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지역가입자 보험료 중 소득비중 높이고 재산비중 감소 계획

12월 6일 한국경제 <징벌적 종부세에 건보료까지… 은퇴자 허리 휜다>, <한 채뿐인 집 값 올랐다고… 국민연금 절반을 보유세·건보료로 내야>에 대한 설명입니다

2019.12.06 보건복지부
목록

[복지부 설명]

□ 건강보험제도는 지난 2017년에 발표한 부과체계개편에 따라 소득에 대한 보험료는 높이고, 재산에 대한 보험료는 점차 낮춰가는 “소득 중심 부과체계”로 단계적으로 개편해 나가고 있습니다.

○ 1단계 개편(’18.7월)에 따라 재산 공제제도를 도입하여 재산에 대한 보험료 부담을 낮추고 자동차 보험료도 축소하였으며, 2단계 개편(’22.7월) 시에 이를 더욱 확대할 예정입니다.

건강보험 부과체계 개편 내용.
건강보험 부과체계 개편 내용.


○ 2단계 개편(’22.7월)에 따라, 지역가입자의 보험료 중 재산에 매기는 비율은 41%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재산보험료 비중 : ’17년 12월 51.3%→’19년 7월 45.5%→’22년 7월 41% 

□ 올해 피부양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자격이 전환된 52만 3천명 중 50만 7천명(96.9%)은 소득이 증가하거나 부양요건*으로 인한 것이며, 재산의 증가로 전환된 경우는 1만 4천명(3.1%)입니다.

* 형제·자매는 피부양자에서 제외, 다만, 연소득 3,400만 원 이하 이고 재산 과표 1.8억 원 이하인 65세 이상, 30세 미만, 장애인은 피부양자 가능

□ 또한, 중저가 주택은 공시가격 인상*이 크지 않고, 지역가입자 중 재산 보험료를 내는 세대가 절반 이하(47%)임을 고려할 때, 공시가격 인상이 건강보험료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공동주택의 경우 시세 3억 이하는 2.45%가 감소” (3.14일,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참고)

** 건보료 기준인 과세표준은 실거래가의 50∼70% 수준인 공시가격의 60∼70% 수준으로 실거래가 대비 40∼50% 수준(예 : 실거래가 10억 원 = 공시가격 7억 원 = 과세표준 4.2억 원)

○ 실제 지난달 건보료가 많이 인상된 상위 100명을 분석한 결과, 재산이 증가된 경우는 19명(재산만 증가는 1명)이며, 81명은 소득 증가로 인한 것으로   

□ 올해 우리나라 보험료율은 6.46%(직장)수준으로 1인당 보험료에 비해 급여비를 1.17배 받고 있으며, 내년에는 국고지원을 1조1천억원을 증액하여 정부의 국고지원비율을 14%(’19년 13.6%)로 높이는 등 안정적인 제도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보험료율 : 독일 14.6%, 일본 10%, 벨기에 7.35%, 오스트리아 7.65%

** ’18년 1인당 연간 평균보험료 1,056,782원, 1인당 연간 급여비는 1,238,582원

문의 : 보건복지부 보험정책과(044-202-2706)

이전다음기사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