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3월 수출 582억 8000만 달러, 3.1% 증가…2개월 연속 플러스

산업부 '3월 수출입 동향' 발표…"수출 불확실성 해소에 모든 자원 집중"
수출 플러스·무역수지 흑자 동시 달성…반도체 수출 3월 역대 최대치 근접

글자크기 설정
목록

지난 3월 우리나라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증가하면서 2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또한, 무역수지도 흑자를 보여 2개월 잇달아 수출 플러스와 무역수지 흑자를 동시 달성했다.

반도체 수출이 역대 3월 최대치에 근접하고 자동차 수출도 플러스를 기록하면서 3월 수출 실적을 이끌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실적을 담은 '3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박정성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이 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3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정성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이 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3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3월 수출액은 582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으며, 이는 역대 3월 중 두 번째로 많은 실적이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5.5% 늘어난 26억 5000만 달러였다.

수입은 2.3% 증가한 533억 달러이고, 무역수지는 49억 8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품목별로 보면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7개 수출이 증가했다.

IT 전 품목 수출이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 만에 동시 플러스를 기록했고, 반도체 수출은 HBM·DDR5 등 고부가 메모리 호조세에 따라 131억 달러(+11.9%)를 기록하면서 플러스로 전환됐다.

컴퓨터 SSD 수출(12억 달러, +33.1%)은 15개월 연속, 무선통신기기 수출(13억 달러, +13.8%)은 2개월 연속 증가했으며 디스플레이 수출(15억 달러, +2.9%)은 지난해 8월부터 7개월 동안 이어진 감소 흐름을 끊고 플러스로 돌아섰다.

양대 수출품목인 자동차 수출은 전기차 수출이 크게 감소했지만 하이브리드차·내연기관차 수출이 늘면서 전체적으로 1.2% 증가한 62억 달러를 기록했다.

선박 수출은 2023년 12월(37억 달러) 이후 15개월 만에 최대 실적인 32억 달러(+51.6%)를 기록하면서 플러스로 전환됐다.

바이오헬스 수출은 의약품(9억 달러, +13.2%)을 중심으로 6.9% 늘면서 14억 달러를 기록해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석유제품은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주요 제품의 국제가격이 지난해보다 16% 이상 하락한 가운데, 주요 정유사의 정기보수에 따라 수출물량도 감소하면서 28.1% 감소한 33억 달러를 기록했다.

철강제품 수출은 단가 하락 영향으로 10.6% 감소한 26억 달러를 기록했으나, 알루미늄 수출은 5억 달러로 20.4%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9대 주요시장 중 6개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대(對)중국 수출은 석유화학(2위), 무선통신기기(3위)의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반도체(1위) 수출이 줄면서 전체적으로 4.1% 감소한 101억 달러였고, 대미국 수출은 2.3% 증가한 111억 달러를 기록했다.

대아세안 수출은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IT 품목 수출이 호조세를 보이면서 2월에 이어 대중국 수출실적을 넘어서는 103억 달러(+9.1%)를 기록했다.

대EU 수출은 선박 수출이 2배 이상 증가한 가운데 바이오헬스 수출이 호조세를 보이면서 +9.8% 증가한 63억 달러였다.

대중동 수출은 18억 달러(+13.6%)로 2개월 연속 늘었으며, 대일본(22억 달러, +2.2%)·독립국가연합(CIS, 11억 달러, +30.1%) 수출은 플러스로 돌아섰다.

1일 오전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1일 오전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지난달 에너지 수입은 원유(-9.0%), 석탄(-34.8%) 수입 감소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3% 감소한 101억 달러를 기록했으나, 반도체 장비(+86.2%) 등 에너지 외 수입은 4.8% 증가한 432억 달러를 기록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3월에는 통상환경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IT 전 품목 수출이 8개월 만에 플러스를 기록하며 2월에 이어 수출 플러스와 무역수지 흑자를 동시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측과의 지속적인 대화와 신속한 국내 지원 조치로 수출업계가 당면한 불확실성을 해소해 나가는 데 모든 자원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2월 18일 발표한 '범부처 비상수출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한다. 

특히, 관세대응 통합 상담창구인 '관세대응 119'를 통해 우리 수출기업에 미국 통상정책 정보를 원스톱으로 제공하고 애로 해소도 총력 지원한다.

더불어 수출 바우처(올해 531억 원)로 중소·중견기업 수출역량 강화를 지원해 온 데 이어, 조만간 '관세대응 바우처(올해 80억 원)'를 추가로 공급해 통관·물류 지원 및 신시장 개척 등에 대한 현지 전문가 조력 등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관실 수출입과(044-203-4047, 4048)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정책 바로보기] "산업재해 발생 보고서, 고용부가 직접 관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