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독도해역 해저지형에 우리말 이름 ‘강치초’ 붙여

2015.01.06 국립해양조사원
목록

독도해역 해저지형의 우리말 이름이 ‘강치초’로 정해졌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최근 국가지명위원회를 개최해 독도해역의 해저지형에 ‘강치초’라는 이름을 붙이고 공식적으로 사용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앞으로 ‘강치초’로 불리게 될 해저지형은 2014년 국립해양조사원의 동해로호를 활용한 동해와 독도 해역의 ‘해양지명 정밀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위도 37°14‘53“, 경도 131°51‘59“에 위치해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에 주소를 갖게 되며, 최소 수심은 약 14m이다.

독도주변 해도
독도주변 해도

‘강치초’라는 지명의 배경이 된 ‘강치’는 바다사자의 일종으로 조선시대에는 ‘가제’ 또는 ‘가지’로 불리며 동해에 수만 마리가 서식하였으나 일제강점기에 무분별한 남획으로 멸종됐다고 알려져 있다. 강치초 주변에는 강치가 머물렀다는 큰가제바위와 작은가제바위(육상지명), 가지초(해양지명) 등이 있어 그 역사적 의미가 한층 더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지명위원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결정되는 지명은 크게 육상지명과 해양지명으로 나뉘는데, 강치초는 해양지명 중 바다 속 지형의 이름인 해저지명에 속한다. 해저지명에는 해면 가까이에 있는 바위를 의미하는 ‘초’ 이외에도 해저분지, 해저산맥, 해령, 해구 등이 있다.

해양지명을 담당하는 국립해양조사원은 독도의 역사를 담고 있는 강치가 해저지형의 이름으로 사용돼 국민들이 독도와 동해의 지나간 역사를 되새기고 멸종된 강치의 소중함을 기억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도 국립해양조사원은 동해(East Sea) 표기와 해양지명에 관하여 국내외에서 관심과 인식이 더욱 높아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밀 해양지명 조사와 함께 해양지명에 관한 교육용 애니메이션, 웹 게임, 개도국 언어로 제작한 해양지명 웹툰 등을 통해 적극적인 홍보 활동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진준호 국립해양조사원 해도수로과장은 “해양 영토의 주권 강화를 위해서는 표준화된 지명의 사용이 중요하다”면서 “국립해양조사원은 우리말 해양지명을 제정하고 널리 알리기 위해 해저지명 국제 심포지엄, 해양지명 교사 연수, 한국국제협력단(KOICA) 국제연수 등을 개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강치초’ 제정을 기념해 홈페이지(www.khoa.go.kr)를 통해 강치와 해양지명에 관련된 퀴즈 정답자에게 선착순으로 상품을 제공하는 이벤트도 실시할 예정이다.

문의 : 국립해양조사원 해도수로과 051-400-4340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지역기반형 콘텐츠코리아 랩 운영지원 사업 공고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