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당도 20Brix 넘는 국내산 망고 품종 재배 가능

농진청, 수확시기 다르고 당도 높은 망고 6품종 선발

2016.07.01 농촌진흥청
목록

농촌진흥청은 수확시기가 다르면서 맛과 색깔이 뛰어난 다양한 망고 품종들이 국내에서 시설재배가 가능하다고 1일 밝혔다.

국내에서 생산하는 망고는 대부분 높은 가격의 선물용으로 판매하고 있다. 최근에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생산한 망고가 저렴한 가격으로 수입되고 있고 수입량도 점차 늘고 있다.

우리나라 망고 재배면적은 2001년 7.1ha에서 2015년 25.5ha로 3.6배 증가했으며 수입량은 2010년 1351톤에서 2014년 1만 599톤으로 7.8배 증가했다.

국내에서 재배되는 망고는 대부분 애플망고인 ‘어윈‘ 품종으로 다양한 기호를 가진 소비자들이 만족하기에는 부족하며 출하 시기가 비슷해 가격 하락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농진청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에서는 국내에서 다양한 망고를 재배하기 위해 18품종의 묘목을 2010년 미국에서 들여와 1년 동안 격리재배온실에서 식물검역을 받으며 시설하우스 재배 가능성을 검토했다.

약 3년 동안 묘목을 키운 후 지난 2014년부터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내 시설하우스 환경적응성 포장에서 수확 시기와 과실 품질을 조사 한 결과, 국내 시설재배에 적합한 ‘캐리어’, ‘초크아논’, ‘알폰소’, ‘도트’, ‘란세틸라’, ‘핀커링’ 등 총 6품종을 선발했다.


수확 시기가 가장 빠른 조생종은 ‘캐리어’, ‘초크아논’ 품종으로 6월 8~13일까지 수확 가능하다. 이후 수확이 가능한 중생종으로는 ‘알폰소’, ‘핀커링’이 있으며 수확 시기는 6월 15~23일까지다. 수확 시기가 가장 느린 만생품종은 ‘도트’, ‘란세틸라’로 7월 5~10일까지 수확한다.

당도는 ‘어윈’ 품종이 15Brix 내외로 낮은 반면, 6품종들은 20Brix 내외로 풍미가 우수했다.

앞으로 농진청은다양한 망고 품종별 재배법을 추가 연구한 뒤, 각 도 농업기술원과 농업기술센터로 이들 망고 품종의 접수를 분양할 계획이다.

또한 분양 받은 각 도 농업기술원과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는 묘목 증식을 통해 농가에 보급할 예정이다.

다양한 망고 품종의 보급이 확대되면 새로운 열대과일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를 해결하고 외식업체에서는 열대과일을 활용한 다양한 메뉴 개발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임찬규 농진청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연구사는 “수확 시기가 다양하고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는 품종들을 선발하고 시설재배에 적합한 재배 방법을 개발해 농가에 보급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문의:농촌진흥청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064-741-2550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한중 FTA 원산지 증명 절차 ‘쉽고 빠르게’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