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국내 자동차 등록 대수가 소폭 증가한 가운데 친환경차는 늘고 경유차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2022년 2분기 자동차 누적 등록 대수가 2521만 5000대로 전 분기 대비 0.6%(14만 5000대) 증가했다고 21일 밝혔다.
인구 2.05명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jpg)
전기·수소·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는 전 분기 대비 8.5%(11만 6000대) 증가했다. 친환경차는 총 136만 4000대로 전체 자동차의 5.4%를 차지했다.
전기차는 29만 8000대로 13.5%(4만 380대), 수소차는 2만 4000대로 14.2%(3436대), 하이브리드차는 104만 2000대로 7.0%(7만 2782대) 증가했다.
휘발유차는 1192만 7000대로 전 분기 대비 0.7%(8만 7000대) 증가했다.
경유차는 982만대로 전 분기 대비 0.5%(4만 9935대), LPG차는 192만 5000대로 0.5%(9815대) 감소했다. 경유차는 유가가 급등한 올해 2월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원산지별로 누적 점유율은 국산차 87.8%(2215만 1000대), 수입차가 12.2%(306만 4000대)로 수입차 점유율이 느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 출고지연에도 2분기 자동차 신규등록은 42만 9000대로 전분기(39만 3000대) 대비 8.6%(3만 7000대)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는 11.3% (4만 8000대) 감소했다.
차종별로는 전분기 대비 승용 0.7%, 화물 0.2%, 특수 2.4% 각각 증가했으나 승합은 1.1% 감소했다.
전기차의 신규등록 대수는 4만 1000대로 전 분기(2만 8000대) 대비 32.3%(1만 3000대) 늘었다.
전기차의 2분기 신규등록 국산차 점유율은 78.0%(3만 2000대)로 전 분기 국산차 점유율 79.0%(2만 2000대) 대비 줄었다.
지역별로는 경기·서울·제주도에 전기차 13만 2000대가 등록돼 전체의 44.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종별로는 승용 77.9%(23만 2000대), 화물 20.7%(6만 2000대), 승합 1.3%(4000대), 특수 0.1%(143대)가 등록됐다.
제작사별로는 현대(43.8%), 기아(25.6%), 테슬라(13.3%) 순으로 누적 등록 점유율을 나타냈다.
올해 6월 기준 누적 등록 상위 전기차 모델은 아이오닉 53만 6740대(12.3%), 포터Ⅱ 3만 3934대(11.4%), 코나 일렉트릭 3만 2341대(10.8%), 테슬라 모델3 2만 6143대(8.7%) 순이다.
2분기 신규등록 전기차를 모델별로 보면 기아 EV6가 8214대로 가장 많았다. 아이오닉 5(7464대), 포터Ⅱ(5441대), 봉고Ⅲ(4039대), GV60(2053대)이 뒤를 이었다.
박지홍 국토부 자동차정책관은 “전기차 및 수소차 등 친환경차량이 내연기관차 대비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며 “시장의 흐름과 시대변화에 맞는 자동차 정책의 수립·시행이 가능하도록 자동차 등록현황을 세분화해 국민이 원하는 맞춤형 통계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 자동차운영보험과 044-201-3860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제주공항~숙소’ 짐 배송 서비스 확대…출발공항 6곳으로 늘어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