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지난해 코로나19 외 주요 감염병 46.6% 감소

2021.08.12 질병관리청
목록

지난해 코로나19 외 주요 감염병 46.6% 감소


- 질병관리청, 2020년 감염병 감시연보 발간 -


정감염병 신고 환 * 145,966(10만 명282)전년 대비 8.5% 감소

19(60,727) 제외 시 85,239(인구 10만 명당 165) 전년 대비 46.6%

- (주요감소) 수두, 홍역, 백일해, 유행성이하선염, 성홍열, 발진열 등

 

특히, 2급감염병 중 호흡기 전파 감염병** 환자 수 64,062명으로 전년 대비 51.3% 감소

-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올바른 손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 개선과 온라인 수업, 외출 자제 등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사람 간 접촉 빈도 감소 등의 영향으로 판단

 

해외유입 감염병 환자 수 5,495명으로 전년 대비 627.8% 증가

코로나19(5,379) 외 시 116명으로 전년 대비 84.6% 감소

- 주요 유입 감염병 : 신종감염병증후군(코로나19) 97.9%, 뎅기열 0.8%, 말라리아 0.5%

- 주요 유입 지역 : 아시아 33.2%, 아메리카 30.0%, 유럽 26.1%

 

의료기관 및 관련단체 등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신고와 적극적 협조 당부


  * 결핵, 후천성면역결핍증은 별도 통계 작성 및 공표하여 제외, 표본감시 감염병 제외


  ** 결핵, 수두, 홍역, 백일해,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페렴구균감염증, 성홍열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020년 국가감염병감시시스템(National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System)을 통해 신고된 법정감염병 현황을 분석·정리하여 「2020 감염병 감시연보」 를 발간하였다고 밝혔다.


 ○ 연보에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조에 명시된 87종*의 법정감염병 통계가 수록되어 있으며, 2020년에는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 64종 중 42종의 감염병이 신고되었고, 22종은 신고 건이 없었다.


     *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 64종 + 표본감시 대상 감염병 23종


 ○ 2020년 법정감염병 신고 환자 수*는 145,966명(인구 10만 명당 282명)으로 2019년 159,496명(인구 10만 명당 308명) 대비 8.5% 감소하였다.


    * 결핵, 후천성면역결핍증은 별도 통계 작성 및 공표하여 제외, 표본감시 감염병 제외


   - 그러나, 신종감염병증후군**(코로나19)을 제외(60,727명)하면 신고 환자 수는 85,239명(인구 10만 명당 165명)으로 전년 대비 46.6% 감소하였다.


    **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감염병 또는 병명을 알 수 없으나 새로 발생한 감염성증후군으로서 급속한 전파가 우려되어 긴급조치가 필요한 질환으로, 2009~2010년 신종 인플루엔자, 2020년 코로나19가 이에 속함


   - 신고 건수가 증가한 주요 감염병은 신종감염병증후군(코로나19), 브루셀라증,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비브리오패혈증 등이며, 수두, 홍역, 백일해, 유행성이하선염, 성홍열, 발진열 등은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


□ 2020년 감염병 급별 주요 감염병 신고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제1급감염병은 신종감염병증후군(코로나19)의 신규발생 및 대유행으로 인하여 ‘19년 1명에서 ’20년 60,728명으로 증가하였다.


   - 신종감염병증후군(코로나19)은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유행에 따른 해외유입 사례 증가와 다수의 집단발생으로 총 60,727건이 신고되었다.


   - 보툴리눔독소증은 국내에서 1건이 신고(’19년 1명 → ’20년 1명)되었다.


 ○ 제2급감염병은 전년 대비 47.4% 감소(’19년 164,879명 → ’20년 86,768명)하였다. 특히, 호흡기 전파 감염병* 환자 수가 64,062명으로 전년(131,442명) 대비 51.3% 감소하였으며,


    * 결핵, 수두, 홍역, 백일해,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페렴구균감염증, 성홍열


   - 이는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올바른 손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 개선**과 온라인 수업, 외출 자제 등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한 사람 간 접촉 빈도 감소, 해외여행 감소*** 등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 외출 후 손 씻기 실천율(‘19년 85.5% → ’20년 97.6%, 12.1% 증가), 실내마스크 착용률(99.6%) 및 야외마스크 착용률(99.5%) (자료: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 국제선 여객수 급감: (2019) 90,385,640명 → (2020) 14,239,922명(△84.2%, 출처 통계청)


   - 결핵은 2011년 이후 신규환자가 연평균 7.3%씩 감소하여 2020년에는 전년 대비 16.3% 감소(’19년 23,821명 → ’20년 19,933명)하여 최초로 1만 명대로 진입하였다.
 
  - 수두는 전년대비 62.1% 감소하였고(’19년 82,868명 → ’20년 31,430명), 미취학 아동 및 초등학교 저학년 연령대(0~12세)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 홍역은 6명의 환자가 보고되어, 전년대비 96.9% 감소하였고(’19년 194명) 모두 해외유입(베트남 3명, 미얀마 2명, 대만 1명) 사례로 확인되었다. 


   - 백일해는 전년 대비 75.2%가 감소하였다(’19년 496명 → ’20년 123명).


