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기저귀도 못 갈던 초보 아빠, ‘육아 멘토’로 거듭난 비결은?

보건복지부 ‘100인의 아빠단’ 7기 발대

2017.06.01 위클리공감
글자크기 설정
목록

지난 5월 14일 보건복지부 선정 ‘100인의 아빠단’이 발대식을 가졌다. 올해로 7기를 맞이한 100인의 아빠단은 저출산 극복을 목표로 아빠의 육아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작한 대한민국 대표 아빠 육아 모임. 성과도 좋다. 자타 공인 초보 아빠들이 6개월간의 대장정 이후 육아 베테랑으로 거듭난다.

인천에 거주하는 김태규 씨는 맞벌이 부부다. 슬하엔 막 걸음마를 뗀 딸 김꽃송이(4) 양을 뒀다. 아내는 틈만 나면 이렇게 말한다. “꽃송이가 아빠 껌딱지네, 껌딱지야.” 동네에선 소문이 자자하다. 자칭·타칭 ‘육아 9단’이지만 불과 1년 전만 해도 딴판이었다. 기저귀도 못 갈던 초보 아빠였다.

“아이가 낯을 많이 가렸어요. 엄마만 찾고 다른 사람들에게는 가지 않더라고요. 아빠인 제가 안으려고 해도 자지러지게 우니까 무서워서 안지도 못했어요.”

아이를 제대로 안지도 못하는 아빠라니. 문제다 싶었다.

“도와줄 수 있는 게 뭘까 고민하면서 ‘아빠 육아’와 관련된 글을 인터넷에서 찾아보다가 보건복지부의 ‘100인의 아빠단’이라는 걸 알게 됐어요. 마침 그날이 접수 마감일이더라고요. 부랴부랴 신청을 했죠.”

‘100인의 아빠단’은 저출산 극복을 목표로 아빠의 육아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2011년 시작된 대한민국 대표 아빠 육아 모임이다. 육아에 서툰 초보 아빠를 대상으로 육아법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2016년까지 약 900여 명의 아빠가 참여했다.

초보 아빠들의 육아일기 시작

김태규 씨와 딸 김꽃송이 양.
김태규 씨와 딸 김꽃송이 양.

김 씨는 2016년 6기 활동 멤버. 절실했던 만큼 열심히 활동했고, 6개월간의 여정 끝에 100명 중 ‘최우수 아빠’로 선정됐다. 그는 “함께 활동한 아빠들 중에 다둥이 아빠도 많은데 최우수 아빠로 선정돼 쑥스럽다”면서도 “초보 아빠들에게 꼭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고 했다.

“남자들은 성과에 집착해요. 육아에서도 성과를 내려고 하는데 그게 결국 문제가 됩니다. 예를 들어 아이와 놀아줘야겠다고 목표를 세우고 계획을 짜요. ‘이렇게 놀아주면 좋아하겠지’ 하고요. 그런데 그 계획은 아빠 관점에서 세운 것이니 아이가 안 따라올 수도 있죠. 그럼 성과가 없는 셈이니 아빠는 좌절하게 돼요. 다시 시도하기도 어렵고요. 이때는 마음가짐 자체를 바꿔야 해요. 아이와 놀아주는 게 아니라 ‘같이 논다’는 개념으로 접근하는 거죠. 아빠가 재미있어야 아이도 즐긴답니다.”

지난 6개월간의 아빠단 활동은 그에게 ‘육아 베테랑’이라는 타이틀 외에 또 다른 결실도 안겨줬다. 바로 둘째다. 오는 6월 둘째의 출산을 앞두고 있는 그는 “육아라는 게 생각처럼 쉽지 않아 둘째 생각이 없었는데 100인의 아빠단 참여 이후 바로 둘째가 생겼다”며 웃었다.

“아빠의 육아는 아이의 정서발달에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평소 주 양육자인 엄마와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아이들은 엄마와 놀고 말하고 싸우기도 하면서 애착을 형성하죠. 그렇다 보니 아이들이 듣는 음성은 다정다감하고 여성스러운 목소리예요. 하지만 평소에 많이 접하지 못했던 아빠의 말투와 목소리로 다양한 언어 자극을 주면 아이의 인지발달과 언어발달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아빠와의 스킨십도 정서발달에 좋은 영향을 미치죠.”

김 씨는 올해 발대한 아빠단 7기의 멘토로도 선정돼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2017년 ‘100인의 아빠단’은 지난 5월 14일 발대식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발대식에서는 아빠단 위촉장 수여, 아빠단 활동 안내 등과 함께 아빠와 아이가 직접 쿠키를 만들어보는 체험 프로그램, 마술을 연계한 ‘쿠킹 마술쇼’를 진행해 호응을 얻었다.

