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최근 4차유행의 감염패턴 분석 결과
- 변이 증가하고 지인·동료 등 동일 연령대간 감염 늘어 -
|
◆ 국내 변이바이러스 증가 추세
○ 최근 1주(7.4.~7.10.) 변이 분석 건 중 국내 36.9% 변이검출 - 국내감염 건 중 알파형 13.5%, 델타형 23.3% 검출되었으며 델타형이 알파형 앞서
◆ 세대 간 전파는 줄고 동일 연령대 간 전파 비중 높아
○ 최근 발생(6.1~7.11)은 20~30대 및 40~50대의 동일 연령대 선행확진자를 통한 전파 비중이 높음 ○ 동일 연령대 간의 전파 차단을 막기 위해 사적모임 인원 제한 등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수칙을 반드시 준수 당부
◆ 수도권, 다중이용시설 방문 등 많은 사람 접촉 시 적극검사 권고
○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 증가, 20대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 보여 ○ 밀집·밀폐 시설 방문 후 증상유무와 관계없이 코로나19 검사 권고
◆ 교육·보육 종사자, 돌봄인력 7월 예방접종 사전예약
○ 초·중 교직원, 어린이집, 유치원, 돌봄인력 종사자 대상 7월 예방접종 사전예약 실시(7.14~7.17) |
|
1. 변이바이러스 발생 현황 |
□ 현재까지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의 발생상황은 다음과 같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변이바이러스 감시 강화를 위해 분석을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최근 1주일간 변이바이러스 분석률*은 16.5%(국내 15.4%, 해외 33.2%)이다.
* 분석률 = 기간 내 변이바이러스 분석건수 / 기간 내 확진자수
○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유전자분석 결과, 536건의 변이바이러스가 추가로 확인되어, ‘20년 12월 이후 현재까지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총 3,353건*이다(7.10일 0시 기준).
* 알파형 2,405건, 베타형 143건, 감마형 15건, 델타형 790건
- 최근 1주(7.4.~7.10.) 추가로 확인된 주요 변이바이러스 확진자는 536명으로 바이러스 유형별로는 알파형 162명, 델타형 374명이었고,
- 이 중, 141명은 해외유입 사례, 395명은 국내감염 사례이었다.
- 최근 1주 국내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은 36.9%로 나타났고, 그 중 델타형 변이*의 검출률(23.3%)이 전주보다 증가하여 알파형(13.5%) 보다 높았고, 특히 수도권은 전주보다 2배 이상 증가하며 가장 높은 검출율(26.5%)을 보였다.
* (알파변이) 국내 29.1%(6월5주)→13.5%(7월1주), 수도권 26.6%→11.6%
해외유입 12.1%(6월5주)→11.8%(7월1주)
* (델타변이) 국내 9.9%(6월5주)→23.3%(7월1주), 수도권 12.7%→26.5%
해외유입 81.5%(6월5주)→86.1%(7월1주)
【 최근 1주(7.4.~7.10.) 주요 변이바이러스 확인 현황 】
|
구분 |
유전자 분석 수 |
변이바이러스 검출 건수 |
바이러스 유형 |
|||
|
알파형 (α, 영국 유래) |
베타형 (β, 남아공 유래) |
감마형 (γ, 브라질 유래) |
델타형 (δ, 인도 유래) |
|||
|
누계 (’20년 12월)~ |
13,918 |
3,353 (24.1%) |
2,405 |
143 |
15 |
790 |
|
최근 1주 계 |
1,215 |
536 (44.1%) |
162(13.3%) |
- |
- |
374(30.8%) |
|
국내감염 |
1,071 |
395 (36.9%) |
145(13.5%) |
- |
- |
250(23.3%) |
|
해외유입1) |
144 |
141 (97.9%) |
17(11.8%) |
- |
- |
124(86.1%) |
|
1) 알파형: 총 17건(캄보디아發 6, 우즈베키스탄發 4, 몽골發 3, 미국發 1, 터키發 1, 일본發 1, 필리핀發 1) 2) 델타형(인도 유래) 신규 250명 : 신규 산발사례 145명(수도권 124, 충청권 5, 호남권 1, 경북권 3, 경남권 10, 강원권 2)기존 집단 9건(60명) 추가 확인 : '수도권지인모임12관련' 1명, '경기의정부시음식점관련' 5명, '수도권가족여행관련' 1명, '전남순천시골프레슨관련' 4명, '경기시흥시교회관련' 5명, '서울마포구음식점/경기영어학원관련' 28명, '서울광진구고등학교/서초구음악연습실관련' 5명, '부산수산업근로자관련' 9명, '전북전주시지인모임3관련' 2명 |
○ 변이바이러스 주요 집단사례는 총 18건*이 신규로 확인되었으며, 알파형(영국 유래) 7건, 델타형(인도 유래) 11건이었다.
