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복지부, 국산 의료기기 유럽 인허가 상담 지원

5개 기업에 각 2000만원 지원…하반기 정보제공 세미나 개최 예정

2020.05.25 보건복지부
목록

보건복지부가 유럽 인허가 제도 강화에 따른 국내 의료기기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진단용 엑스선 촬영 장치를 포함한 총 5개 기업 제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기업은 에코트론(진단용 X선 촬영장치), ㈜디맥스(절삭가공용치과도재), 주식회사 선메딕스(피부용멸균스테플), ㈜세종메디칼(일회용내시경투관침), ㈜비스토스(분만감시장치)로, 유럽 기준 2a등급 이상인 제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수출 비중이 높아 유럽 인증 강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높은 상황이다.

복지부는 의료기기와 관련한 유효성 및 안전성 인식은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로, 지난 2010년 유방성형용 의료기기에 공업용실리콘이 사용되어 3만 명 이상이 피해를 보는 사고(프랑스)가 발생했던 유럽에서는 내년 5월부터 강화된 인허가 규정을 적용하기로 발표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새로운 유럽 인증 규정(MDR)은 임상 자료 요건 강화 및 시판 후 감시활동 강화 등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데, 임상평가 보고서로 갈음하던 인증지침이 의료기관 내 임상시험 필수를 포함한 인증규정으로 강화되었고 시판 후 임상후속조치를 포함한 안전성 보고서를 정기제출하는 등의 의무규정이 생겼다.

때문에 이러한 변화로 임상평가보고서 등 문서작성 및 인증 심사 비용 부담이 증가해 국내 중소 의료기기 기업이 인허가를 갱신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의료기기 기업들은 유럽 인증을 활용해 신남방 국가 및 중동에도 진출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준비가 중요하다.

이에 복지부에서는 선정된 이들 기업과 전문 상담(컨설팅) 기업으로 구성된 연합체(컨소시엄)에 곳당 2000만 원을 지원하며, 최종 유럽 인증을 획득하기까지 지속 관리할 예정이다.

이번 지원에 대해 선정기업 중 하나인 김태호 ㈜비스토스 전무이사는 “유럽 인증(MDR)을 자체적으로 준비하는 데 한계가 있었으나, 복지부에서 기업의 어려움을 사전에 파악하고 지원해준 덕분에 시행착오를 줄이고 발 빠르게 인증을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복지부는 올해 하반기에 전체 의료기기 기업을 대상으로 새로운 유럽 인증 규정에 대한 정보제공 세미나를 개최하고, 유럽인증규정이 요구하는 규제준수책임자의 전문성 유지·향상 활동을 위한 교육도 할 계획이다.

임인택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최근 진단키트 등으로 국산 의료기기에 대한 해외 수요가 높은 상황에서 외국 제도 변화에 선제 대응해 국내 의료기기 기업의 수출 및 국제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 보건복지부 의료기기화장품TF(044-202-2969)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문 대통령 “전시재정 편성 각오로 정부 재정역량 총동원”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