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퇴직연금·펀드 중도해지 시 불이익 안내해야"

2020.10.26 KTV
목록

유용화 앵커>
퇴직금을 연금처럼 받는 퇴직 연금의 가입자와 규모는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입자의 혜택만 강조하고, 해지했을 때 불이익이나 수수료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안내하지 않는 등 권익 보호 장치는 허술한데요.
금융 당국이 이런 불합리한 약관을 손보기로 했습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IRP, 개인형 퇴직연금은 대표적인 노후 대비용 상품이자 세금 절약상품으로 꼽힙니다.
1년 납입액 기준으로 최대 7백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 직장인들의 가입이 꾸준히 늘고 있는 가운데 지난 6월 말 기준 적립금이 30조 원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운용하는 금융회사들이 개인형 IRP의 혜택만을 강조할 뿐 가입자가 중도 해지할 경우의 불이익이나 수수료에 대한 설명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민원이 잇따르자 금융당국이 개선에 나섰습니다.
개인형 IRP 계약을 할 때 가입자가 중도 해지하거나 퇴직연금을 받을 때 발생하는 수수료 부과 기준 등, 꼭 알아야 할 내용을 담은 핵심 설명서를 금융회사가 가입자에게 전달하도록 한 겁니다.
보험사들이 판매하는 퇴직연금의 tn약관도 달라질 전망입니다.
보험사나 연금수령 방법에 따라 연간 연금수령액의 최대 1.2%까지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지만, 기존의 보험사 퇴직연금약관에는 이러한 수수료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이에 금융당국은 보험사의 퇴직연금약관에도 연금 수령단계에 따른 수수료율을 표기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또 퇴직연금을 이용해 적립하는 퇴직연금펀드를 중도 해약할 때 투자자가 증권 회사에 내는 수수료인 환매수수료에 대한 안내도 강화됩니다.
만기가 없는 대부분의 공모형 퇴직연금 펀드와 달리 일부 사모펀드와 만기매칭형 공모펀드는 환매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안내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 펀드 운용지시서에 환매수수료를 직접 적게 해 환매에 따른 불이익을 사전에 알 수 있도록 절차가 달라집니다.
또 회사가 퇴직연금계좌에 비정기적으로 넣는 퇴직금이나 성과금이 정기 납입금과 함께 운용돼 손실이 발생하는 일이 발생하자 부정기 납입금에 대해서는 별도 운용지시를 받도록 했습니다.
(영상편집: 정현정)
금융당국은 은행 등 퇴직연금사업자들이 연말까지 개선사항들을 이행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KTV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1,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3분기 GDP 성장률 1.9%…상반기 역성장 딛고 반등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