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이렇게 모르는 건 좀 심각한 것 같아요.”
교육부는 지난해 9월 ‘2017학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를 발표하면서 2017학년도부터 한국사를 대학수학능력시험 필수과목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한국사에 대한 소양 부족을 한국사 필수과목 재지정 원인으로 밝혔다. 한국사는 2004년까지 필수였지만 2005년부터 사회탐구 선택과목 중 하나가 됐다. 그 후로 역사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나 한국사를 필수로 지정한 대학에 지원할 학생 외에는 한국사 과목 선택을 꺼리기 시작했다.
2014년부터 국사와 근현대사가 합쳐지면서 다른 과목에 비해 공부할 내용이 많아 투자해야할 시간이 많고 한국사를 하는 학생 대부분이 서울대 지원을 목표로 하는 학생이기 때문에 등급이나 표점 면에서 다른 과목에 비해 손해를 보기 때문이었다. 그러다보니 대부분의 학생들이 한국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사고력이 점점 부족해질 수밖에 없었다.
한국사 교과서
실제로 한국사가 선택과목이 된 뒤 학생들의 역사상식 수준은 심각해졌다. 지난 2013년 7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전국 초·중·고·대학 교원 1,630명을 대상으로 한국사 교육 강화 교원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사 88%는 학생들의 한국사 인식 수준이 심각하게 낮다고 말했다.
우리는 가끔 뉴스나 신문에서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조차 모르는 학생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한 언론사에서 학생들에게 한국사에 관한 기본적인 상식을 물어봤는데, 학생들의 대답은 충격적이었다.
![]() |
3.1절을 전혀 모르는 학생. (출처=sbs뉴스 캡처) |
![]() |
매국노 이완용을 독립운동가라고 대답하는 학생. (출처=sbs뉴스 캡처) |
동래고등학교 2학년 황성준(17세) 학생은 요즘 학생들의 한국사 상식 수준이 매우 심각하다고 말했다. 황 군은 “많은 언론에서 학생들의 한국사 상식 수준이 매우 낮다고 보도했는데, 이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기념일이나 널리 알려진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는 대충은 알고 있지만 그 역사 사실의 내면과 자세한 발생 원인, 그에 대한 사회 변화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내용은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한국사가 선택과목이 된 후 학생들의 한국사 선택비율이 현저히 낮아진 것 또한 문제이다. 다음은 한 민간 교육기관에서 발표한 2015년 수능 사회탐구 선택비율 조사다. 사회문화는 현재 가장 많은 학생들이 선택하는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사와 사회문화, 사회탐구 조합의 선택비율은 2.9%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면 2017년부터 필수과목으로 재지정된 한국사는 어떻게 수능에 반영될까? 교육부는 상대평가 대신 절대평가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즉 1등급을 받기 위해 학생들끼리 상대적 경쟁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한국사 지식 획득을 평가하겠다는 것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학교 수업에만 충실하면 어렵지 않게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출제할 것이라며 10가지 문항유형에 따른 예시 문항 12개를 공개했다.
![]() |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예시문항 중 일부 |
한국사 수능 필수 과목 재지정에 대해 현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반응은 어떨까?
학생들의 반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다. 일부 학생들은 한국사가 수능 필수 과목으로 지정돼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 반면, 몇몇 학생들은 늘어난 입시 부담에 한국사 수능 필수 과목 재지정을 부정적으로 바라봤다.
“친구들 얘기를 들어보면 한국사 필수 과목 재지정은 필요하다고 보지만 아직 부정적인 반응들을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재미없는 한국사 교과서와 암기만을 요하는 내용 등이 중심이기 때문에 공부할 분량이 많이 늘었다는 것이 학생들의 대체적인 반응입니다.”
다만, 학생들은 한국사 필수과목 지정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황성준 학생은 “한국사를 필수 교과과목으로 지정해 학습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와 같이 암기를 목적으로 하는 공부 방법으로는 수박 겉핥기식의 역사 공부와 수능 또는 내신 시험을 위한 일회성 공부에 그칠 것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분량을 줄이되 주요한 내용을 구체적이고 학생들이 알아듣기 쉽도록 설명한 교재와 수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면 한국사 필수 과목 지정은 분명히 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공부하는 학생들
자국의 역사를 아는 것은 그 나라의 국민으로서 지켜야할 기본이다. 자국 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부족한 인식은 대한민국 미래 발전에 걸림돌이 될 것이다. 과거를 모르는 자가 어떻게 미래를 구상할 수 있겠는가. 과거 독립운동이나 민주화 운동에 대한 고마움을 모르고 고난의 역사를 모르다보면 미래를 이끌어 가야 할 학생들은 현재의 배금주의 가치관에만 매몰되기 쉽다.
특히 각국의 영유권 주장 및 역사 인식 왜곡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요즘, 자국의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은 필수이다. 입시라는 현실 속에 한국사가 부담스럽고 딱딱하게 다가올지 모르겠지만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재지정 정책으로 인해 학생들이 역사적 기본 소양을 갖췄으면 하는 바람이다.
잊지 말자!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