* (알파형) 서울 3건, 충남 1건, 대구 1건, 부산 1건, 전북 1건(델타형) 경기 5건, 서울 3건, 대전 1건, 인천 1건, 전북 1건
- 신규 집단사례 관련 확진자는 총 385명(변이확정 58명, 역학적 관련 327명), 집단사례 1건당 평균 발생 규모는 21.4명이었다.
※ 국내감염자 신고지역 및 주요 변이 관련 집단사례 현황 붙임3 참고
□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수도권 확진자 증가에 따른 변이 감시 확대를 위해 지자체(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델타변이 검사가 가능도록 PCR분석법을 시범적용(7.15(목)~, 2주간)한다고 밝혔다.
○ 본 시범사업은 지자체에서 델타변이 감염여부를 선별적으로 추정 후 유전체분석을 통해 최종 확정(질병관리청)하는 방식으로, 2주간의 시범운영을 통해 현장적용의 실효성을 분석하고 확정검사로의 적용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 델타변이에 대한 PCR분석법 시범도입은 지자체 자체적으로 델타변이 발생을 신속하게 파악·추적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변이발생에 대한 효과적 대응과 감시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2. 최근 연령별 확진자 발생 현황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감염경로 ‘확진자 접촉’에 대해 지난 3차 유행과 이번 유행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세대 간 전파는 줄고 동일 연령대 간 전파 비중이 높다고 밝혔다.
○ 최근 유행은 지난 3차 유행 때보다 ‘확진자 접촉’에 의한 전파가 11.4%p 증가(32.2%→43.6%)하였으며,
- 특히, 선행확진자의 연령분포를 살펴보면, 60대 이상 비중은 감소(30.0% → 13.4%), 60세 미만 비중은 증가(70.0% → 86.6%)하였다.
- 또한, 이전 유행보다 가족을 통해 감염되는 비중은 감소(61.7% → 41.9%)하였으나, 지인 또는 동료를 통해 감염된 비중은 23.8%에서 40.0%로 약 두 배 정도 높아졌다.
【 감염경로 ‘확진자 접촉’ 비교 분석 】
|
구분 |
3차 유행 (‘20.11.13.~‘21.1.20.) |
‘21년 6~7월 (‘21.6.1.~7.11.) |
||||
|
확진자접촉 / 확진자수(명) |
14,658명 / 45,568명 |
12,082명 / 27,708명 |
||||
|
(비율) |
(32.2%) |
(43.6%) |
||||
|
선행확진자 소계 |
10,967명* |
1,681명 |
||||
|
선행확진자 (연령분포,%) |
0~10대 |
612명 |
(5.6%) |
146명 |
(8.7%) |
↑ |
|
20~30대 |
2,723명 |
(24.8%) |
593명 |
(35.3%) |
↑ |
|
|
40~50대 |
4,340명 |
(39.6%) |
716명 |
(42.6%) |
↑ |
|
|
60대 이상 |
3,285명 |
(30.0%) |
226명 |
(13.4%) |
↓ |
|
|
선행확진자 (관계분포,%) |
가족 |
6,767명 |
(61.7%) |
704명 |
(41.9%) |
↓ |
|
지인/동료 |
2,619명 |
(23.8%) |
673명 |
(40.0%) |
↑ |
|
|
기타 |
1,322명 |
(12.1%) |
208명 |
(12.4%) |
↑ |
|
|
조사중 |
259명 |
(2.4%) |
96명 |
(5.7%) |
↑ |
|
|
* 연령 미기입 등 제외 |
||||||
- 한편, 10대 이하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는 동일 연령대 간 감염전파 비중이 가장 높았고, 특히 20~30대 및 40~50대의 경우 동일 연령대 선행확진자 비율이 각각 19.9%, 23.5%로 높게 나타났다.
