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대한민국 동행세일’ 18일간 총 1,180억원 팔렸다
□ 전통시장과 대기업, 지자체와 중앙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함께 동행한 상생 온라인·비대면 행사
□ 18일간의 대한민국 동행세일, 온라인 기획전 267억5,900만원, 티브이홈쇼핑 891억원, 실시간 방송판매 21억 4,200만원 → 비대면 판매 총 1,180억100만원 기록
2021.07.20
중소벤처기업부
글자크기 설정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2021년 대한민국 동행세일’ (6.24~7.11) 판매 부문별 최종 실적을 발표했다.
18일간의 행사기간 동안 온라인 기획전, TV홈쇼핑(T커머스 포함), 라이브커머스 채널에서 총 1,180억원의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2021 대한민국 동행세일 비대면 유통채널 매출실적 >
(온라인 기획전) 민간쇼핑몰(26개*), 가치삽시다 플랫폼, 온라인전통시장관, 공영쇼핑 온라인몰, 지역온라인몰 등에서 총 267억5,900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 위메프, 티몬, G마켓, 옥션, 11번가, 쿠팡, 인터파크, G9, SSG닷컴, CJ 온스타일, 롯데백화점몰, 더현대닷컴, AK몰, 갤러리아몰, 롯데ON, Hmall, GS 프레쉬몰, GS SHOP, 홈플러스몰, 롯데슈퍼 Fresh, 롯데마트몰, 이랜드몰, 하프클럽, 보리보리, 오아시스, 마켓비
전국이 함께하는 대한민국 동행세일을 위해 올해 처음으로 참여한 지자체 대표 온라인몰 16개*에서는 총 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 지역 대표 온라인몰 16개 : 서울(ON서울마켓), 부산(크리에이티브샵), 대구(무한상사), 인천(인천e몰), 광주(광주김치), 대전(온통대전몰), 울산(울산몰), 경기도(착착착), 강원(강원마트), 충북(청풍명월장터), 충남(농사랑), 전북(거시기장터), 전남(남도장터), 경북(사이소), 경남(e경남몰), 제주(이제주몰)
온라인 전통시장의 경우, 전국 61개의 전통시장이 참여한 가상현실(VR) 전통시장관에서 약 16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온라인 장보기(근거리 배송)에서는 130여 곳의 전통시장에서 4,000여 개 점포가 참여해 약 4억 원의 판매 실적을 기록하는 등 동행세일을 맞아 진행한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해 전통시장의 온라인 진출 가능성을 확인했다.
(TV홈쇼핑) 7대 홈쇼핑사인 롯데, 공영, CJ, 현대, GS, NS, 홈앤쇼핑에서 동행세일 특별조건으로 384개 상품을 판매했다.
올해 처음으로 동행세일에 참여한 T커머스* 채널인 K쇼핑, 쇼핑엔티, W쇼핑 채널을 비롯해 TV홈쇼핑 등 부문은 총 891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라이브커머스) 가치삽시다 플랫폼, 공영쇼핑과 위메프·티몬 등 10개의 민간채널에서 186회 방송이 진행됐다.
총 255개 업체가 참여했으며 동행세일 전체 기간을 통틀어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총 16만6,800여개가 판매돼 21억4,200만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18일간의 누적 시청자 수는 185만명에 달했다.
전반적인 소비추세를 반영하는 신용·체크카드 국내 승인액은 총 47조801억원으로 전년 동행세일 기간 대비 일평균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신용·체크카드 국내승인액 현황 >
(단위: 억원, %)
한편, 동행세일 누리집(ksale.org)는 행사기간 동안 총 34만명이 방문했으며, 입소문 영상 조회수는 164만을 기록, 인스타그램 릴스 ‘득템보탬 챌린지’는 110만회 조회수를 기록했다.
