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2021년 7월 자동차산업 월간 동향(잠정)
친환경차 내수·수출 모두 7개월 연속 증가 -
- 친환경차 수출 대수, 금액 모두 월간 최고 기록 시현 -
국산 친환경차, 하이브리드차 역대 월간 최다 내수판매 달성 - |
【 자동차 】
□ (총괄) ‘21년 7월 자동차산업은 전년 동기 대비 생산 △13.9%, 내수 △9.6%, 수출 △2.9% 감소하였으나, 수출금액은 12.3%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
ㅇ 수출금액은 41.0억불로 역대 7월 중 ‘14.7월(42.2억불)에 이어 최고 수출을 기록하며 7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시현
- ‘21.7월 생산·수출 감소는 전년동월 수출 확대에 따른 생산량 증가 영향*에 따른 역기저효과 및 조업일수 감소(약 △2일 이상)에 기인
* ‘20.5-6월 코로나19 수출 급감에 따른 적체물량 등이 ’20.7월 수출되면서 대기수요 실현 → 생산량 증가로 연결되어 ‘20.7월 생산은 20년 월평균 대비 18.3% 증가
< ‘21년 7월 자동차산업 실적 (단위:대, 억불, %) >
구 분 |
’21.7월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21.1-7월 |
전년동기비(%) | |
생 산(대) |
297,585 |
△8.7 |
△13.9 |
2,112,106 |
7.0 | |
내 수(대) |
147,697 |
△10.9 |
△9.6 |
1,058,601 |
△3.2 | |
|
국산차(대) |
122,833 |
△8.6 |
△14.1 |
872,821 |
△6.8 |
수입차(대) |
24,864 |
△20.8 |
21.9 |
185,780 |
18.2 | |
수 출(대) |
181,046 |
△1.3 |
△2.9 |
1,239,254 |
23.0 | |
|
수출금액(억불) |
41.0 |
1.4 |
12.3 |
277.1 |
42.8 |
부품수출(억불) |
19.9 |
1.7 |
35.0 |
136.0 |
42.2 |
* 자료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무역협회
□ (생산) 조업일수 감소(약 △2일 이상), 차량용반도체 수급 애로, 현대차 아산공장 설비공사 등 주요공장 휴업으로 △13.9% 감소한 297,585대
* (현대) 전기차 라인공사(아산공장) 7.13~8.11, 노조창립일 7.26, 21년 임단협안 타결(7.21)에 따른 노조 투표 7.27 / (기아) 소하리 1·2공장 7.26~27(코로나19 확진) / (르노삼성) 부산공장 7.19~20 / (GM) 부평2공장 7.1~7.24, 27 50% 감산, 7.12~16, 29~30 중단, 창원공장 7.1~31 50% 감산
ㅇ 7월 생산 감소는 국내 자동차 생산의 약 50%, 10%를 차지하는 현대(△16%)와 한국지엠(△45.3%)의 생산 감소에 따른 것으로 분석
(현대차) 노조창립일, 임단협안 타결에 따른 노조 투표로 조업일수 감소(△2일), 아산공장(그랜저, 소나타 생산) 설비공사에 따른 조업중단(7.13~8.11)으로 △16% 감소
* ‘21.1-6월 기준, 아산공장은 월평균 2.2만대 생산, 전체자동차 생산의 7.2% 차지
* 전체자동차 생산 內 아산공장 비중: (‘20.7월) 9.1% → (’21.7월) 4.0%(5.1%p↓)
(기아차)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에 따른 소하리 1·2공장 휴업(7.26~27)으로 △4.4% 감소
(한국지엠) 부품수급 애로(차량용반도체 등) 영향으로 부평2공장 및 창원공장 50% 감산 운영 등으로 △45.3% 감소
(르노삼성) 디스플레이용 반도체 수급차질에 따른 부산공장 휴업(7.19~20)으로 △3.2% 감소
* 반도체 수급차질로 인한 조업중단은 이번 달이 최초
ㅇ 주요 자동차 생산국가 비교시 코로나19이전인 19년 대비 생산대수는 한국이 중국, 인도를 제외하고 가장 낮은 감소율 시현
* (對‘19.1~6월 생산) 주요국 증감률(%) : (중국) +3.6, (미국) △17.0, (일본) △14.9, (인도) △9.6, (독일) △29.7, (한국) △10.5, (멕시코) △15.8, (스페인) △16.5, (브라질) △18.3, (태국) △20.8
□ (내수) 친환경차 판매확대(+65.7%)에도 불구하고 전년동월 대비 신차효과 감소* 및 공급물량 감축 등으로 △9.6% 감소한 147,697대 판매
* ‘20.7월은 다양한 신차 출시(쏘렌토, 아반떼, G80, XM3 등)에 따른 수요 집중
ㅇ 베스트 셀링카(승용) TOP5는 모두 국산차가 차지
‘21.7월 베스트 셀링카 TOP5 (대) |
|
‘21.1~7월 베스트 셀링카 TOP5 (대) |
|
|
- (국산차) 친환경차 판매 확대(+48.3%)에도 불구하고, 생산차질 영향이 공급 물량 감소로 연결되어 △14.1% 감소
- (수입차) 독일계(벤츠, BMW, 아우디), 일본계(렉서스, 도요타, 혼다)의 판매 호조로 21.9% 증가한 24,864대
* 독일계 : 벤츠(+35.8%), BMW(+57.8%), Audi(+12.0%) 등 +29.6% 증가
* 일본계 : 렉서스(+37.1%), 도요타(+32.9%), 혼다(+153.5%) 등 +26.7% 증가
