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시간선택제 국가직 공무원 192명, 합격증 받다

최종 합격자 74.5% 여성…주 20시간 근무

2014.07.31 안전행정부
목록

(사례1) A씨(48세 여)는 시골생활을 동경하던 남편을 따라 서울에서 연고도 없는 강원도 인제로 귀농해 살던 중 2011년 남편이 급성심근경색으로 사망하자 두 딸의 학업과 생계유지를 위해 산림청 생태관리센터 일용직으로 근무하게 됐다. 불안정한 신분에 관해 걱정하던 차에 시간선택제 공무원 임업9급에 합격해 늦은 나이에 안정된 직장을 찾았다. 

(사례2) 과거 박사학위 취득 후 민간기업체에 근무했던 B씨(40세, 여)는 회사 업무와 더불어 9살, 5살 두 아이의 육아 등 가정 일을 병행하느라 몸도 마음도 지쳐 있었다. 그러다 일과 가정을 함께 돌볼 수 있는 시간선택제 공무원 공고를 보고 지원해 농업연구사로 합격했다. 

안전행정부는 올해 처음으로 선발한 시간선택제 국가직 일반직 공무원 192명에게 합격 증서를 수여했다고 31일 밝혔다.

시간선택제 공무원은 능력과 근로의욕은 있으나 종일 근무가 곤란한 인재들이 시간을 선택해 근무하면서도 정년을 보장받을 수 있는 정규직 공무원이다.

14시에 정부서울청사 별관2층 대강당에서 있었던
3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2층 대강당에서 ‘2014년 시간선택제 국가공무원 합격증서 수여식’이 열려 최종 합격자 192명이 증서를 받았다.

정부가 시간선택제 국가직 공무원을 선발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지난 5~6월 지방직 공무원으로 사회복지직 85명을 시간선택제 형태로 선발한 바 있다.

이번 최종합격자의 평균 연령은 35.2세로 연령대별로는 20대 11%(22명), 30대 69%(138명), 40대 18.5%(37명), 50대 1.5%(3명)로 집계됐다.

특히 육아, 가사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여성 등 여성이 전체 합격자의 74.5%(149명)로 남성 합격자보다 3배 가량 많이 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별로는 경찰청 58명, 고용노동부 30명, 안전행정부 12명, 기획재정부 10명. 미래창조과학부 9명, 검찰청 10명, 법무부 4명 등이었다.

이들은 주 20시간을 근무하며(오전·오후·야간·격일제 가능) 근무시간에 비례해 승진과 보수가 정해진다.

정부는 시간선택제 공무원에게 일단 국민연금을 적용했지만 향후 공무원연금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안행부는 2017년까지 총 4108명(국가 1680, 지방 2428)의 시간선택제 공무원을 신규로 채용할 계획이며 올해에는 국가직 376명과 지방직 684명 등 1060명의 시간선택제 공무원을 채용할 계획이다.
    
김승호 안행부 인사실장은 “시간선택제 공무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해소하고 일과 가정이 조화롭게 양립할 수 있도록 차별 없는 양질의 일자리를 확대해 나가는데 최선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안전행정부 인사정책과 02-2100-1718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해수욕과 조개잡이를 한번에!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