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의 기회균형선발 신입생이 4만 7421명, 전체의 14.3%로 전년보다 1.6%p 늘었다.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 수는 58개로 작년(53개)보다 9.4% 늘었고, 학생 수는 3018명으로 지난해 보다 19.0% 증가했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30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2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대학정보공시는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특별법’ 및 시행령에 근거해 진행된다. 내용은 학교·학생·교원·재정 등 14개 분야 및 65개 항목·104개 세부항목으로 이뤄져 있으며, 4월·6월·8월·10월 항목별 정기공시와 수시공시로 공개된다.
교육부는 이번 6월 공시를 통해 학생 선발·산학 협력·강사 강의료·원격강좌 등의 정보를 공시하고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 194개교, 전문대학 133개교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 일반 및 교육대학
올해 일반 및 교육대학 입학생 33만 1906명 중 기회균형선발로 입학한 신입생의 비중은 14.3%(4만 7421명)로, 지난해 12.7%(4만 2079명)보다 1.6%p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의 기회균형선발 비율은 19.3%로 사립대학(12.8%)보다 6.5%p 높았고 비수도권대학은 17.0%로 수도권대학(10.5%)보다 6.5%p 높았다.
.jpg)
신입생의 출신고 유형별 비중은 일반고 73.9%(24만 5240명), 특수목적고 4.3%(1만 4264명), 특성화고 6.5%(2만 1610명), 자율고 9.7%(3만 2204명), 영재학교·검정고시·외국고등학교 등 기타 5.6%(1만 8588명)이다.
국공립대학의 일반고 출신 비율은 77.6%로 사립대학(72.7%)보다 4.9%p 높았고 비수도권대학은 76.5%로 수도권대학(70.2%)보다 6.3%p 높았다.
올해 대입전형에 참여한 입학사정관은 8911명이며, 전임 입학사정관 1197명 중 정규직 비율은 70.8%(848명)로 지난해 68.1%(816명)보다 2.7%p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의 전임사정관 중 정규직 비율은 81.4%로 사립대학(66.6%)보다 14.8%p 높았고 비수도권대학은 75.1%로 수도권대학(66.6%)보다 8.5%p 높았다. 학생부종합전형 서류평가에 참여한 입학사정관은 8299명, 서류평가 건수는 140만 8063건으로 확인됐다. 입학사정관 1명당 서류평가 건수는 169.7건으로 지난해 171.6건보다 1.1% 감소했다.
사립대학의 입학사정관 1명당 서류평가 건수는 179.8건으로 국공립대학(145.6건)보다 34.2건 높았고 수도권대학은 231.0건으로 비수도권대학(114.6건)보다 116.4건 높았다.
이와 함께 지난해 신규 학생 창업기업 수는 1722개로 2020년(1512개)보다 13.9% 증가했다. 창업강좌 수는 9001개로 2020년(8745개)보다 2.9% 늘었고 창업강좌 이수자 수는 30만 4920명으로 2020년(30만 3424명)보다 0.5% 증가했다.
기술이전 실적은 5813건으로 2020년(5056건)보다 15.0% 늘었고 기술이전 수입료는 1086억 원으로 2020년(876억 원)보다 24.0% 증가했다. 기술이전 건당 수입료는 1869만 원으로 2020년(1732만 원)보다 7.9% 올랐다.
올해 계약학과 수는 230개로 지난해(234개)보다 1.7% 감소했으나 학생 수는 8032명으로 지난해(7986명)보다 0.6% 증가했다.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 수는 58개로 지난해(53개)보다 9.4% 늘었고 학생 수는 3018명으로 지난해(2537명)보다 19.0% 증가했다. ‘재교육형’ 계약학과 수는 172개로 지난해(181개)보다 5.0% 줄었고 학생 수는 5014명으로 8.0% 감소했다.
지난해 주문식 교육과정 수는 333개로 2020년(350개)보다 4.9% 줄었고 주문식 교육과정에 참여한 학생 수는 1만 2444명으로 2020년(1만 3752명)보다 9.5% 감소했다.
올해 1학기 강사 강의료 평균은 시간당 6만 7400원으로 지난해보다 400원(0.7%) 올랐다. 국공립대학의 강사 강의료 평균은 8만 9400원으로 전년보다 1200원(1.3%) 상승했으며 사립대학은 5만 6400원으로 전년과 같았다.
이 밖에 지난해 원격강좌 수는 17만 882개로 2020년(34만 793개) 대비 49.9% 줄었으며 수강인원은 771만 3000명으로 2020년(1218만 명) 대비 36.7% 감소했다.
◆ 전문대학
올해 전문대학 전체 입학생 14만 363명 중 기회균형선발로 입학한 신입생의 비중은 3.2%(4525명)로, 지난해 3.5%(4962명)보다 0.3%p 감소했다. 국공립대학의 기회균형선발 비율은 3.4%로 사립대학(3.2%)보다 0.2%p 높았고 수도권대학은 3.7%로 비수도권대학(2.8%)보다 0.9%p 높았다.
신입생의 출신고 유형별 비중은 일반고 59.0%(8만 2962명), 특수목적고 1.7%(2334명), 특성화고 23.0%(3만 2277명), 자율고 4.7%(6572명), 영재학교·검정고시·외국인학교 등 기타 11.6%(1만 6218명)이다.
사립대학의 일반고 출신 비율은 59.2%로 국공립대학(53.6%)보다 5.6%p 높았고 수도권대학은 67.6%로 비수도권대학(52.3%)보다 15.3%p 높았다.
아울러 지난해 신규 학생 창업기업은 262개로 2020년(266개)보다 1.5% 감소했다. 창업강좌 수는 5178개로 2020년(5888개)보다 12.1% 줄었고, 이수자 수는 13만 7148명으로 2020년(15만 5540명)보다 11.8% 감소했다.
지난해 기술이전 실적은 69건으로 2020년(76건)보다 9.2% 감소했으나 기술이전 수입료는 1억 6300만 원으로 2020년보다 0.6% 늘었다.

올해 계약학과 수는 114개로 2021년(100개)보다 14.0% 늘었고 학생 수는 3193명으로 2021년(2896명)보다 10.3% 증가했다.
‘채용 조건형’ 계약학과 수는 28개로 지난해(17개)보다 64.7% 늘었으나 학생 수는 522명으로 지난해(579명)보다 9.8% 감소했다. ‘재교육형’ 계약학과 수는 86개로 지난해(83개)보다 3.6% 늘었고 학생 수는 2671명으로 15.3% 증가했다.
지난해 주문식 교육과정 수는 677개로 2020년(701개)보다 3.4% 줄었고 주문식 교육과정에 참여한 학생은 2만 742명으로 2020년(2만 3562명)보다 12.0% 감소했다.
올해 1학기 강사 강의료 평균은 시간당 3만 2800원으로 지난해보다 300원(0.8%) 올랐다. 국공립대학 강사 강의료 평균은 5만 1500원으로 전년보다 1200원(2.4%) 높았으며 사립대학은 3만 1800원으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다.
지난해 원격강좌 수는 3만 2857개로 2020년(9만 3285개) 대비 64.8% 줄었으며 수강인원은 148만 7000명으로 2020년(346만 4000명) 대비 57.1%로 대폭 감소했다.
교육부는 대학별 세부적인 공시자료를 대학알리미 누리집(academyinfo.go.kr)에도 공시할 예정이다.
문의 : 교육부 교육안전정보국 교육통계과(044-203-6320)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실직 중 지역가입자에 국민연금 보험료 50% 12개월까지 지원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