* 국가별 판매 증감률(%) : 이탈리아 7.9%, 미국 △0.9%, 영국 14.8%, 프랑스 △2.6% 등
□ (수출) 전년 동월 수출물량 확대에 따른 역기저효과* 등으로 △2.9% 소폭 감소(181,046대), 수출금액은 12.3% 증가한 41.0억불 기록
* ‘20.5-6월 코로나19 수출 급감에 따른 적체물량 등이 ’20.7월 수출되면서 대기수요 실현
※ ’21.7월 지역별 잠정 수출실적(백만달러, 전년동월) : 북미(1,795, △11.6%), EU(583, 8.5%), 동유럽(551, 46.7%), 중동(397, 133.4%), 중남미(191, 182.4%), 아프리카(45, 90.4%), 오세아니아(278, 17.0%), 아시아(259, 23.2%)
ㅇ 수출대수는 중·대형 차종이 두 자릿수로 증가였으나, 수출비중의 68.5%차지하는 SUV가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는 소폭 감소
* 차종별 증감률(%): 경형 +4.6, 소형 +30.0, 중형 +77.6, 대형 +74.8, SUV △16.4, PICKUP +494.4. CDV+70.4
- SUV 수출 감소는 수출비중의 약 20%(21.1~7월 기준)를 차지하는 볼륨모델(코나, 트레일블레이저)의 공급량 감소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
* (코나) 모델노후화에 따른 수요감소, (트레일블레이저) 차량용반도체 수급 부족에 따른 생산차질 등
* 코나, 트레일블레이저 수출비중: (‘20.7월) 22.8% → (’21.7월) 15.5%(7.3%p↓)
- 중·대형 차종의 판매호조는 K5(+41.9%), 소나타(+124.3%), 제네시스계(+117.2%) 판매 증가에 기인
ㅇ 모델별 판매대수는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코나가 최고 수출 기록
‘21.7월 수출 모델 TOP5(대) |
|
‘21.1~7월 수출 모델 TOP5(대) |
|
|
ㅇ 수출금액은 12.3% 증가한 41.0억불 달성, 7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하며 역대 7월중 ‘14.7월(42.2억불)에 이어 2위 실적 기록
- 글로벌 현지 시장 점유율 상승 등 국내 완성차사의 경쟁력 제고와 친환경차 등 고부가차종이 수출단가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
* 미국 內 현대기아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29.1% 증가, 점유율은 9.0% → 11.2%(2.2%p↑) 상승
* 미국 內 주요브랜드 증감률: 미국계 △14.7%, 일본계 +17.2, 유럽계 +18.3, 한국계 +29.1%
* 수출비중 : [친환경차] (‘20.7월) 14.9% → (’21.7월) 20.0%(5.1%p↑)
[전기차] (’20.7월) 6.6% → (’21.7월) 6.7%(0.1%p↑)
ㅇ ‘21년 월별 수출금액은 코로나19 이전인 ’19년 대비 ’21.5월을 제외하고 모두 상회하며 기저효과를 뛰어넘는 호조세 시현
* ‘21.5월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 영향이 다른 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미침
- 친환경차(아이오닉5 EV, 니로 EV등)와 고부가 차종인 SUV(GV70, GV80, 팰리세이드, 싼타페, 쏘렌토 등)가 수출액 증가를 견인
최근 3년 1~7월 친환경차 수출 추이 |
|
최근 3년 1~7월 수출금액 추이 |
|
|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산업부 2차관, 수소경제 첫 현장 행보 실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전 국민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 원~45만 원 지급…7월 21일부터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이 대통령 "민생 고통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 만들 것"
-
31조 8000억 원 규모 추경 국회 통과…소비쿠폰, 이달 1차 선지급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눌렀다가…사칭 유료서비스 가입 주의
최신 뉴스
-
소상공인들이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거는 기대
-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취임 첫 현장 행보로 「오송 지하차도 참사 현장」 찾아
-
[정책 바로보기] 금융위 "새출발기금 도덕적 해이 방지 위해 다양한 보완장치 운영"
-
영업자를 위한 신규 위생용품 수입신고 절차 가이드
- 무선이어폰 10개 제품 비교정보 제공
- 무선이어폰 10개 제품 비교정보 제공
- 여름철 재해 대비 자원봉사 및 온기나눔 집중기간(7.7.~9.30.) 운영
- 2025년 대한민국 안전기술대상, 국민 여러분이 직접 뽑아주세요!
- 인공지능 기반 차세대 매체(미디어) 표준 경쟁 본격화
- 7월 국립중앙과학관 「별의별 과학특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