【 연령대별 ‘확진자 접촉’ 분석 결과 】
|
확진자 연령대 |
선행확진자 연령대(명,(%)) |
||||||||
|
확진자 연령대 |
계(%) |
0~10대 |
20~30대 |
40~50대 |
60대이상 |
||||
|
0~10대 |
255명(15.2%) |
61명 |
(3.6%) |
94명 |
(5.6%) |
86명 |
(5.1%) |
14명 |
(0.8%) |
|
20~30대 |
546명(32.5%) |
29명 |
(1.7%) |
335명 |
(19.9%) |
150명 |
(8.9%) |
32명 |
(1.9%) |
|
40~50대 |
654명(38.9%) |
46명 |
(2.7%) |
130명 |
(7.7%) |
395명 |
(23.5%) |
83명 |
(4.9%) |
|
60대이상 |
226명(13.4%) |
10명 |
(0.6%) |
34명 |
(2.0%) |
85명 |
(5.1%) |
97명 |
(5.8%) |
|
* ‘21.6.1~7.11 확진자 중 선행확진자가 조사된 확진자 1,681명 대상 |
|||||||||
○ 방역당국은 현재 유행이 지인·동료 등 활동 영역을 공유하는 비슷한 연령 간의 교류에 의한 전파가 뚜렷하므로, 이에 대해 사적모임 인원 제한, 직장 등 실내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을 더욱 철저히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3. 최근 수도권 확진자 주요 발생 양상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최근 수도권의 사회활동이 활발한 연령층을 중심으로 주점·음식점 등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집단발생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해당 시설 이용 전·이용 후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최근 4주간 수도권의 발생 상황은 모든 연령층에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 중 20대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 < 일평균 인구 10만명당 발생률 >
(전연령) 6월3주 1.3명 → 6월4주 1.4명 → 6월5주 2.0명 → 7월1주 3.1명
(20대) 6월3주 1.6명 → 6월4주 2.0명 → 6월5주 3.8명 → 7월1주 5.2명
(30대) 6월3주 1.5명 → 6월4주 1.7명 → 6월5주 2.5명 → 7월1주 3.7명
(40대) 6월3주 1.5명 → 6월4주 1.5명 → 6월5주 2.2명 → 7월1주 3.5명
(50대) 6월3주 1.3명 → 6월4주 1.4명 → 6월5주 1.8명 → 7월1주 3.4명
○ 특히, 주점, 음식점 등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시설을 중심으로 한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수도권에서 발생한 주점/음식점 관련 주요 집단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 ‘서울 마포구 음식점/경기 영어학원 관련’ 사례는 6.22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주점·클럽 등 8개 시설과 이용자의 직장 등에서 총 307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 ‘서울 영등포구 음식점3 관련’은 시설 종사자 및 이용자(33명, 전체 발생의 50.7%)를 포함하여 총 65명이, ‘인천 서구 주점 관련’은 주점 이용자가 최초 확진 이후 종사자 및 이용자(19명, 전체 발생의 51.4%)를 포함하여 총 37명이 확진되었다.
