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황금연휴 유통업체 매출 48% ↑…내수진작 효과 톡톡

전년비 백화점 62%, 대형마트 39%, 가전전문점 25% 각각 증가

2016.05.09 산업통상자원부
목록

지난 황금연휴 기간(5~7일)  백화점·대형마트·가전유통전문점의 매출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유통업체들이 제출한 매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연휴기간 동안 매출은 지난주(4월 28~30일) 대비 36%, 전년(2015년 5월 5~7일) 대비로는 48% 증가했다.

백화점은 의류, 잡화 등 어린이날·어버이날 선물 수요로 사흘간 3735억원 매출을 기록, 전주 및 전년 대비 각각 37%, 62% 증가했다.

어린이날인 지난 5일 오후 서울시내 대형마트 완구코너에 최근 인기를 끄는 제품들이 어린이의 눈길을 끌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어린이날인 지난 5일 오후 서울시내 대형마트 완구코너에 최근 인기를 끄는 제품들이 어린이의 눈길을 끌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대형마트는 선물 수요와 함께 나들이객 증가로 3431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주 및 전년대비 각각 35%, 39% 늘어났다.

가전전문점은 휴일에 따른 방문객 증가로 전주 및 전년대비 각각 41%, 25% 상승한 49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이번 연휴기간중 정부가 6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한 것이 소비 진작에 상당히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공휴일이었던 6일 당일 매출 실적은 백화점 1231억원, 대형마트 1010억원, 가전전문점 142억원으로 전주(4월 29일)에 비해 각각 34%, 41%, 39% 증가했다. 전년 대비로는 각각 125%, 66%, 45% 늘어났다.

산업부는 “이번 임시공휴일과 지난해 광복 70주년 기념으로 지정한 임시공휴일(8월 14일)의 유통업계 매출을 비교해 본 결과, 올해 임시공휴일의 내수 진작효과가 더 컸던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임시 공휴일의 경우 유통업계가 어린이날·어버이날과 연계해 각종 할인 행사와 행사를 풍성하게 준비하고 중국·일본 등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한 점이 매출증가에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산업부는 분석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문체부, ‘2016 예술가의 장한 어머니상’ 수상자 선정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