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이럴 땐 곧바로 응급실에 가세요"

2018.04.03 .
글자크기 설정
목록

갑작스럽게 몸의 이상을 감지했을 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저절로 좋아지길 기다려야할지, 응급실을 방문해야할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

사소한 일에 건강염려증이 있는 것처럼 과민반응을 하고 싶진 않지만, 심각한 상태를 방치하고 싶은 생각은 더더욱 없을 것이다. 미국 응급의학회(ACEP)에 의하면 응급실을 방문해야 하는 상황은 다음과 같은 증상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응급구조.

두통

스트레스로 인해 종종 두통이 일어나거나 전날 술을 많이 마셔 머리가 아플 때가 있다. 가장 일반적인 두통 유형인 편두통, 긴장두통, 군발두통은 흔하며 건강을 크게 위협하는 문제는 아니다.

반면 두통이 매우 격렬하고 급작스럽게 찾아온다면 이때는 응급실 방문이 필요하다. 벼락을 맞거나 망치로 두들겨 맞은 것처럼 갑자기 큰 고통이 느껴진다면 ‘지주막하 출혈’과 같은 심각한 문제일 수 있다.

두통과 더불어 열이 나고 목이 아프고 발진이 돋는 등의 증상이 동반될 때는 ‘뇌수막염’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한다.

복통

근육이 결리거나 변비가 있을 땐 배가 아플 수 있다. 좀 더 심각한 문제로는 맹장염이나 요로감염증이 원인일 수도 있다.

만약 복부의 오른쪽 아래나 오른쪽 위와 같은 특정 부위에서 맹렬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맹장이나 담낭에 즉시 수술이 필요한 문제가 생겼다는 의미일 수 있으므로 이럴 땐 응급실을 찾도록 한다.

흉통

급작스러운 가슴 통증은 매우 무서울 수밖에 없다. 심장마비의 대표적인 증상이기 때문이다. 호흡이 가빠지고 식은땀이 나고 가슴에서 통증이 느껴진다면 한 번 더 생각할 것도 없이 곧바로 응급실로 가야 한다.

호흡이 가쁠 땐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렴 등이 원인일 수 있는데, 숨을 쉬기 어렵다고 느낄 때는 무조건 응급실로 향한다.

혈변

어떤 상황이든 소변과 대변에 피가 섞여선 안 된다. 응급실에 갈 정도로 다급한 문제가 아닐 수도 있지만 병원 검사는 꼭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요로감염, 신장염, 신장결석이 있으면 소변에서 피가 나온다. 대변에 섞인 피는 치질, 감염, 염증, 궤양, 암 등이 원인일 수 있다.

소변이나 대변에 많은 피가 섞여 나오고 고열, 발진, 극심한 피로와 통증, 장폐색의 징후 등이 있을 때는 응급실을 방문토록 한다.

기타

그밖에도 복통이 심하면서 구토를 한다거나 무기력한 상태에서 고열이 찾아온다거나 몸이 무감각해지는 등 신체 기능을 상실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도 응급실에 가야 한다. 뼈가 부러졌거나 칼에 깊이 베였을 때 화상으로 인한 심한 통증이 나타날 때, 호흡이 어려운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났을 때도 응급실 방문이 필요하다.

<자료=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전문] 문재인 대통령 4.3희생자 추념일 추념사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