- ‘경기 수원시 주점 관련’ 사례에서는 6.21일 주점 이용자가 최초 확진 이후 실내체육시설 이용자 등으로 감염 전파되어 총 69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 주요 위험요인은 주로 ▲환기가 되지 않은 지하공간에서 ▲종사자 및 이용자의 밀집·밀접한 접촉으로 감염 전파가 이루어졌으며, ▲증상 발생 기간에 다수의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여 감염이 더욱 확산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민들께 최근 클럽이나 주점과 같이 밀집·밀폐된 공간에서 많은 사람들과 접촉하였다면, 증상이 없더라도 코로나19 검사를 받아달라고 강력히 권고하면서,
- 3밀 환경(밀접·밀집·밀폐)으로 감염 위험이 증가하는 ▲주점 및 클럽 방문 자제, 다중이용시설 방문 시,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개인방역수칙 철저 및 시설 내 ▲머무는 시간을 최소화할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시설 관리자는 ▲방문자 증상 체크, ▲출입명부 관리, ▲주기적 환기를 보다 강력하게 실시하여 주실 것을 강조하였다.
|
4. 60세 이상 발생률 추이 및 예방접종의 중증사망예방 효과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60대 이상 인구집단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증가함에 따라 확진환자 발생과 위중증·사망자가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 60세 이상 연령대에서 2회 접종률이 증가한 5월 이후 발생률이 감소하고 있으며, 누적 1회 접종률이 88.3%에 도달한 ‘21년 7월 1주차(6.26.-7.3.)에는 인구 10만 명당 3.5명까지 감소하였다.
- 한편, 60세 미만 연령대의 발생률은 5월 초부터 전체연령의 평균 발생률보다 증가하는 양상이다.
○ ‘21년 5월에 확진된 60세 이상 확진자 3,906명에 대한 분석 결과, 94.7%(3,702명)은 백신 미접종자이거나, 1회 접종을 받았더라도 접종 후 14일이 지나기 전에 확진된 사례였다.
- 확진 후 28일간 임상경과를 추적 관찰한 결과, 미접종 확진자의 위중증률은 7.2%, 사망률은 1.8% 였고,
- 1회 접종완료 후 확진자의 위중증률은 5.5%, 사망률은 0.5% 였으며, 2회 접종완료 후 확진자 중 위중증 및 사망자는 없었다.
- 결과적으로 예방접종 완료 후 감염된 사례에서 중증 및 사망 예방효과는 100%로 확인되었고, 1회 접종완료자에서 22.8%의 중증예방, 71.4%의 사망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60세 이상 확진자 중 백신 접종 횟수에 따른 위중증 및 사망 예방효과】
|
(‘21.7.4일 0시 기준, 단위 : 명, %) |
||||||||||
|
확진자 |
미접종 후 확진 (3,702명) |
1회 접종 완료 후 확진자 (199명) |
2회 접종완료 후 확진 (5명) |
|||||||
|
위중증자 (위중증률) |
사망자 (사망률) |
위중증자 (위중증률) |
사망자 (사망률) |
위중증 예방 |
사망 예방 |
위중증자 (위중증률) |
사망자 (사망률) |
위중증 예방 |
사망 예방 |
|
|
3,906 |
265 (7.2%) |
65 (1.8%) |
11 (5.5%) |
1 (0.5) |
22.8% |
71.4% |
0 (0.0%) |
0 (0.0%) |
100.0% |
100.0% |
|
◈ 분석대상: ‘21년 5월에 확진된 60세 이상 연령 3,906명 · 미접종자 :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백신 1회 접종 후 14일 미경과자 포함 · 1회 접종완료자 :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백신 2회 접종 후 14일 미경과자 포함 · 2회 접종완료자 :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백신 2회 접종 후 14일 경과자 ◈ 분석방법 · 위중증률·치명률: (접종 횟수별)위중증·사망자수 / 확진자수 x 100(%) · 예방효과: (1 - ((접종 횟수별)접종 후 확진자의 위중증룰·치명률) / 미접종 확진자의 위중증률·치명률) x 100(%)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예방접종률이 높은 60세 이상의 연령대에서 코로나19 발생률과 중증도, 사망률 등이 지속 감소 중으로,
○ 이번 결과는 백신 접종이 감염 예방을 통해 유행의 규모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감염에 취약한 고령층의 중증질환과 사망을 예방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라고 설명하며, 일정에 따라 예방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5. 얀센 백신 예방접종 효과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30세 이상 예비군, 민방위 대원 등을 대상으로 6월 10일부터 접종을 시작한 얀센 백신의 감염예방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 얀센 백신 접종 대상자 117만 666명 중 7월 5일까지 누적 1차 접종자는 112만 2,051명으로 이 중 접종완료자*는 111만 9,227명이었다.
