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호남고속철도 2단계 및 인천·수원발 KTX 공사 본격 추진

국토부, 시공업체 선정·연내 착공…인천·경기·전남 고속철도 수혜지역 확대

2020.12.21 국토교통부
목록

나주 고막원과 목포 임성리를 잇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 사업과 인천·수원발 KTX 사업이 본궤도에 오른다.

국토교통부는 이들 3개 사업 6개 공구 노반공사의 시공업체가 선정돼 연내 착공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신규 고속철도 사업을 통해 고속철도의 이용에 어려움이 있던 인천, 경기 서남부권 및 중부권, 전라남도까지 고속철도의 수혜지역이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호남고속철도 2단계(고막원~목포) 건설사업’은 전라남도 무안국제공항을 경유하는 고속신선 건설 사업으로 총사업비 2조 5789억원을 투입, 2025년 공사 완료를 목표로 추진된다.

고막원∼임성리 신설노선은 본선 44.1km와 정거장 1곳(무안공항)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이번 착공구간은 기타 공사구간(제1·3·6·7공구, 26.4㎞)으로 노반공사비 6653억원이 투입된다.

공사를 완료하면 용산·수서에서 목포까지 이동에 걸리는 시간은 약 2시간 10분으로 예상된다. 또 무안공항 접근성이 대폭 향상되는 등 전남 주민의 철도·공항 이용 편의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발 KTX 직결사업’은 수인선과 경부고속선을 연결하는 사업으로 고속철도 서비스 접근이 어려운 인천·안산·화성지역에 KTX 열차가 직결운행된다. 총 사업비는 4238억원이 투입된다.

2024년까지 공사를 완료하면 송도~부산 간, 송도~목포 간 소요시간은 각각 약 2시간 20분, 약 2시간 10분으로 예상된다.

또 그동안 KTX를 이용하기 위해 서울, 광명 등을 찾아야 했던 인천·안산·화성시민들의 불편이 해소될 전망이다.

‘수원발 KTX 직결사업’은 경부선과 수도권고속철도를 연결, 고속철도 서비스 접근이 어려운 수원을 비롯한 수도권 동남부지역에 고속철도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한 사업이다. 총 사업비는 2772억원으로 2024년이 완공 목표다.

공사가 완료되면 수원∼부산, 수원∼목포 간 이동시간은 약 2시간 10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는 이번 3개 사업을 통해 2025년까지 7조 2084억원 가량의 생산유발과 6만 628명의 고용 유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김선태 국토부 철도국장은 “그동안 고속철도 이용에 불편과 어려움이 있던 지역에 신규 고속철도를 건설함으로써 철도이용자의 편의성이 확대되고 이용시간은 단축하게 됐다”며 “전국 고속철도망 확대를 통해 철도이용자의 교통서비스 향상은 물론 지역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호남고속철도 및 인천발/수원발 KTX 노선도.
호남고속철도 및 인천발/수원발 KTX 노선도.

문의: 국토교통부 철도건설과 044-201-3961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익산 미륵사지·양양 서퍼비치 등 ‘2020 한국관광의 별’ 되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