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해양방사능 조사를 이어가겠습니다.
해양·수산물 방사능 안전 정보를 한눈에 국내·수입수산물, 국내 해역, 선박평형수에 대한 방사능 검사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바다의 방사능 농도 범위
▲ 세슘137
·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전 (’11년)
< 0.00119 ~ 0.00404 Bq/Kg (원안위자료)
· 2022년
< 0.00071 ~ 0.00221 Bq/Kg
* WHO 먹는물 기준의 약 1/4,500수준
▲ 삼중수소
·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전 (’11년)
< 0.038 ~ < 0.743 Bq/L (원안위자료)
· 2022년
< 0.079 ~ 0.433 Bq/L
* WHO 먹는물 기준의 약 1/23,000수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전과 유사한 수준
우리나라 바다는 방사능으로부터 안전할까요?
네, 안전합니다
정부는 우리 바다로 방사능 유입 여부를 촘촘히 조사하고 있습니다.
· 해양방사능 조사 대상 핵종
Cs (세슘134, 세슘137)
Pu (플로토늄 239+240, 플로토늄 240/239 )
Sr (스트론튬90)
3H (삼중수소 )
전베타
· 주요 어업활동·항만 지역, 국내 유입 해류 흐름을 고려하여 지점 선정
· 국민 안심을 위해 해양방사능 조사정점 200개 확대
기존 92개 (해수부 52개, 원안위 40개) → 확대 108개 (해수부 75개, 원안위 33개)
해양 방사성물질 조사 결과는 해양· 수산물방사능 안전정보에서 누구나 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더 꼼꼼하게! 더 촘촘하게!
해양수산부는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바다를 위해 방사능 감시체계 지속 확대 및 강화하여 신뢰할 수 있는 해양방사능 조사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및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