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교통사고 영유아 응급환자 69% 카시트 미착용

미착용 시 외상성 머리손상 위험 2.1배, 중상 위험 2.2배 높아

2016.12.13 질병관리본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교통사고로 응급실을 찾은 6세 미만 영유아 중 69%가 카시트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미착용 비율이 높아 5세 아동의 카시트 착용률은 17%에 불과했다.

13일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교통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6세 미만의 어린이 3240명 가운데 카시트를 착용한 아동은 1003명(31%)이었으며 나머지 2237명(69%)은 카시트를 미착용했다.

연령별 카시트 착용률을 보면 12개월 이하는 36.5%였고 1세는 41.1%로 가장 착용률이 높았다.

2, 3, 4세의 아동의 카시트 착용률은 각각 33.3%, 26.9%, 23.7%였으며 5세의 착용률은 17.3%에 그쳤다.

질병관리본부는 카시트를 착용한 아이 가운데 사망을 포함한 응급수술 및 중환자실 입원이 필요한 중상환자는 1%에 불과했으나 카시트를 착용하지 않은 아이는 중상비율이 2.1%로 나타나 카시트 미착용 시 중상 위험이 2.2배 높았다고 설명했다.

‘외상성 머리손상’의 경우 카시트를 착용한 아이 중에서는 18.6%가, 카시트를 착용하지 않은 아이에서는 31.7%가 발생해 카시트 미착용 시 외상성 머리손상 위험은 2.1배 높았다.

외상성 머리 손상이란 교통사고, 추락 등 외부의 힘으로 뇌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전 생애에 걸쳐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6세 미만의 어린이가 교통사고 시 가장 많이 다치는 부위는 머리(60.6%)였으며 신체 두 군데 이상에 손상을 입은 다발성 손상(14.1%), 상·하지(7.4%), 팔·다리를 제외한 신체의 중추 부분인 체간(7.3%) 순이었다. 

응급실 손상 환자 심층조사는 지난 2006년부터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유형과 원인 정보를 분석한 자료로 2015년 기준 23개 병원이 참여해 연간 평균 25만건의 응급 손상환자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은 “연말 가족여행이나 평소 나들이 때 차량 동승 시에는 반드시 자녀의 소중한 생명과 건강을 위해 연령과 체중에 맞는 카시트를 착용해야 하고 다른 가족들도 안전벨트 착용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카시트 착용 안내를 비롯해 교통사고, 물놀이, 장난감, 화상, 낙상 등 어린이 손상 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문의: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043-719-739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천둥번개도 알고 대비…‘우리 동네 낙뢰정보’ 제공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