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휴대폰을 구매할 때 유심카드 비용으로 만원정도를 추가로 지불하신 적이 있으세요?
“유심카드가
없으면 TV를 꺼라”, “친구의 최신폰을 내 폰으로 만드는 기술” 이런 TV 광고를
본 적이 있으신가요? 아니면 유심카드에 대해 아직도 잘 모르시나요?
그렇다면
지금부터 “유심카드라면 내가 전문가”라고 자부하는 KT 홍보실의 함영진 대리와
유심카드 사용자 이은채(23, 서울) 씨를 만나 유심카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께요.
질문
: 유심카드를 출시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답변
: “USIM카드는 3세대 이동통신(WCDMA) 단말기에 가입자의 식별을 위해 필요한 장치입니다.
광고에서도 보셨듯이, 기존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던 가입자 정보들이 이젠 유심에
등록되어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폰을 교체해도 기존의 유심을 끼우면 새로 입력하지
않아도 예전의 휴대폰 정보의 이용이 가능합니다”
![]() |
질문 : 유심카드 사용 시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무엇입니까?
답변 : “교통/뱅킹/증권/신용카드/멤버십
서비스 혜택을 휴대폰 하나로 누릴 수 있습니다. 유심 뱅킹 서비스의 경우 은행 카드
없이도 휴대폰만 있으면 CD/ATM으로 현금 출금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질문
: 유심카드의 가격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
: “유심카드는 통신칩과 금융칩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통신칩은 전화, SMS,
데이터 서비스 등 통신 서비스를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가격은 7,700원입니다.
금융칩은 통신칩의 기능에 유심을 사용한 금융서비스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격은 9,900원입니다”
질문 : 유심카드로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하다는
편리함도 있지만 휴대폰 분실 시 위험부담도 크지 않을까요?
답변
: “유심 금융서비스는 고객의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서비스에 PIN을 설정해 놓으면 분실 시에도 PIN을
입력해야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합니다. 또한 분실했을 시에 고객센터로 분실신고를
하면 타인의 분실 단말 사용을 막을 수 있습니다”
![]() |
질문 : 유심카드에 대해서 언제부터 아셨고, 언제
가장 많이 사용하시나요?
답변 : “2008년
8월 휴대폰을 새로 구입하면서 알게 되었고, 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사용하고
있습니다”
질문 : 유심카드의 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답변
: “휴대폰은 남녀 누구나 손에 항상 들고 있으니까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굳이 가방
속 지갑을 찾지 않아도 되고, 여자들은 보통 지갑 속에 카드를 많이 넣고 다니기
때문에 교통카드를 찍을 때 “다시 한 번 ~”이라는 안내방송을 자주 듣게 되는데
유심을 이용하면 이같은 안내방송을 듣지 않아도 돼서 좋습니다. 또 기기변경 할때도
유심카드만 넣으면 개통가능하고, 통신사 홈페이지에서도 기변이 가능하니 대리점에
가지 않아도 됩니다.”
질문 : 유심카드를 이용하시면서 느꼈던 불편한
점은 무엇입니까?
답변 : “청소년의
경우 부모님 명의로 휴대폰을 개통하고 성인이 된 뒤 자신 명의로 변경을 하잖아요.
그런데 유심은 명의 변경이 되지 않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유심을 새로 구입해야
되고 기존의 것은 쓸모없게 되니 낭비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유심카드의 티머니를
충전할 때 특정 은행에서만 충전이 가능하다는 점이 불편합니다”
그 외에도 은채씨의 유심카드 후기를 더욱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은채아씨의 영원한 청춘사업(http://blog.naver.com/leunchael/110043546069)’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휴대폰은 통화만 잘 터지면 그만”인 시대는 이미 옛날이 돼 버렸다.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로 사진이 찍히는 게 신기했던 게 엊그제인 것 같은데 이젠 휴대폰으로 모든 결제가 가능한 시대가 도래 했다. 앞으로 휴대폰은 또 어떠한 변신으로 우리를 놀라게 할까? 유심카드와 함께, 휴대폰과 함께하는 놀라운 세상을 또 한 번 기대해 본다.
*
유심카드 등록법 !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하면, 대리점에서 전산을 통해 USIM
변경 처리를 해 준다. 유심 구매 고객은 유심을 단말기에 꽂은 뒤, 단말기를 켜고
번호 등록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번호 등록 절차 중 비밀번호에 *147359*682*을
넣으면 자동으로 등록되어 사용할 수 있다. (KT 제공)
![]() |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