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문화재청, ‘문화재 국외반출제도의 현재와 미래’ 국제학술대회 개최

- 한국미술사학회와 공동으로 국립고궁물관에서 개최 / 7.8.~9. -

- 한국미술사학회 유튜브 생중계 -

2021.06.29 문화재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한국미술사학회(회장 방병선)와 함께 ‘문화재 국외반출제도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7월 8일~9일 이틀 동안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문화재 국외반출 관련 제도의 개선 필요성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이다.

 
  학술대회는 ‘문화재 국외 반출에 관한 정책과 법률’, ‘해외 한국미술 컬렉션과 전시의 미래’를 주제로 나누어 진행한다.


  7월 8일 진행되는 1부에서는 ▲ ‘장벽인가 보호인가, 대만 문화재 국외 반출규정’(시페이인, 대만국립고궁박물관), ▲ 일본의 문화재 관련 법제도(나가사와 유코, 도쿄대학교 교수), ▲ 고대 유물에서 NFT로: 미술시장 블록체인의 변화하는 잠재력(에이미 휘태커, 뉴욕대학교)에 대한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이어서 ▲ 문화재의 국가적 중요성: 2016년 제정된 독일 문화재 보호법의 반출 규정(마리아 오베나우스, 독일 로스트 아트 재단), ▲ 보호와 장벽을 넘기: 이탈리아 문화재의 국제적 유통(쥐세페 칼라비, CBM & 파트너스 스튜디오 리갈, 밀라노), ▲ 그리스 박물관 수집 사례로 본 문화적 자산의 이동(말렌 물리우, 아테네 국립 카포디스트리아대학교 교수), ▲ 프랑스의 문화재 반출과 법규적 문제: 국보의 개념(앤 소피 나르돈, 프랑스 보르기스 협회), ▲ 영국 문화재 반출 법규와 정책: 정부와 미술시장의 관점(아나스타샤 테넌트, 잉글랜드 예술위원회) & 웬디 필립스(소더비 영국과 아일랜드)등 각국 문화재 전문가들의 자국 문화재 반출 정책에 관한 발표가 진행된다.
  * NFT: Non-Fungible Token의 줄임말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으로 희소성이 큰 디지털              자산을 이르는 신조어


  2부는 ▲ 동아시아 문화재 전시 큐레이팅과 현지 인식(이소영, 하버드 대학 박물관), ▲ 미국 내 한국 미술 발전에 미친 문화재청의 영향(버지니아 문,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 유럽에서의 한국문화재 수집의 과거, 현재, 미래: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박지영, 베를린 공과대학교), ▲ 국내 문화재 매매시장과 문화재보호법(정승우,  재단법인 유중재단, 고려대학교), ▲ 일반동산문화재 반출 제도의 현황(박도화, 문화재청 문화재감정관실, ▲ 국의 일반동산문화재 정책 제도 개선 방안(이동융,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등 국외 한국관의 큐레이터와 국내 문화재 제도 전문가들의 발표가 진행된다.


  이어지는 종합토론에서는 유홍준 명지대학교 석좌교수를 좌장으로 장진성 서울대학교 교수, 조인수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김윤정 고려대학교 교수, 김현권 문화재 감정관실 전문위원, 노형석 한겨레신문 기자, 캐슬린 김(법무법인 리우 소속) 미국 뉴욕주 변호사 등이 발표자로 토론에 참여한다.  
 

  학술대회는 마스크 착용, 안전거리 유지, 발열 확인 등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대면(국내발표자)·비대면(국외발표자,일반인) 병행하여 운영하며, ‘한국미술사학회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channel/UCPHwC6Xb_WA9r45LrCTXXGw)‘에서 한국어와 영어 2개 언어로 동시에 생중계된다. 더 자세한 사항은 전화(☎042-481-4687)로 문의하면 된다.
  * 유튜브에서 ‘한국미술사학회’ 검색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10개국의 다양한 문화재 반출 정책과 문화재 반출 제도 운영과 깊은 관련이 있는 국외 박물관의 한국문화재 수집과 전시 관련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다. 문화재청과 한국미술사학회는 이번 국제학술대회로 우리 문화재 반출 정책과 국외 전시의 현재를 이해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크기변환]안내홍보물(유형).jpg



“이 자료는 문화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내년 국산 코로나 백신 개발 목표 ‘K-mRNA 컨소시엄’출범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