18일간의 행사기간 동안 온라인 기획전, TV홈쇼핑(T커머스 포함), 라이브커머스 채널에서 총 1,180억원의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2021 대한민국 동행세일 비대면 유통채널 매출실적 >
유통채널 | 매출액 |
온라인 기획전 | 267억5,900만원 |
TV홈쇼핑 등 | 891억원 |
라이브커머스 | 21억4,200만원 |
합 계 | 1,180억100만원 |
(온라인 기획전) 민간쇼핑몰(26개*), 가치삽시다 플랫폼, 온라인전통시장관, 공영쇼핑 온라인몰, 지역온라인몰 등에서 총 267억5,900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 위메프, 티몬, G마켓, 옥션, 11번가, 쿠팡, 인터파크, G9, SSG닷컴, CJ 온스타일, 롯데백화점몰, 더현대닷컴, AK몰, 갤러리아몰, 롯데ON, Hmall, GS 프레쉬몰, GS SHOP, 홈플러스몰, 롯데슈퍼 Fresh, 롯데마트몰, 이랜드몰, 하프클럽, 보리보리, 오아시스, 마켓비
전국이 함께하는 대한민국 동행세일을 위해 올해 처음으로 참여한 지자체 대표 온라인몰 16개*에서는 총 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 지역 대표 온라인몰 16개 : 서울(ON서울마켓), 부산(크리에이티브샵), 대구(무한상사), 인천(인천e몰), 광주(광주김치), 대전(온통대전몰), 울산(울산몰), 경기도(착착착), 강원(강원마트), 충북(청풍명월장터), 충남(농사랑), 전북(거시기장터), 전남(남도장터), 경북(사이소), 경남(e경남몰), 제주(이제주몰)
온라인 전통시장의 경우, 전국 61개의 전통시장이 참여한 가상현실(VR) 전통시장관에서 약 16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온라인 장보기(근거리 배송)에서는 130여 곳의 전통시장에서 4,000여 개 점포가 참여해 약 4억 원의 판매 실적을 기록하는 등 동행세일을 맞아 진행한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해 전통시장의 온라인 진출 가능성을 확인했다.
(TV홈쇼핑) 7대 홈쇼핑사인 롯데, 공영, CJ, 현대, GS, NS, 홈앤쇼핑에서 동행세일 특별조건으로 384개 상품을 판매했다.
올해 처음으로 동행세일에 참여한 T커머스* 채널인 K쇼핑, 쇼핑엔티, W쇼핑 채널을 비롯해 TV홈쇼핑 등 부문은 총 891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라이브커머스) 가치삽시다 플랫폼, 공영쇼핑과 위메프·티몬 등 10개의 민간채널에서 186회 방송이 진행됐다.
총 255개 업체가 참여했으며 동행세일 전체 기간을 통틀어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총 16만6,800여개가 판매돼 21억4,200만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18일간의 누적 시청자 수는 185만명에 달했다.
전반적인 소비추세를 반영하는 신용·체크카드 국내 승인액은 총 47조801억원으로 전년 동행세일 기간 대비 일평균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신용·체크카드 국내승인액 현황 >
(단위: 억원, %)
2020 동행세일 기간 (’20.6.26~’20.7.12, 17일간) |
2021 동행세일 기간 (’21.6.24~’21.7.11, 18일간) |
일평균 승인액 증가율 |
382,524 (일평균 22,501) | 470,801 (일평균 26,156) | 16% |
한편, 동행세일 누리집(ksale.org)는 행사기간 동안 총 34만명이 방문했으며, 입소문 영상 조회수는 164만을 기록, 인스타그램 릴스 ‘득템보탬 챌린지’는 110만회 조회수를 기록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판로정책과 최서영 사무관(044-204-754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규제자유특구’ 사업중단 없이 이어진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전 국민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 원~45만 원 지급…7월 21일부터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
이 대통령 "민생 고통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 만들 것"
-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눌렀다가…사칭 유료서비스 가입 주의
-
31조 8000억 원 규모 추경 국회 통과…소비쿠폰, 이달 1차 선지급
-
고용보험, '소득' 기반으로 전면 개편…"취약근로자 두텁게 보호"
-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렇게 지급됩니다!
-
정부, 부산 화재 아동 사망 관련 긴급대책회의…"취약점 철저 점검"
-
이 대통령 "일터 죽음 멈출 특단의 조치 마련" 엄중 지시
-
이 대통령 "대한민국, 수도권 일극 아닌 전국이 골고루 함께 발전해야"
최신 뉴스
-
이 대통령, 종교지도자 11인 초청…"공동체의 어른 역할" 당부
- '숨을 곳은 없다', 잠적한 체불사업주 끈질긴 추적에 결국 구속
- 고용부 "노동안전 종합대책 구체적 내용 결정된 바 없어"
- 고용부 "주휴수당·퇴직급여 적용 확대, 결정된 바 없어"
-
김 총리, 쪽방촌 방문 "주거취약계층 지원방안 종합 검토"
- 행안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부대비용은 필수적인 비용"
- 원하청이 함께 안전 챙기면, 현장이 바뀝니다
-
7월부터 어린이집 0∼2세·장애아 보육료 지원금 오른다
- [참고] 국토교통부, 건설현장 온열질환 대응조치 시행
- "재난이 곧 안보상황"산불과의 전투, 국방부-산림청이 합동 대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