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전국 국가어항 110곳 종합 개발계획 마련한다

해수부, 수립용역 착수보고회…지역사회 새로운 상생공간으로 조성

2019.05.14 해양수산부
목록

전국 110곳 국가어항의 중장기 발전방향을 담은 종합계획이 마련된다.

해양수산부는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국가어항 개발계획 수립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국가어항의 혁신전략과 중장기 개발계획을 수립한다고 14일 밝혔다.

강릉항 방파제에서 바다낚시를 하고 있는 사람들.(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강릉항 방파제에서 바다낚시를 하고 있는 사람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국가어항은 방파제와 소형선 부두 등을 갖추고 있어 수산물과 각종 조업도구를 어선에 옮겨 싣고 어선을 안전하게 접안시켜두는 지역 수산업 근거지다.

최근에는 낚시, 레저보트, 어촌체험 등 다양한 해양관광을 즐기는 일반인도 즐겨 찾는 생활형 사회간접자본(SOC)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국가어항은 이용범위가 전국적이고 기상악화 시 어선 대피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국가가 직접 지정해 개발하는 곳이다. 관리·운영은 관할 지자체에서 맡고 있다.

국가어항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국에 110개가 지정돼 있다.

그동안 국가어항은 개별 어항의 수요에 맞춰 개발계획이 수립돼 전국적인 관점에서의 계획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 어장환경의 변화와 선박의 대형화로 인한 조업범위 확대, 양식산업의 지속적인 확대 등 국내 수산업 환경이 크게 달라짐에 따라 국가어항의 기능과 개발방향에 대한 정책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어항별 관점에서 벗어나 최초로 전국단위의 종합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용역에 착수하게 됐다. 용역은 66억원을 들여 2년간 진행된다.

이를 통해 국가어항 현황을 분석하고 개발 잠재력, 지역 개발계획, 사업타당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국가어항 정책목표와 혁신전략을 세운다는 계획이다.

또 ‘어항시설 기본계획’, ‘어항정비계획’, ‘어항환경 개선계획’, ‘레저관광계획’ 등도 수립할 예정이다.

정복철 해수부 어촌양식정책관은 “국가어항을 지역사회의 새로운 상생공간으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라며 “해수부가 추진하고 있는 어촌뉴딜300사업의 지역특화 기능과 국가어항의 지역거점 기능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동반상승 효과도 높이겠다”고 밝혔다.

국가어항 위치도.
국가어항 위치도.

문의: 해양수산부 어촌어항과 044-200-5655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공무원 ‘적극행정’ 면책 범위 확대…관련규정 일괄 입법예고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