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과기정통부 “‘한국기업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0건’ 보도, 사실과 달라”

4월 17일 한국경제 <이집트·UAE에도 밀렸다 AI뿌리 기술 개발 못한 韓>, 조선일보 <한국 ‘중요 AI 모델’ 0건, 이스라엘 4건, 싱가포르 3건>에 대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설명입니다

2024.04.1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목록

[기사 내용]

○ 한국경제

- 지난해 AI기술의 기반이 되는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한 한국 기업이 한 곳도 없다는 조사 결과를 美 스탠포드대 인간중심 인공지능연구소(HAI*) ‘AI 인덱스 2024’에서 발표(4.15)하였다고 하며 우리나라의 AI경쟁력이 낙점이고 기술 종속의 우려가 있는 ‘AI후진국’에 해당한다고 보도하였습니다.

* Human-Centered Artificial Intelligence 

○ 조선일보

- 우리나라가 중요 머신러닝 모델 개발은 2년 연속 0건을 기록했으며, 이에 AI산업 경쟁 관련 지표에 경고 등이 들어왔다고 보도하였습니다.

[과기정통부 설명]

○ 금번 美 스탠포드 ‘AI 인덱스 2024’에 따르면 AI인재 집중도*는 3위(0.79%*)이며 특히 우리나라 인구 10만명당 AI 특허수(10.26개)는 전세계 1위(’22년 기준)로 10년전 대비 38배 이상 증가하는 등 다수 지표에서 상위 순위를 차지하였으며 경쟁력 역시 성장 중인 것으로 집계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 국가별 Linked in 회원숫자 대비 AI관련 직무 종사자 비중

○ 아울러, 금번 보도의 핵심인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관련 스탠퍼드대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전 세계 AI 파운데이션 모델 출시 사례에 우리 나라의 AI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건수가 명시되지 않았으며, 특히 보고서 원문에 우리나라를 직접 예시*를 들며 일부 국가사례가 조사에서 누락되었을 가능성을 언급하고 해당 결과의 한계가 있음을 밝혔음을 알려드립니다.

※ 보고서 원문 (56P) : The Ecosystem Graphs make efforts to survey the global AI ecosystem, but it is possible that they underreport models from certain nations like South Korea and China.

○ 우리나라의 경우 하이퍼클로바X(네이버, ’23.8), 엑사원 2.0(LG AI 연구원,  ’23.7), 가우스(삼성전자, ’23.11), 코난LLM(코난테크놀로지, ’23.8), 바르코(엔씨소프트, ‘23.7) 등 다수의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향후 정부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파운데이션 모델이 ‘AI인덱스’ 조사에 포함될 수 있도록 美 스탠포드대와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 

○ 또한 정부는 민·관의 역량을 결집해 美·中에 이은 AI G3 강국 도약을 위한 『AI-반도체 이니셔티브』를 수립·추진해 나갈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美 스탠포드대 ‘AI 인덱스 2024’ 우리나라 주요 순위

문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 인공지능기반정책과(044-202-6271)

이전다음기사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