* 백신별 권장 횟수 접종 후 14일이 경과한 자
○ 접종완료자 중 발병률은 10만 인일*당 0.58명인 반면, 미접종자의 발병률 8.11명(/10만 인일)으로 나타나 92.8%의 감염예방 효과**를 보였다.
* 인일(人日, person-day): 개별 분석대상자의 추적관찰기간의 합
** (감염예방효과) = (1 - (접종완료자의 발병률)/(미접종자의 발병률)) × 100(%)
【얀센 백신 접종대상자에서 감염예방효과】
|
(‘21.7.5일 0시 기준, 단위 : 명, %) |
||||||||
|
구분 |
미접종군 |
접종군 |
감염예방효과 (%) |
|||||
|
대상자수 (person-day) |
확진자수 |
발병률 (명/10만 인일) |
대상자수 (person-day) |
확진자수 |
발병률 (명/10만 인일) |
상대위험비 (RR) |
||
|
얀센 접종대상자 |
40,986 (1,023,094) |
83 |
8.11 |
1,122,051 (24,569,953) |
143 |
0.58 |
0.07 |
92.8 |
○ 이러한 효과는 접종 후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변동가능하며, 경과 기간에 따른 효과변화 추이도 지속 모니터링 예정이다.
|
6. 돌파감염 현황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백신효과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백신 접종 후의 ‘돌파감염’ 현황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돌파감염’은 백신별로 권장 접종 완료 후 2주가 지났음에도 코로나19로 확진된 경우를 말한다.
- 국내 예방접종 완료자 416만 7,322명 중 돌파감염 추정사례는 총 252명(10만 명당 6.05명)이며,
* 미국 현황 : 접종 완료자 10만 명당 10.2명(’21.4.30. 기준)
- 각 사례에 대한 경과를 추적 관찰한 결과, 위중증으로 진행한 환자는 2명(돌파감염 사례 중 0.8%)이었고, 사망자는 없었다.
○ 또한, 변이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분석이 진행 중이며, 37명에 대한 분석 결과 12명(32.4%)의 환자에서 주요 변이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되었다.
- 유형별로는 알파형 변이가 9명으로 가장 많았고, 베타형 변이 1명, 델타형 변이 2명이 확인되었다.
【코로나19 백신 종류별 돌파감염 추정사례 현황】
|
(‘21.7.8일 0시 기준, 단위 : 명) |
|||||||
|
백신종류 |
접종완료자1) |
돌파감염 추정사례 |
발생률2) (10만명당) |
주요변이 분석결과 |
|||
|
알파형 |
베타형 |
감마형 |
델타형 |
||||
|
계 |
4,167,322 |
252 |
6.05 |
9 |
1 |
- |
2 |
|
아스트라제네카 |
838,426 |
50 |
5.96 |
3 |
|
- |
1 |
|
화이자 |
2,206,845 |
59 |
2.67 |
6 |
1 |
- |
1 |
|
얀센 |
1,122,051 |
143 |
12.74 |
|
|
- |
|
1) 백신종류별 권장횟수 접종 후 14일 경과자
2) 백신종류별 권장횟수 접종 후 14일 경과자 10만 명당 확진자 수
※ 모더나 국내 접종자중 2차 접종자 없음 (7.8. 0시기준)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모든 백신에서 돌파감염은 발생할 수 있고, 현재까지 매우 드물게 나타나고 있으며, 백신효과 모니터링 결과에서도 특이 징후는 확인되지는 않았다고 설명하였다.
|
7. 교육·보육 종사자, 돌봄인력 7월 예방접종 사전예약 |
□ 초등 3~6학년 및 중학교 교직원, 앞선 조기접종(7.13.~17.)에 참여하지 않은 어린이집, 유치원 및 초등 1·2학년 교직원 등 교육 및 보육 종사자(58만여명)와 돌봄인력(지역아동센터, 다함께 돌봄센터, 아동복지시설/35천여명) 종사자를 대상으로 7월 14일(수) 0시부터 17일(토) 18시까지 사전예약을 실시하고, 7월 28일(수)부터 8월 7일(토)까지 1차 접종을 시행한다.
