적이고 자기 파괴적인 경우가 많다.
평소에 윤리, 도덕관이 억압한 행위를 다른 인격이 됐을 때 저지르는 경우도 있으며, 힘이 센 정체감은 다른 정체감에게 시간을 할당하는 능력을 보이고, 다른 정체감의 활동을 방해하거나 불편하게 만들기도 한다. 대개 좀 더 적대적이고 공격적인 정체감이 힘이 센 정체감으로, 다른 정체감보다 더욱 완벽한 기억을 가지고 있다. 원래의 인격으로 돌아왔을 때는 다른 인격 상태를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해리성 정체감 장애는 만성적이고 재발하기 쉽다.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나 정신 치료적 접근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항우울제나 항불안제등 약물 요법이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가족이나 주변에서는 환자가 원래의 인격으로 돌아오기까지 인내심을 가지고 보호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환자가 자기에게 다른 인격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거나 스스로 아주 무관심해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 변화된 제2의 성격으로 평생을 살아가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멀쩡한 사람이 전혀 다른 사람으로 행동하거나 전에 알던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증상이 오랫동안 지속할 경우 빨리 정신과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하이닥, ⓒ(주)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에볼라 해외긴급구호대 1진 격리관찰 종료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