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인호(왼쪽) 이종은 박사. |
이들이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 등 미국 SNP연구협의체인 'SNP 컨소시엄(TSC)'과 함께 발표한 '고밀도 인간 유전체의 단일염기 다형성 지도'가 국제학술지 '지노믹스'의 8월호 표지논문으로 채택됐다
단일염기다형성(SNP·Single-Nucleotide Polymorphism)이란 99.9%가 똑같은 인간의 염기서열에서 피부색, 외모, 질병에 걸릴 가능성 등에서 차이를 발생시키는 0.1%의 요소를 일컫는다.
단일염기다형성에 대한 연구는 미래의 맞춤의약 개발을 위한 주요한 관문으로 국내의 경우 비용 등의 문제로 그 동안 연구성과가 선진국에 비해 뒤쳐져 있던 것이 사실이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내 유전체 연구의 가능성을 크게 밝혀준 것으로서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백인(유럽계 미국인), 아시아인(일본-중국인), 흑인(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5만5018개 단일염기 다형성을 측정한 이번 연구에서 조인호 박사와 이종은 박사팀은 한국인의 8333개 단일염기 다형성에 대한 조사 결과를 제공했다.
본 연구결과 유전적 차이가 가장 큰 그룹은 아시아인과 아프리카인으로 차이가 18.82%였다. 또한 현재까지 유전적으로 매우 유사한 민족으로 추정되었던 한국인, 일본인, 중국인 간에도 미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됐다. 한국인과 일본인 차이는 5.86%로 가장 낮았으며 중국인과는 8.39%의 차이가 났다. 중국인과 일본인 사이에도 8.61%의 유전적 차이가 각각 발견됐다.
조박사는 "이번 연구의 의의는 한국인과 외국인들의 SNP를 비교함으로써 맞춤진료를 위한 초석을 놓았다는 것"이라며 "이러한 유전적 차이 연구는 향후 질병유전자 발굴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본연구의 결과인 유전자 단일염기 다형성 데이타베이스는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연구부의 웹에서 열람이 가능하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