100인의 아빠단 발대식 쿠킹 마술쇼.(사진=보건복지부)
100인의 아빠단 발대식 쿠킹 마술쇼.(사진=보건복지부)

멘토 20명과 초보 아빠 100명으로 구성된 아빠단 7기는 앞으로 6개월간의 대장정을 함께한다. 멘토로는 김태규 씨 외에도 심리상담가 전용선, 의정부성모병원 김영훈 교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인 아빠들이 참여한다.

특히 올해는 더욱 풍성한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다. 육아가 자녀뿐만 아니라 아빠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알리며, 남성의 육아 참여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기존 활동 분야(교육·건강·일상·놀이)에 ‘관계’ 부분을 추가해 다양한 육아 미션을 수행하고 온·오프라인 멘토링을 통해 육아 노하우를 공유한다.

현재 공개된 미션 중 교육 미션은 ‘아빠와 함께 인사 나누기’다. 이는 <하루 10분 아빠 육아>의 저자 안성진 씨가 내놓은 미션. 그는 “공부보다 더 부각되는 것이 아이의 인성이며, 인성 교육은 아이가 어릴 때 가정에서 시작된다”고 전제하고, 인성을 키우는 방법 중 예절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인사 배우기’를 미션으로 제시했다. 이 미션을 수행하는 방법은 다양한 상황에서 아이가 예쁘게 인사하는 모습을 찍어 공식 카페에 올리는 것이다.

안 씨는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아이가 부끄러움이 많아 인사를 잘하지 못한다고 해서 억지로 인사를 시키지는 말라”면서 “인사가 어쩔 수 없이 하는 일이 되면 안 된다. 왜 인사를 해야 하는지 알고, 자연스럽게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가장 중요한 점은 아빠가 먼저 인사 달인이 되는 것”이라면서 “아이는 아빠가 말한 대로 하지 않는다. 아빠가 보여주는 대로 따라 한다”고 강조했다.

놀이 미션도 진행 중이다. 이 미션은 김태규 씨가 제시한 것으로, 첫 놀이 미션은 ‘스마트폰 멀리하고 아빠와 함께 신나게 놀기’다.

김 씨는 미션 제안의 배경을 이렇게 설명했다. “스마트폰이 아이의 언어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것은 확실한 사실입니다. 저는 언어치료사로 일하고 있는데, 매일 다양한 아이들을 만나면서 요즘 아이들의 스마트폰 문제를 절실히 느끼고 있죠, 아이의 언어발달이 늦은 경우 가정환경(부모의 양육태도 등)만 바꿔도 아이의 언어가 크게 향상되는 사례가 많아요. 그런데 요즘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스마트폰입니다.”

여기에 더해 구체적인 놀이 방법도 알려줬다. 기저귀를 뗄 무렵의 아이와 함께하는 ‘기저귀 안녕~’, 3~4세 아이의 ‘수건 꼬리잡기’, 5~7세 아이의 ‘카드 뒤집기’ 등이다. 이러한 미션도 마찬가지로 아이와 함께 신나게 노는 모습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찍어 공식 카페에 올리면 된다.

5월 14일 ‘100인의 아빠단’ 7기가 발대식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사진=보건복지부)
5월 14일 ‘100인의 아빠단’ 7기가 발대식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사진=보건복지부)

아빠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

아빠단 진행기간 동안 멘토와 초보 아빠들은 인터넷 카페(cafe.naver.com/motherplusall)를 중심으로 활동하게 된다. 아빠단이 아니라도 누구나 커뮤니티에서 육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아빠단의 활동을 전파하고 아빠의 육아 참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확산하기 위해 하반기 중 ‘육친소(육아하는 아빠 친구를 소개합니다) DAY-1박2일 숲캠프’도 진행할 계획이다. ‘육친소 DAY’는 아빠단 활동 경험이 있는 아빠가 친구 또는 지인의 가족을 직접 초청하는 행사로, 2016년 처음 시도된 프로그램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 육아와 가사를 부부가 함께하는 문화가 전 사회적으로 확산돼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100인의 아빠단을 통해 아빠들이 육아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쌓고 이를 공유·확산함으로써 부부의 동등한 가사·육아 참여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가족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육아에 서툰 초보 아빠들이 가진 다양한 고민을 속 시원히 해결할 수 있도록 네이버 맘·키즈와 함께 온라인상에서 ‘아빠 육아 상담소’를 운영한다. ‘아빠 육아 상담소’에는 정신과 전문의 정우열, 심리학 칼럼니스트 강현식, 인문학 작가 권영민 등 6명의 육아 선배 아빠가 참여하며, 접수된 고민에 대한 상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고민 접수 등 자세한 사항은 가나다 캠페인 공식 포스트(post.naver.com/babybirth_mw)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클리공감]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이 총리, 첫 민생 행보…안성 가뭄 현장 찾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