○ 앞서 이스라엘과의 백신 교환으로 화이자 백신이 조기 공급됨에 따라 6월 접종이 7월로 연기되었던 어린이집, 유치원 및 초등 1·2학년 교직원의 접종 일정을 앞당겨 7월 8일(목)부터 10일(토)까지 사전예약을 실시하여 조기에 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 (조기접종) 1차 접종 7.13(화)∼7.17(토)
□ 이번 접종은 화이자 백신으로 전국 위탁의료기관(13.3천개소)에서 실시되며, 접종을 희망하는 대상자는 코로나19예방접종사전예약누리집(https://ncvr.kdca.go.kr)에서 방문 가능한 접종기관을 선택하여 접종 일정을 예약할 수 있다.
○ 예약을 변경 또는 취소하고자 하는 경우, 사전예약 기간 중에는 누리집에서 취소 및 재예약이 가능하며, 예약 마감 이후에는 예약한 접종기관, 보건소 또는 콜센터로 연락하면 된다.
※ 접종장소 변경은 보건소 또는 콜센터에서만 가능
□ 다수의 학생들은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상이 아니므로 2학기 전면등교를 위해서는 교직원들 한 분 한 분의 접종이 절실한 상황으로, 접종에 적극 참여해주시기를 당부 드린다.
|
8. QR체크인을 활용한 예방접종 증명 방법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지난 7월 12일부터 전자출입기록(QR체크인) 시 예방접종 증명을 동시에 전자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고 안내하면서,
○ 네이버·카카오·통신3사 인증(PASS) 및 토스 앱의 구체적인 사용 방법을 안내하였다.
< 앱 업데이트 방법 >
□ 네이버·카카오·토스 및 케이티(KT) 인증(PASS) 앱은 업데이트를 수행하여야만 통합 QR코드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
○ 에스케이티(SKT)·엘지유플러스(LGU+)의 인증(PASS) 앱의 경우, 앱 실행 시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어 발급받을 수 있다.
|
< 수동 업데이트 방법 > ○ 구글 플레이스토어앱 또는 애플 앱스토어를 통해 관련 앱을 검색 후 업데이트 하거나, 설치 된 앱을 실행 후 삼선 , 톱니바퀴 아이콘 또는 더보기 메뉴를 선택 후 버전정보 항목에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안내정보에 따라 업데이트 실시 |
< 통합 QR체크인(QR×COOV) 발급 및 사용 >
□ QR체크인 화면에서 개인정보 수집동의, 휴대폰 인증 단계를 거쳐 전자예방접종증명서가 포함된 통합QR을 사용할 수 있다.
○ 통합QR은 기존 QR체크인 사용 방법과 동일하게, 카메라 앱에 인식되도록 제시하게 되며,
○ 간편 인증을 통해 접종회차 등 예방접종정보 확인을 화면 메시지와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상세내용은 배포된 통합QR 사용자 매뉴얼을 참조
< 시설관리자 앱 업데이트 및 사용 방법 >
□ 시설관리자는 단말기의 전자출입명부(KI-PASS) 앱 실행 시, 안내되는 업데이트 절차대로 업데이트를 수행하면 된다.
○ 이후, 기존 전자출입명부 사용방법과 동일하게 다중이용시설 내에서 해당 앱 내 인증카메라 기능을 상시 활용하면 된다.
|
9. 백신 도입 현황 |
□ 백신 도입과 관련하여, 개별 계약된 화이자 백신 79.9만 회분이 7월 14일(수) 인천공항에 도착한다.
○ 화이자 백신은 7월에 점진적으로 증가된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며, 화이자·모더나 백신을 포함하여 약 1천만 회분의 백신이 7월중 순차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
10. 당부 말씀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6일 연속 전국 1천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여, 4차 유행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우리 사회 전체가 방역 대응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강조하였다.
