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양자점 안정화 기술로 소재 상용화 앞당겨
- 할로겐화합물을 이용한 PbSe 양자점 안정화 기술 개발 -
□ 차세대 태양전지, 발광다이오드(LED), 근적외선 검출기 등에 적용 가능한 양자점*을 안정화 시키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개발돼 양자점 소재 상용화가 앞당겨 질 전망이다.
* 양자점(Quantum Dot) : 흡․발광 특성을 크기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나노입자 소재(첨부자료 참고)
□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원장 임용택) 나노역학연구실 정소희 박사팀은 KAIST 이도창 교수, 김용현 교수팀과 함께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 ‘멀티스케일에너지시스템연구단 (단장 최만수)’사업을 통해 셀레늄화납(PbSe) 양자점의 할로겐화합물 처리 기반 안정화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 PbSe 양자점은 합성이 쉽고, 광전변환 특성이 우수해 차세대 태양전지 및 광검출기 등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대기안정성이 떨어져 실제 적용에 있어 많은 제약을 받아 왔다. 안정성이 낮은 것은 양자점 표면에서 드러나는 결정면이 산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연구팀은 선행 연구에서 양자점 크기가 클수록 대기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규명한 바 있다.
□ 이번 연구에서 기계연-KAIST 공동연구팀은 박사과정 우주영씨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가운데, PbSe 양자점 합성용액에 NH4Cl 등 할로겐화합물을 섞어주면 PbSe 양자점 표면 중 산화가 쉬운 결정면에 보호막을 형성하게 돼 양자점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안정하게 유지된다는 점을 밝혔다. 이번 기술 개발을 통해 양자점 크기에 상관없이 대기안정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
□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기 중 안정성을 보유한 PbSe 양자점 기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를 제작하기도 했다.
□ 본 연구팀에서는 “양자점은 차세대 반도체 소자로 각광받고 있으나 안정성이 낮아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어왔다”며, “양자점의 형태가 대기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힌 선행 연구에 이어, 이번에 개발된 기술이 양자점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태양전지, LED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최고 권위지인 「미국화학회지(JAC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지난 6월 11일 게재돼 학계 및 산업계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으며, 본 연구팀은 현재 미국 리뉴어블 에너지 연구소(NREL,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와 후속 공동연구를 수행 중이다.
** 논문명 : 「Ultrastable PbSe Nanocrystal Quantum Dots via in Situ Formation of Atomically Thin Halide Adlayers on PbSe(100)」
문의 : 원천연구과 박진선 과장(02-2110-2380), 김용만 서기관(02-2110-2381)
- 할로겐화합물을 이용한 PbSe 양자점 안정화 기술 개발 -
□ 차세대 태양전지, 발광다이오드(LED), 근적외선 검출기 등에 적용 가능한 양자점*을 안정화 시키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개발돼 양자점 소재 상용화가 앞당겨 질 전망이다.
* 양자점(Quantum Dot) : 흡․발광 특성을 크기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나노입자 소재(첨부자료 참고)
□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원장 임용택) 나노역학연구실 정소희 박사팀은 KAIST 이도창 교수, 김용현 교수팀과 함께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 ‘멀티스케일에너지시스템연구단 (단장 최만수)’사업을 통해 셀레늄화납(PbSe) 양자점의 할로겐화합물 처리 기반 안정화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 PbSe 양자점은 합성이 쉽고, 광전변환 특성이 우수해 차세대 태양전지 및 광검출기 등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대기안정성이 떨어져 실제 적용에 있어 많은 제약을 받아 왔다. 안정성이 낮은 것은 양자점 표면에서 드러나는 결정면이 산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연구팀은 선행 연구에서 양자점 크기가 클수록 대기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규명한 바 있다.
□ 이번 연구에서 기계연-KAIST 공동연구팀은 박사과정 우주영씨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가운데, PbSe 양자점 합성용액에 NH4Cl 등 할로겐화합물을 섞어주면 PbSe 양자점 표면 중 산화가 쉬운 결정면에 보호막을 형성하게 돼 양자점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안정하게 유지된다는 점을 밝혔다. 이번 기술 개발을 통해 양자점 크기에 상관없이 대기안정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
□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기 중 안정성을 보유한 PbSe 양자점 기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를 제작하기도 했다.
□ 본 연구팀에서는 “양자점은 차세대 반도체 소자로 각광받고 있으나 안정성이 낮아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어왔다”며, “양자점의 형태가 대기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힌 선행 연구에 이어, 이번에 개발된 기술이 양자점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태양전지, LED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최고 권위지인 「미국화학회지(JAC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지난 6월 11일 게재돼 학계 및 산업계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으며, 본 연구팀은 현재 미국 리뉴어블 에너지 연구소(NREL,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와 후속 공동연구를 수행 중이다.
** 논문명 : 「Ultrastable PbSe Nanocrystal Quantum Dots via in Situ Formation of Atomically Thin Halide Adlayers on PbSe(100)」
문의 : 원천연구과 박진선 과장(02-2110-2380), 김용만 서기관(02-2110-2381)
“이 자료는 미래창조과학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에이즈바이러스 분해효소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5월 정기분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
9월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매주 환급…취약상권 살린다
-
국세청 원클릭 환급, 직접 해봤습니다
-
7월까지 추경 12조원 70% 이상 집행…소상공인 300만명 이상 지원
-
개인정보위 "SKT, 전체 이용자 대상 1차 유출통지 방침 알려와"
-
복지부 2차관 "AI 신약개발에 정부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40개 의과대학, 수업불참 '의대생 8305명 유급·46명 제적' 확정·통보
-
전국 84개 전통시장, 수산물 사면 최대 30% 환급
-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
"아침·저녁·휴일에도 돌봄 제공"…거점형 돌봄기관 시범운영
최신 뉴스
- 과수화상병 올 첫 발생…긴급 방제확산 차단 총력 대응
- 농촌진흥기관, 경북 산불 피해지역 기술지원, 생육 관리 최선
- 농업 현장 규제 개선 결실 '가축분뇨도 훌륭한 자원으로 재탄생'
-
'광복에서 통일로' 문화로 잇다
-
짚풀이 맛있다? '박미주간'에 재발견한 짚과 풀의 세계
-
웰니스관광지에서 몸과 마음을 치유한 하루
- 지역주도 혁신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역중소기업 정책 체계화 방안 논의
- 중소기업소상공인 유동성 보강 위한 '25년도 추경 정책금융 4.2조원 공급
-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 지원 성과부터 국제적(글로벌) 혁신성장(스케일업) 전략까지 한자리에
- 중기부, 공공기관과 통상 위기 극복 및 민생경제 안정 지원방안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