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빈혈의 원인은 성장기나 임신 중에 혈액이 많이 요구되는 경우, 질병으로 인해 혈액이 일찍 파괴되는 경우, 혈액 생성에 필요한 영양소가 부족한 경우, 몸 안에서 혈액을 잘 못 만들어내는 경우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
빈혈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흔한데, 매월 월경을 하는 탓에 밖으로 정기적으로 혈액이 소실되기 때문에 발생빈도가 높다. 이때 검사를 해보면 백혈구나 혈소판은 정상이지만, 적혈구 자체가 모양도 작고 색깔도 붉은색을 띠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처럼 혈색소의 주재료인 철분이 부족해 발생한 빈혈을 ‘철 결핍성 빈혈’이라 부른다. 요즘 여성들은 월경뿐 아니라 과도한 다이어트로 인한 빈혈이 많은데, 한 조사에 따르면 젊은 여성들 가운데 헌혈이 가능한 여성들이 30~40%밖에 안 된다는 보고도 있다.
빈혈을 치료하려면 그 원인을 찾아서 없애 주는 것이 가장 우선이고 그런 다음에 혈액의 생성을 도와 빈혈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좋다. 빈혈에 좋은 식품은 철분과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으로 혈색소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주며, 비타민 b12, 비타민C, 엽산 등이 풍부한 음식은 조혈을 촉진해 빈혈에 좋은 식품이다.
1. 빈혈에 좋은 ‘철과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살코기
철분 결핍성 빈혈의 경우 철분제를 통해 영양을 보충할 수 있다. 그러나 철분제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식품을 통한 영양 보충은 필수적이다. 철분을 보충하기에 가장 좋은 식품은 붉은 살코기이고 그 외 육류나 그 가공품, 생선과 조개류도 몸 안에서 바로 철분으로 흡수율이 30~35% 되는 헴(heme) 철이 많다.
그다음으로 좋은 철분 공급원은 곡류나 그 가공품, 콩류, 진한 녹색 채소 등이다. 곡류의 경우 종류마다 철분 양이 다르나 한국 식단에서 워낙 많이 먹으므로 좋은 급원이 된다. 이들은 비헴 철(nonheme iron)의 철분 형태로 흡수율이 5~10% 정도이다. 한편 우유와 유제품은 철분 함량이 낮을 뿐 아니라 철분 흡수를 저해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2. 빈혈에 좋은 ‘엽산’이 풍부한 식품=시금치
엽산은 잎귀(葉:잎 여)라는 한자 이름 그대로 채소에 많이 들어있는 영양소다. 특히 이 영양소는 대부분 시금치같이 짙은 푸른색의 채소에 많이 들어있다. 단 6개월 미만의 유아의 이유식 재료로 시금치, 배추, 당근은 피해야 하는데, 이 채소들이 가지고 있는 질산염이 유아에게 빈혈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빈혈에 좋은 ‘비타민 B12’가 풍부한 식품=달걀, 육류, 김
한편 비타민 b12는 식물에는 없고 동물에만 있다. 그래서 고기, 생선, 조개, 달걀, 콩류 등을 통해 비타민 b12를 먹을 수 있다. 비타민 b12가 부족해지면 간접적으로 엽산이 결핍되어 빈혈을 초래한다.
4. 빈혈에 좋은 ‘비타민 C’가 풍부한 식품=과일
비타민 C는 채소, 과일에 풍부하다. 빈혈을 위한 비타민 C 식품으로 조리 과정에서 비타민 C가 파괴되기 쉬운 채소류보다는 생으로 먹는 과일이나 산도에 의해 비타민 C가 더 보존되는 과일 주스가 더 유리하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공항소음대책지역 주민혜택 확대 시행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