   - E형간염은 2020년 7월부터 제2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었고, 2020년 7월부터 191명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 제3급감염병은 전년 대비 4.0% 증가하였다(’19년 17,689명 → ’20년 18,403명).


   - 일본뇌염은 전년대비 79% 감소하였고(’19년 34명 → ’20년 7명),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85.7%(6명)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 C형간염은 전년 대비 20.8% 증가(’19년 9,810명→ ’20년 11,849명)하였고,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전체 환자의 83.2%(9,857명)을 차지하였다.


   - 비브리오패혈증은 전년 대비 66.7% 증가하였고(’19년 42명 → ’20년 70명), 50세 이상이 전체 환자의 90%(63명)을 차지하였다.


   - 후천성면역결핍증(AIDS)는 전년 대비 18.7% 감소하였고(’19년 1,006명 → ’20년 818명), 20~40대가 전체 환자의 76.4%(625명)을 차지하였다.


   - 뎅기열은 대부분 해외유입 사례이며 주된 유입 국가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이다. 2020년에는 전년대비 84% 감소(’19년 273명 → ‘20년 43명)하였고, 주사기 자상에 의한 감염으로 추정되는 사례 1건이 발생하였다.



< 최근 2년간 주요 감염병 신고현황 (제2급,제3급) 그림 붙임 참조>



 ○ 참고로, 제4급감염병(표본감시 대상) 중 급성호흡기감염증, 인플루엔자는 마스크 착용 등의 개인위생 개선*과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크게 감소세를 보였다.


    * 외출 후 손 씻기 실천율(‘19년 85.5% → ’20년 97.6%, 12.1%p 증가), 실내마스크 착용률(99.6%) 및 야외마스크 착용률(99.5%) (자료: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 급성호흡기감염증 신고 환자 수는 총 24,260명으로 전년(101,038명) 대비 76% 감소하였다.


   - 인플루엔자는 지난 절기 대비 12주 빠른 3월 27일에 유행주의보가 해제되었으며, 2020-2021절기에는 유행기준을 초과하지 않아* 유행주의보를 발령하지 않았다.


      * 의사환자 1,000명당 1∼2명대로 유행기준(5.8명) 이하 유지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임상감시 현황 그림 붙임 참조>



□ 해외유입 감염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 이후 매년 400~700명 내외로 신고 되고 있었으나, 2020년에는 5,495명이 신고 되어 2019년(755명) 대비 627.8% 증가하였다. 


 ○ 그러나, 신종감염병증후군(코로나19)을 제외(5,379명)하면 신고 환자 수는 116명으로 전년 대비 84.6% 감소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 유행으로 국제선 여객수 급감*에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 (2019) 90,385,640명 → (2020) 14,239,922명(△84.2%, 출처 통계청)


 ○ 2020년에 신고된 주요 해외유입 감염병은 주로 신종감염병증후군(코로나19, 97.9%)이었고, 일부 뎅기열(0.8%), 말라리아(0.5%), 세균성이질(0.2%) 등이 있었다.


 ○ 주요 유입지역은 아시아 지역(필리핀,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등)이 전체의 약 33.2%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아메리카, 유럽 지역이 각각 30.0%, 26.1%로 나타났다.


< 2020년 해외유입 감염병 유입국가 현황 >


유입지역

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이외 대륙

신고수

(%)

1,826

(33.2%)

1,651

(30.0%)

1,432

(26.1%)

586

(10.7%)


□ 법정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2020년 1,339명으로 전년(’19년 402명) 대비 233.1% 증가하였다.


   * 결핵, 후천성면역결핍증, 표본감시 감염병 제외


 ○ 그러나, 신종감염병증후군(코로나19)를 제외(922명)하면 사망자 수는 417명으로 전년 대비 3.7% 증가하였다.


 ○ 2020년 사망자가 발생한 주요 감염병은 신종감염병증후군(코로나19, 922명, 68.9%),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226명, 16.9%), 폐렴구균 감염증(68명, 5.1%),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37명, 2.8%), 레지오넬라증(28명, 2.1%), 비브리오패혈증 (25명, 1.9%) 등이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감염병 통계를 산출할 수 있도록 감염병 환자 발생을 적극적으로 신고해 주신 의료기관 및 단체에 감사드린다.”라고 전했다.


 ○ 아울러 “감염병 감시연보를 보건정책, 학술연구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파일형태로 홈페이지에 게시할 예정이며(8.13), 향후 책자 형태로 제작하여 관련 보건기관, 의과대학 도서관 등에 10월 경 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이 연보는 감염병 포털[내려 받기 위치: (http://www.kdca.go.kr/npt) ☞ 발간자료 ☞ 감시연보]에서 열람 가능하며, 신고 현황도 확인할 수 있다.


<붙임>  1. 2020년도 주요 법정감염병 신고 현황
            2. 2011-2020년도 법정감염병 신고 현황
            3. 2011-2020년도 법정감염병 사망 신고 현황
            4. 2019-2020년도 법정감염병 증감 현황
            5. 2011-2020년도 감염병 해외유입 현황 및 주요 유입 국가
            6. 2020년도 주요 해외유입 감염병 주요 유입지역 현황
            7. 법정감염병 신고범위
            8. 감염병별 소관부서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자생식물 애기땅빈대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 출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