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정부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 이후 현재까지 특이사항 없어”

도쿄전력 “원전 모니터링 장비서 유의미한 변동 관측되지 않아”

13일 실시된 생산·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 “모두 적합”

2024.03.14 해양수산부·원자력안전위원회
목록

정부는 지난 13일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발생한 지진과 관련해 현재까지 원전 전원 공급 이상 등 특이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김성규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에서 이같이 전했다.

이번 지진은 리히터 규모 4.7로, 13일 오후 8시 24분경 발생, 이로 인해 후쿠시마 제1원전이 위치한 오쿠마 지역에서는 진도 3이 기록됐다고 김 국장은 설명했다.

도쿄전력 측은 아직까지 원전의 각종 모니터링 장비에서 유의미한 변동이 관측되지 않았으며 전원 공급 이상, 부상자 발생 등 특이사항도 없었다고 밝혔다.

김 국장은 “오염수 방류 설비의 작동 상태를 비롯한 방류 진행상황, 주요 모니터링 포스트 수치 등을 확인한 결과, 특이사항 없이 방류가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또 도쿄전력 측이 13일 공개한 데이터 검토 결과와 관련, “4차 방류가 계획대로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했다”면서 “해수 배관 헤더에서 채취한 시료에선 리터당 198~242베크렐의 삼중수소가 측정돼 배출 목표치인 리터당 1500베크렐을 만족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13일까지 방류된 오염수는 총 6607㎥, 삼중수소 배출량은 총 1조 2849억 베크렐로 기록됐다고 김 국장은 덧붙였다.

도쿄전력은 이와 함께 13일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원전으로부터 3㎞ 이내 해역 4개 정점에서 12일 채취한 해수 시료와 3~10㎞ 이내 해역 1개 정점에서 11일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한 것이다.

김 국장은 이에 대해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당 700베크렐 및 30베크렐 미만으로 기록됐다”고 말했다.

지난달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이 진행되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지난달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이 진행되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한편 13일까지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각각 47건과 100건으로, 모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실시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도 총 30건으로,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브리핑에 동석한 송명달 해양수산부 차관은 해양방사능 긴급조사를 위해 지난 브리핑 이후 남중해역 1개 지점, 남동해역 5개 지점, 제주해역 2개 지점의 시료 분석 결과를 추가로 도출했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세슘134는 리터당 0.071 베크렐 미만에서 0.074 베크렐 미만, 세슘137은 리터당 0.075 베크렐 미만에서 0.083 베크렐 미만, 삼중수소는 리터당 모두 6.5 베크렐 미만인 것으로 확인됐다.

송 차관은 이에 대해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전남지역 SOC 인프라 확충한다…한국형 ‘아우토반’ 초고속도로 건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