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심수현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심수현 팩트체커>
1. 미접종자 입국 격리 면제, 코로나 유입 관리 방안은?
코로나19 안정화 추세에 따라 6월 8일 부터는 백신 미접종자도 해외에서 한국으로 입국했을 때 격리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기존에는 접종 완료자만 격리가 면제되고 미접종자는 7일간 격리 의무가 있었는데요.
이제부터는 이러한 격리가 내국인과 외국인 모두 사라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8일 이전에 입국해 자가격리를 하고 있는 미접종자의 경우에는 어떻게 되는 지 헷갈리실 수 있는데요.
격리 면제 조치는 소급 적용됩니다.
즉, 입국 후 코로나19 음성 확인을 받았다면 격리 중이라도 8일부터 격리가 해제됩니다.
이렇게 방역 조치가 느슨해지면서 혹시나 코로나 유입이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는데요.
신종 변이 유입을 관리하기 위해 입국 전후의 검사는 유지됩니다.
입국 전에는 PCR이나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결과를 제출해야 하고요.
입국 후의 절차를 살펴보면요.
우선 이렇게 3일 이내에 PCR 검사를 필수적으로 받으셔야 하고, 6일차나 7일차에 자가검사가 권고됩니다.
입국 후에 필수적으로 받는 PCR의 경우 내국인과 장기체류 외국인은 보건소에서 무료 검사가 가능한데요.
다만, 단기체류 외국인은 공항 검사센터나 의료기관에서 자부담으로 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점 알고계셔야겠습니다.
2. 콜라 속 당류, 구토 유발할 수준이다?
날씨가 더워지면 목으로 넘기는 순간 청량감을 주는 탄산음료 찾는 분들 많으신데요.
하지만 탄산음료에 당류가 많이 포함돼 있기 때문에 마시고 싶어도 자제하는 분들도 있을겁니다.
그런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콜라에 포함된 당류와 관련해 그 양이 구토를 일으킬 수준으로 과도하다는 내용이 꾸준히 공유되고 있는데요.
원래 콜라를 마시는 순간 구토가 유발되지만, 인산이라는 성분이 구토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겁니다.
이 내용, 사실일까요?
극도의 단맛을 느꼈을 때 구토를 하는 사람이 존재하는 건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콜라에 포함된 당류가 구토를 일으킬 수준인지가 관건인데요.
콜라의 경우 355mL 캔 음료 기준으로 40g의 당류가 포함돼 있습니다.
하지만 스무디나 에이드류 음료에 들어가는 당류는 평균 65g, 핫도그를 먹을 때 섭취하는 당류는 평균 53g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요.
스무디나 핫도그에 포함된 당류가 구토를 유발할 만큼이라는 지적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콜라에 들어가는 설탕의 양도 구토를 일으킬 수준이라 볼 수 없는거죠.
그렇다면 이러한 주장은 어디에서 비롯된 걸까요?
해당 내용은 레니게이드 파마시스트, 한국어로는 약사 변절자 라는 뜻을 가진 미국의 개인 웹사이트에 처음 업로드 된 내용인데요.
콜라의 유해성을 강조하며 인산과 다른 감미료가 지나친 단맛으로 인한 구토를 억제한다고 언급했는데, 이를 일부 국내 언론에서 인용 보도해, 온라인 상에서 신뢰성 있는 연구의 결과처럼 퍼지게 된 겁니다.
해당 성분이 어디에 쓰이는 지 확인해보니, 유명 콜라 브랜드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구토 억제가 아니라 톡 쏘는 맛을 내기 위해 사용한다고 명시하고 있었고요.
전문가들에 의하면 식품에 첨가돼 있는 산의 경우 양이 매우 적어 몸에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없다고 합니다.
3. 아플 때 피해야 하는 수산물은?
아플 때는 일반적으로 식사를 더 잘 챙겨 먹어야 빨리 회복할 수 있는데요.
편두통으로 고생하던 A씨도 몸의 기력을 보충하기 위해 우선 식사를 했는데, 식사 이후 오히려 증상이 더 심해 졌다고 합니다.
이렇게 A씨가 준비한 반찬 중에 포함된 젓갈이 그 원인 이었는데요.
A씨가 섭취한 젓갈류를 포함해 청어나 멸치, 그리고 통조림류에는 공통적으로 티라민이라는 성분이 있는데요.
해당 성분은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이기 때문에 편두통을 심화할 수 있습니다.
증상별로 먹으면 해가 되는 음식들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
말린 새우나 멸치, 등푸른생선 혹은 조개는 통풍이 있다면 섭취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음식들에 함유된 퓨린이 체내에서 분해되면 요산으로 변하는데, 요산이 바로 통풍의 주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등푸른생선이나 연어, 참치는 두드러기에 좋지 않은데요.
바로 히스타민 성분 때문입니다.
히스타민 성분의 경우 두드러기 외에도 천식이나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에 좋지 않은 만큼 해당 질환을 가지신 분들은 식단을 짤 때 유의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다양한 궁금증에 대한 정확한 팩트, 전해드렸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케이팝에 매료된 터키…한-터 수교 65주년 공연 ‘후끈’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