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사용해본 연필이 있다. 학생부터 중·장년층에 이르기까지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친숙한 동아연필이다. 1946년 국내 최초로 문을 연 문구 회사 동아연필이 올해 중소기업청이 선정하는 명문장수기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 |
김학재 대표. |
동아연필은 국내 문구 역사의 첫 페이지를 장식했다. 동아연필은 고(故) 김정우 회장이 일본의 미쓰비시에서 배운 연필 기술을 한국으로 들여와 1946년 설립했다. 동아연필은 ‘성실과 노력, 창조’라는 사훈 아래 지속적으로 국내 문구 산업 발전에 기여해왔다. 특히 볼펜, 물감, 크레파스 등 다양한 부문으로 사업 분야를 꾸준히 확장시켜 나갔다.
동아연필의 우수한 품질은 대내외적으로 인정받았다. 1986년 아시안게임, 1988년 올림픽의 공식 상품화권자로 지정됐고, 1998년과 2000년 신제품 경진대회 대상, 2000년 대한민국 디자인경영 우수상(대통령상) 등 화려한 수상 경력을 자랑한다. 동아연필은 다양한 국제적 인증을 획득해 국제적인 품질과 안전 기준에 맞는 제품을 세계 각국에 공급하고 있다. 동아연필은 탄탄한 기술력과 품질을 바탕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문구 회사로 성장했다. 현재 동아연필을 이끄는 사람은 4대째 가업을 잇고 있는 김학재(50) 대표다.
“연필은 내 삶의 일부분”
![]() |
“어려서부터 계속 지켜봤던 연필공장은 내가 언젠가는 일해야 할 곳이라고 생각해왔었어요. 증조할아버지부터 아버지까지 연필을 만드는 집안이었으니 당연히 연필은 내 삶의 일부기도 했습니다.”
가업을 물려받게 된 이유를 묻자 김 대표가 한 말이다. 당시 과장으로 입사한 그는 특별한 경영수업 대신 아버지의 가르침인 “제조업의 생명은 기술과 품질”이라는 말을 가슴에 새겼다. 당시 그의 첫 업무는 시장조사였다. 그는 회사 제품이 있는 현장에 나가 고객과 업주들의 목소리를 들었다. 동아연필의 신입 직원이 입사 후 가장 먼저 하는 일이다. 그는 능력 없는 후계자라는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 일부러 힘들고 어려운 일을 도맡아 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해외시장 확보에도 주력하기 시작했다. 동아연필은 이미 1963년 한국 최초로 연필을 수출한 전력이 있어 자신 있었다. 품질로는 일본 기업들을 넘어야 했고, 가격으로는 중국 기업들의 저가 공세를 이겨내야 했다. 그럴수록 김 대표는 기술력을 꾸준히 쌓아나갔다. 1999년에는 ‘중국 광저우 동아문구 유한회사’를 설립해 글로벌 문구 제조사로서의 위상을 확보했다. 세계화의 전진기지를 마련하고, 중국을 비롯해 전 세계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동아연필은 어린이 안전사고에 대비한 원료 배합과 디자인으로 미국 기준의 무독성 인증인 AP 마크와 유럽 어린이 사용 안전기준인 EN71을 통과했다. 현재 지식재산권만 674건을 보유할 정도로 세계 최고 수준의 필기구 제조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 |
“볼펜 잉크나 부품 등을 다른 업체에 주문한 다음 모아서 조립하면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다만 품질관리가 상대적으로 어려워진다. 단가를 낮추는 것보다 훨씬 중요한 것이 품질이다. 동아연필은 자체 제작으로 제품의 품질을 완벽하게 관리하고 있다.”
적당히 만들어 제품을 내놨다가는 고객이 먼저 알아챈단다. 2016년 기준 동아연필은 400억 원의 연매출을 올렸다. 중성펜 등 주력 제품의 국내시장 점유율은 무려 60%에 달한다.
김 대표는 “이제 문구 시장의 성수기인 봄이 왔다”고 말했다. 문구업계의 한 해 매출을 좌우할 정도로 입학과 졸업 시즌이 겹치는 2~3월은 대목이다. 하지만 상황이 녹록지만은 않다. 그는 “요즘 소비와 투자 모두 위축되면서 경제상황이 어렵지만 이럴 때일수록 제조업체들은 기본과 기초를 튼튼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동아연필은 매출의 상당 부분을 다시 신제품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문구류는 수명이 짧은 편이라 끊임없이 새로운 디자인과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특히 동아연필이 중성펜에 장착한 잉크가 흘러내리지 않는 ‘역류 방지 기술’과 사용할 때만 잉크가 나오는 ‘유(U)스프링’ 기술은 업계에서 유명하다. 뚜껑을 열어도 마르지 않는 투명한 고체형광펜 등도 대표 상품이다.
한 우물을 파라!
동아연필은 필기구를 만드는 데 사용하던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활용품 시장에도 뛰어들었다. 그래서 탄생한 제품이 옷에 얼룩이 생겼을 때 지울 수 있는 생활용품 ‘싹스틱’이다. 기존에 나와 있던 ‘고체형광펜’ 기술을 적용했다. 얼룩이 생긴 부위에 제품을 풀칠하듯 문지르면 얼룩 제거가 가능하다. 최근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IT 기기가 볼펜, 연필 등을 대신하면서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줄어 변화 없이는 살아남기 힘들어졌다. 김 대표는 “펜은 머리에서 나온 생각과 감정을 손으로 표현하게 해주는 매력적인 도구”라면서 “시대가 바뀌어도 필기구는 인간과 영원히 함께하는 친구 같은 존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으로도 지속 성장이 가능한 장수기업들이 많이 생겨나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동아연필은 앞으로도 정직한 유통구조와 무독성 제품 개발 등으로 국산 제품의 신뢰성을 쌓아나갈 계획이다. 김 대표는 “세계 문구 시장에서 ‘Made in Korea’의 위상을 떨쳐 글로벌 장수기업이 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장수기업을 꿈꾸는 신생 기업인들에게도 하고 싶은 말이 있다고 했다. “기업이 장수하려면 일단 한 우물을 파야 합니다. 다만 시대의 흐름에 맞는 변화와 차별화된 제품 개발을 자꾸 시도해야 발전이 있다고 생각해요. 기업이 성장해갈 때도 계속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합니다. 초심을 잃지 않고 기술과 품질에 승부를 건다면 장수기업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 |
동아연필 개요
● 1946년 설립
● 매출 : 400억 원
● 임직원 : 136명
● 사업 분야 : 연필, 볼펜, 물감, 크레파스 등 각종 문구류 생산.
● 특징 : 노동조합과의 주기적인 노사협의회, 임금 및 단체협약을 개최하여 근로조건 향상에 노력
경영철학
● 제품의 품질과 기술력으로 승부
● 시대 흐름을 읽고, 끊임없는 신제품 개발
● 성실, 노력, 창조
● 노사분규 없는 노사화합 경영
● 학교 재단을 통한 인재 양성
사진 · 동아연필
[위클리공감]
-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명문 장수기업] 장독대에서 시작한 72년 장맛 매일식품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