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약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나?
1. 연마제=치아표면에 붙은 더러운 것을 제거하고 치아를 빛나게 한다.
2. 습윤제=치약이 적당한 습도를 가지게 한다.
3. 결합제=치약이 균일하고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게 한다.
4. 발포제=거품을 내서 더러운 것이 쉽게 없어지게 한다.
5. 착향제=보다 상쾌한 기분으로 칫솔질할 수 있게 한다.
치약 성분 중 ‘불소’는 충치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으로 불화나트륨과 일불소인산나트륨이 주로 첨가된다. 불소는 충치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과다 섭취할 경우 치아불소증을 유발할 수 있어 불소를 1000ppm 이상 사용한 치약은 의약품으로 식약처의 별도 허가를 받고 있다. 특히 유아의 경우 부모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고민별 올바른 치약의 선택 요령
▲충치가 잘 생기는 사람=치아의 내산성을 높여주어 충치 유발을 억제하는 불소함유 성분(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의 치약을 선택하도록 한다.
▲시린 이나 과민성 치아 증상이 있는 사람=치아 마모도가 낮고 시린이 통증을 완화하는 인산삼칼슘, 질산칼륨, 염화칼륨, 염화스트론듐 등이 함유된 치약을 선택한다.
▲치주질환을 고민하는 사람=잇몸에 염증이 있는 치은염, 치주염 등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소금, 초산토크페롤, 피리독신, 알란토인류, 아미노카프론산, 트라넥사민산 등이 함유된 치약을 선택한다.
▲변색된 치아를 가진 사람=치아의 마모도가 높고 치석 성분이 함유된 치약을 선택한다. 치석 예방을 위해서는 피로인산나트륨 등이 함유된 치약과 치태제거를 위해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및 인산수소칼슘 등의 성분이 함유된 치약을 사용하면 좋다.
▲6세 이하 유아=불소가 함유된 치약은 3세 이상부터 가능하지만 총 함량은 1000ppm을 초과하지 않는다. 6세 이하의 경우 완두콩 크기 정도 소량 사용을 하도록 하고 삼키지 않도록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치약은 칫솔 가득 묻히면 안 돼?
치약은 칫솔모가 큰 편이면 약 1/3일 정도, 작은 편이면 1/2 정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치약의 향긋한 냄새 때문에 칫솔질 후 입안을 깨끗이 헹구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계면활성제가 입안에서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으면 입을 마르게 하고 구강 점막을 건조하게 해 오히려 구취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깨끗하게 헹구는 것이 중요하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청년희망재단’ 현판식…본격 활동 나선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