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오늘부터 4박 6일 동안 프랑스와 베트남을 차례로 방문합니다.
프랑스에서는 부산엑스포 유치전에 나서고, 베트남에서는 정부 출범 후 최대규모의 경제사절단을 동행해 세일즈 외교를 이어간다는 계획입니다.
최영은 기자입니다.
최영은 기자>
4박6일로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의 프랑스, 베트남 순방.
윤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도 세일즈 외교에 박차를 가합니다.
먼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국제박람회기구 BIE 총회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4차 경쟁 PT에 참석합니다.
녹취> 윤석열 대통령(제24회 국무회의)
"179개 회원국이 모두 참석하는 총회에서의 이번 프레젠테이션은 부산 엑스포가 가진 차별화된 비전을 보여주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엑스포 개최국으로 최종 선정되면 61조 원의 경제 효과와 50만 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유럽지역 투자신고식 등 경제 일정도 잇따라 소화할 예정입니다.
또 프랑스 미래혁신세대와의 대화, 파리 디지털비전포럼 등에서 현지 청년, 그리고 석학들과의 만남도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프랑스 정상회담도 개최됩니다.
녹취> 김태효 / 국가안보실 1차장(지난 13일)
"작년 역대 최대치인 130억 불의 교역량을 기록한 한국과 프랑스는 상호 투자를 확대하면서 경제 안보와 인공지능, 우주, 첨단 미래산업 분야까지 공조를 심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협의할 것입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베트남을 국빈 방문합니다.
국빈 방문길에는 200명 이상의 대규모 경제사절단이 동행합니다.
윤 대통령은 베트남 방문을 계기로 한베 비즈니스 포럼과, 파트너십 박람회 등 양국 경제 협력 행사에 잇따라 참석할 계획입니다.
양국의 공급망, 인프라, 신산업 기술 협력 등에 대한 다수 MOU 체결이 전망됩니다.
녹취> 최상목 / 대통령실 경제수석 (지난 13일)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최대 규모의 경제사절단이며, 미래 성장이 유망하고 우리 수출의 주역인 중소·중견기업이 전체의 81%에 달합니다. 업종도 유통, 금융, 법률, 의료, IT, 문화콘텐츠 등 서비스 분야가 대거 포함되어 한-베트남 경제 협력이 고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대통령실은 베트남 국빈 방문 계기로 정부의 대아세안 외교가 본격화되고 인태전략 핵심인 아세안과의 협력이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KTV 최영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지역자원 활용해 소득·일자리 창출하는 ‘마을기업’ 41개 선정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