○ 이에 따라, 대규모 감염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국민과 의료·사회·경제 분야 등 모든 사회구성원의 단합이 필요할 때라고 강조하면서, 다음과 같이 거리두기 및 방역수칙을 지켜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모든 국민들은 ① 불요불급한 약속은 취소, ② 외출 등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가정 내에서 안전하게 일상생활을 보내도록 하고, ③ 조금만 의심증상이 있어도 즉시 진단검사를 받는다.
- 기업 및 사업장은 ① 불필요한 회의나 출장은 취소, ② 회식 및 집단행사는 자제, ③ 재택근무를 활용하여 사무실 및 사업장 내 밀집도를 조정하는 등 사람 간 접촉을 최소화한다.
- 다중이용시설은 ① 에어컨 등 냉방시설 가동 시 충분한 환기, ② 출입명부 기재 등 방역관리를 철저히 하고, ③ 종사자 등에 대해 진단검사를 적극적으로 실시한다.
- 의료기관 및 약국 등에서는 유증상자 방문 시 환자가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도록 적극적으로 권고한다.
○ 아울러, 나와 가족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 등 기본 방역수칙도 철저히 지켜줄 것을 거듭 당부하였다.
□ 추진단은 국민들이 믿고 접종할 수 있도록 위탁의료기관은 접종단계별 확인절차(대상자, 백신종류, 접종용량)를 거쳐 접종할 수 있도록 협조를 당부하였다.
○ 오접종 방지를 위해 접종대상자에게 백신별 인식표를 배부하고, 의료기관 내 백신별 접종 공간·시설·인력을 구분(권고)하며, 백신 접종 담당자를 대상으로 접종센터 현장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는 등 안전접종을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변이바아러스 현황
4.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5.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6.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7.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8.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9.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0.「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2단계 방역조치 요약표(’21.6.14∼’21.7.4)
4. 1.5단계 방역조치 요약표(’21.6.14∼’21.7.4)
5.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6.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7.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8.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9.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10.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11.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2.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4.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6.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7.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8.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
19. QR 체크인을 활용한 예방접종 증명방법 매뉴얼 안내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 뉴스 |
|
|---|---|
| 멀티미디어 |
|
| 브리핑룸 |
|
| 정책자료 |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해양동물 구조·치료 전문가가 되어보자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상생소비복권 1차 2025명 당첨…"1등 2000만 원"
-
이재명 대통령 긴급 지시…정부자산 매각 전면 중단
-
젠슨 황이 한국으로 뛰어올 수밖에 없었던 이유
-
개인정보분쟁조정위, SKT에 '손해배상금 30만 원씩 지급' 결정
-
한·중, '70조 원' 통화스와프 계약 체결…외환시장 안정 기대
-
'APEC 경주선언' 채택…역내 문화창조산업 협력 필요성 첫 명문화
-
5일부터 '13월의 월급'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 시작
-
"한국, 실용적 중견국 리더십 발휘"…외신이 본 '경주 APEC'
-
이 대통령 "AI 고속도로 구축해 도약과 성장의 미래 열어야"
-
정부, 김장철 물가 안정 총력…배추·무 등 4만 7500톤 공급
최신 뉴스
-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10월에도 하락세 지속…유지류 제외 전 품목 내림세
- [해명] 규제지역을 확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통계를 제외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 (참고)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중수본, 피해자 가족과 함께 전 과정 투명 구조수습 추진
- 한-캐 방산협력 파트너십, 신뢰로 여는 다양한 협력의 장
- 우리나라, 2026-28년 임기 유엔 행정예산자문위원회(ACABQ) 위원 연임 당선
- 제4회 법학전문대학원 입법정책학회 연합 학술 세미나 축전
- [해명] 통계 공표 전에 통계를 제공받아 주정심에 활용 가능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 제16차 한일 외교차관 전략대화(11.7.) 개최
-
질병청, 미래 팬데믹 대비·대응 고도화 추진단 발족
- 국토부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적법하게 지정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