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경기 성남시 판교테크노밸리에서 열린 새해 경제관련 두번째 업무보고는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통한 성장동력 확충’ 이란 큰 틀로 미래창조과학부, 문화체육관광부, 금융위원회, 산업자원부, 보건복지부, 방송통신위원회 6개 부처가 그 실현 과제에 대해 보고했다.
![]() |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테크노밸리에서 열린 경제관련 2번째 업무보고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새해 업무 수립과정에서 정책간담회, 현장방문 등을 통해 전문가 및 국민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한 6개 부처는 협업을 통해 성장동력을 스마트하게 혁신하는 창조경제, 그리고 성장동력의 가치를 제고하는 문화융성을 두 축으로 하여 ‘지속가능한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과 ‘문화융성을 통한 경제체질 개선’ 정책방안을 마련하고 성장동력 창출 가속화를 위한 금융, 방송통신, 바이오헬스, 유망산업 및 주력산업 분야에 대한 신산업·신서비스 창출, 규제개선 계획 등을 마련했다.
‘창조경제+문화융성’ 통해 우리 경제 성장동력 기반 확충
우리 경제의 새 활력을 불어 넣을 성장동력 기반 확충의 두 날개 중 하나, ‘지속가능한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해 미래부는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모델을 확산하고 지역전략산업 육성 및 국내외 투자 활성화와 네트워크 확대로 성공사례(유니콘 기업) 창출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창업비용 최소화와 기술창업 확대 등으로 쉽고 질 높은 창업(Start-up)을 활성화하고 더 큰 성장(Scale-up)으로 이어지는 기반, 즉 자금(크라우드 펀딩) + 기술(중기R&D 지원) + 인력(장기근속 지원) + 홍보(공영홈쇼핑) 등을 확충하기로 했다.
덧붙여 창조경제·문화융성의 융합사례가 구현될 수 있도록 판교와 상암에 창업·문화콘텐츠 인프라 확충 및 허브 구축으로 글로벌 진출의 고도화를 이루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하반기에 우수벤처 중소기업 해외 시장 진출 로드쇼 기획을 추진한다.
성장동력 기반 확충을 위한 또 다른 날개인 경제체질 개선을 위해 문화융성 부문에서 문화체육관광부는 창조경제 플랫폼과 결합하여 문화창조융합벨트의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고 융복합 콘텐츠를 통해 외래관광객 2000만 시대 견인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융복합 킬러콘텐츠 25건 사업화와 게임·웹툰 등 첨단 콘텐츠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또한 상품 개발·유통 등에 디자인·한류 등을 접목하고 예술인을 기업에 파견하는 등 산업에 문화의 옷을 입혀 부가가치 창출하고 문화를 통한 기업문화 혁신을 유도하기로 했다.
금융, 바이오헬스, 산업경쟁력 등 분야별 성장동력 창출 가속화
성장동력 기반 확충을 하였다면 금융위, 방통위, 보건복지부, 산업자원부에서는 그 성장동력 창출 가속화를 위한 노력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금융위는 금융의 경쟁과 혁신을 통한 금융 혈맥기능 튼튼하게 만든다. 우선 크라우드펀딩, 투자 방식의 기술금융 확대, 거래소 개혁 등을 통해 금융시장의 자생적인 창조경제 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정책자금 80조원을 핵심성장산업에 중점 공급하기로 했다.
또한 해외진출지원, 세계 최초의 표준화된 개발도구 제공, 빅데이터 활성화 등 핀테크 산업의 글로벌 수준 도약을 지원한다. 이어 인터넷전문은행 출범, 계좌이동서비스 업그레이드 등 혁신적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만능통장(ISA), 자문업 활성화 등을 통해 국민의 재산을 안정적으로 늘리는데 기여하기로 했다.
방통위는 신산업 창출로 방송통신 활력을 높인다.UHD 방송시장, 1인 미디어 기업 등 신규 융합산업 육성, 공동 제작·포맷수출 등을 통한 방송한류 확산, 빅데이터·클라우드·IoT 등 개인정보 활용 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방송통신 활력제고 추진한다.
또한 혁신적인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도록 적기에 주파수 등을 공급하고 광고·협찬규제 등 관련 규제를 개선해 사업자 자율규제 중심으로 전환하여 시장자율성을 제고한다.
보건복지부는 바이오 헬스 7대 강국 도약을 위해 뛴다.
우선 외국인환자 유치 성장(40만명), 한국의료 해외진출 확대(155개) 및 디지털헬스케어 진출 활성화 등 한국 의료의 세계적 브랜드화에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또한 취약지 및 국민생활 중심 원격의료 서비스 확산, 진료 정보교류 활성화로 ICT 융합 기반 의료서비스 창출한다. 덧붙여 신약개발 등 제약산업 육성, 정밀·재생의료산업 활성화, 첨단 의료기기 개발 지원을 통해 제약·의료기기 산업을 미래먹거리로 육성한다.
산업자원부는 신성장동력 창출로 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이를 위해 신속인증제 확대, 규제프리존 지정 등 규제개선으로 유망 신산업 조기 창출을 지원한다.
또한 조선, 철강, 석유화학 등 공급 과잉분야의 사업을 재편하고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로 후발국 추격에 대응하는 등 주력산업 경쟁력 보완에 힘쓰기로 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문화창조융합벨트 본격 가동…융복합 킬러콘텐츠 개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