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석축성벽의 초기형식이 대구 팔거산성 발굴조사에서 처음 확인됐다.
국가유산청은 13일 대구광역시 북구청과 함께 발굴조사를 진행중인 사적 '대구 팔거산성'에서 외벽 상부와 내벽을 비슷한 높이에서 서로 등지고 쌓아 올린 '협축식 성벽 구조'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대구 팔거산성은 함지산(287m) 정상부에 위치한 '테뫼식' 산성으로 2023년 사적으로 지정됐다.
이 산성은 신라가 고구려·백제와 대치하던 5세기 이후 서라벌 서쪽 최전방인 팔거리현(달구벌)에 수도 방어선을 구축하기 위해 축조한 석축산성으로, 신라 국방체계의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앞선 1·2차 조사에서는 목조집수지, 건물터, 수구, 서문터(현문), 곡성1 등 다수의 성곽시설과 함께 목간·토기가 출토돼 학계의 관심을 받은 바 있다.
이번 조사는 2차 조사에서 확인된 서문지와 곡성1의 서북측으로 이어지는 2151㎡구간의 체성부(성벽 몸체) 조사를 중점적으로 실시해 체성, 곡성, 박석 등 주요 석축시설을 새로 확인했다.
체성은 최소 2차례 이상 축조된 것으로 확인됐으며, 신라시대 성벽 상부 위에 고려시대 개축 흔적이 중첩돼 있으나 개축부는 대부분 붕괴된 상태다.

초축 체성의 외벽 하부는 편축식, 상부는 협축식으로 조성됐으며 하부는 비교적 온전히 남아 있는 반면 상부는 1~3단만 남아있다.
체성 내벽은 외벽 상단보다 약 1m 높은 지점에 형성돼 있으며 외벽 상부와 내벽을 비슷한 높이에서 서로 등지게 구축해 협축식 성벽을 완성한 구조는 신라 석축성벽의 초기형식으로 확인됐다.
외벽 하부는 길이 약 46m, 최고 높이 6.3m, 경사도 약 40°의 '허튼층 뉘어쌓기' 방식이며 내벽은 길이 약 55m, 높이 2.4m, 경사도 약 50°의 같은 방식으로 축조됐다.
외벽 평면은 '一'자형이지만 내·외벽 전체 평면은 '凸'자형으로, 내벽 중앙부 두께가 약 14m에 이르며 양쪽 끝으로 갈수록 7m로 좁아져 곡성으로 이어진다.
이는 함지산 곡부 지형에서 성벽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로 판단된다.
또한 체성 외벽 하부와 내벽, 곡성2 등 초축 성벽 일대에서 2.3~2.7m 간격의 세로 구획선이 뚜렷하게 확인됐으며, 외벽에서만 14개가 확인됐다.
이를 통해 성곽 축조 당시 집단별로 구간을 분담해 축조하고 경계 부위는 상호 협력한 방식이 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체성에 사용된 자색이암과 응회암은 함지산에서 쉽게 채석 가능한 재료로, 일부 구간에서 자색이암만을 사용한 구역이 명확히 드러나 한 집단이 채석·운반·축조까지 단일 공정을 책임지는 책임시공 방식이 적용됐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가유산청은 13일 오후 2시 발굴 현장에서 현장설명회를 실시한다. 별도 신청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자세한 사항은 화랑문화유산연구원(054-746-1370)으로 문의하면 된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대구광역시 북구청과 협력해 조사 성과를 구체화하고 유적의 보존·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발굴성과를 국민과 전문가에게 지속적으로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국가유산청 문화유산국(042-481-4989)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 뉴스 |
|
|---|---|
| 멀티미디어 |
|
| 브리핑룸 |
|
| 정책자료 |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