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무더운 날씨가 지속되고 있어 자칫 기력이 떨어지기 쉽다. 여름철 기력 회복에 좋은 6월의 제철 수산물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본다.
1. 광어
가자미목 넙치과에 속하는 광어는 우리나라 해산어류 중 전체 양식 생산량의 90%를 차지할 정도로 전 국민이 선호하는 어종이다.
원래 ‘넓다’는 뜻의 ‘넙’과 물고기를 뜻하는 ‘치’자를 합친 ‘넙치’가 표준어이지만, 과거에 사투리였던 ‘광어’도 대중적으로 사용되면서 표준어로 지정됐다.
생김새는 도다리와 비슷해 구별이 어려운데, 이른바 ‘좌(左)광 우(右)도’라는 구분법으로 구별할 수 있다. 배를 아래쪽에 두고 머리 앞에서 볼 때 눈이 왼쪽에 몰려 있으면 광어, 오른쪽에 있으면 도다리이다.
단백질이 풍부하고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어 당뇨병 환자나 어린이와 노약자에게 좋다. 또한 근육 생성에 도움이 되는 아미노산도 함유하고 있어 체력 증진에도 도움이 된다.
▲ 광어 요리법
흰살 생선답게 담백한 맛이 일품이라서 광어회와 광어초밥으로 많이 즐긴다.
광어미역국을 끓이면 뽀얀 국물과 부드럽고 담백한 광어의 부드럽고 흰살이 매력적이다. 또한 광어살에 소금과 후추로 간을 한 후 튀겨낸 광어살 튀김도 맛있다.
2. 농어
‘제철 농어는 바라보기만 해도 약이 된다’라는 옛말이 있을 정도로 여름철 대표 보양식으로 꼽힌다.
농어는 회로 먹을 때 산성을 띄기 때문에, 상추나 배추 같은 채소를 같이 섭취해 중화시켜주면 좋다.
지방함량이 낮아 다이어트에 좋고 비타민이 풍부해 면역력 증진 및 감기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농어의 단백질과 철분, 아미노산은 임산부와 태아에게도 좋다.
▲ 농어 요리법
대부분의 생선회가 여름에 맛이 떨어지는 반면, 농어는 여름철에 맛이 좋아진다. 그 이유는 농어의 산란기가 늦가을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산란을 준비하는 여름철에 살이 올라 맛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농어회는 씹으면 씹을수록 단 맛이 올라오는 것이 특징이며, 숙성회로도 많이 즐기는데 숙성하면 단맛과 풍미가 올라온다. 또한 농어는 뱃살이 맛이 좋기로 유명한데 기름기가 풍부해 고소하고 씹는 맛을 느끼기에 좋다.
회 뿐만 아니라 농어살스테이크로 먹기도 하며, 회를 뜨고 난 뼈는 탕으로 먹는다. 농어는 사케나 백포도주와 잘 어울린다.
제철을 맞은 광어와 농어를 평소보다 저렴하게 즐길 수 있도록 주요 유통업계에서는 특별 할인행사를 진행한다.
전국 홈플러스(광어 6. 4.~10. / 농어 6. 11.~17.), 이마트(광어 6. 11.~18.)와 롯데마트(광어 6. 11.~16. / 농어 6. 25.~7. 1.)에서 10~30% 할인 판매할 예정이다.
피쉬세일(www.fishsale.co.kr)에서는 광어와 농어 모두 최대 20%까지, 우체국 쇼핑몰(mall.epost.go.kr)에서는 농어를 최대 18%까지 할인 판매한다.
<자료=해양수산부, 어식백세 블로그>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 레커차 사고차량 운송 때 ‘구난동의서’ 의무화된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