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전 세계 코로나19 신규 발생 소폭 감소(9.2., 정례브리핑)
※ 5쪽 예방접종피해조사반 평가 건수 일부 수정(16:10), 19쪽 잔여백신 접종현황 표 내 백신 구분 순서 수정(9.8., 11:02)
- 독일, 일본, 베트남 발생 증가 지속, 우리나라는 주요국 대비 발생 낮아 -
◆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9월 2일, 화이자 백신(루마니아) 52.65만 회분, 개별 계약 모더나 백신 102.1만 회분 도입, 누적 5,282만 회분 도입 완료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백혈병 관련 안내 ○ 코로나19 백신이 급성백혈병을 유발 또는 촉발한다는 근거 없어 ○ 미국, 유럽 등에서도 백신과 급성백혈병의 인과성은 입증되지 않음
◆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 피해보상 신청 사례 총 551건 중 193건(35.0%)에 대해 보상 결정 ○ 인과성 근거 불충분으로 제외된 중증 환자는 1인당 1천만 원까지 의료비 지원
◆ 코로나19 국외 발생동향 및 예방접종 현황 ○ 독일, 일본, 베트남에서 지속 증가 양상 ○ 국내 발생률, 사망률 모두 주요 국가 대비 낮은 수준 유지 중 |
1.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 9월 2일(목)에 화이자 백신(루마니아 구매) 52.65만 회분과 개별 계약된 모더나 백신 102.1만 회분이 인천공항에 도착 예정이다.
* 화이자 백신 편명: DB2005, 도착시간 9.2(목) 15:00
* 모더나 백신 편명: KE262, 도착시간 9.2(목) 16:25
○ 이로써 오늘 도입되는 모더나 백신과 화이자 백신을 포함하여 9월 1일부터 9월 2일까지 423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되며, 누적 5,282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된다.
○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 되는대로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9.2.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
도입 확정 |
도입 완료 |
도입 예정 |
|||||
계 |
상반기 |
7~8월 |
9.1~9.2 |
9.3~9.30 |
4분기 |
|||
계 |
1억 9,490만 |
5,282만 |
1,862만 |
2,997만 |
423만 |
약 4,700만 (협의중) |
약 9천만 |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2,000만 |
881.4만 |
1,118.6만 |
|
|
|
|
화이자 |
6,705만* |
2,429.4만 |
700.2만 |
1,408.3만 |
320.8만 |
|||
모더나 |
4,045만* |
449.3만 |
11.2만 |
336.1만 |
102.1만 |
|||
얀센 |
740만 |
151.4만 |
101.3만 |
50.1만 |
|
|||
노바백스 |
4,000만 |
- |
- |
- |
|
|||
코백스 |
아스트라 제네카 |
2,000만 |
210.2만 |
126.7만 |
83.5만 |
|
||
화이자 |
41.4만 |
41.4만 |
- |
|
|
|
|
|
제약사와 공급 일정 협의 중이거나 일정 공개 협의 중(노바백스 백신은 허가 일정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루마니아와의 백신 협력을 통한 도입 물량 포함(화이자 105.3만 회분, 모더나 45만 회분) |
- 한-루 백신 협력으로 구매한 화이자 백신 루마니아 출발(9.1)* 관련 사진 붙임 참조-
* 현지시각 9.1일 22:30분 (사진 출처: 주루마니아대사관)
2.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백혈병 관련 안내 |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대한혈액학회(이사장 이제환) 자문 등을 통해, 현재까지 코로나19 백신이 백혈병을 유발 또는 촉발한다는 근거는 없음을 설명하였다.
○ 대한혈액학회는 ①접종 후 단기간 내 백혈병 발생은 기존의 이론과 일치하지 않으며*, ②코로나19 백신 또는 인플루엔자 백신 등 기존 백신과 백혈병의 인과성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고 밝혔다.
* 약물(항암제)로 인한 백혈병은 수년 이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아울러, 국가 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매년 약 3,500여명의 환자가 새롭게 백혈병 진단을 받고 있고, 60세 이후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백혈병 발생에 대한 우려는 불필요하므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하였다.
□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이하‘식약처’)는 급성백혈병 관련 국내 이상반응 보고건수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고, 현재까지 미국, 유럽 등에서도 백신과의 인과성은 입증되지 않았다고 설명하며,
○ 국내 이상반응 사례 및 해외 조치사항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필요 시 안전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추진단은 향후에도 관련 학회 및 식약처와 함께 국외 최신동향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감시를 지속하면서 코로나19 백신 안전성 검토 및 정보 공유를 지속할 예정이다.
3.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평가 결과 분석 (~8.27.) |
□ 예방접종피해조사반(반장 김중곤 교수)은 현재까지 총 28차례 회의를 개최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을 평가하였다.
○ 신고사례 총 1,983건(사망 579건, 중증 781건, 아나필락시스 623건) 중 229건(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222건)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었고, 31건(사망 3건, 중증 28건)은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로 평가하였다.
*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의 경우 향후 근거가 확보되는 시점에서 재평가할 예정이며, 1천만 원 이내의 중증 이상반응 의료비를 지원하고 있음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 평가결과(8.27. 기준)>
구분* |
누적사례수 |
인과성 평가 결과 |
|||
인정 |
불충분 |
불인정 |
보류 |
||
합계 |
1,983(+150) |
229(+17) |
31(+6) |
1,710(+127) |
13 |
사망 |
579(+43) |
21) |
3(+1) |
563(+40) |
11(+2) |
중증 |
781(+44) |
52) |
28(+5) |
746(+41) |
2(-2) |
아나필락시스3) |
623(+63) |
222(+17) |
0 |
401(+46) |
0 |
*피해조사반 평가 시점 기준으로 분류 1) 혈소판감소성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근염 1례(화이자) 2) 혈소판감소성혈전증 2례(아스트라제네카), 뇌정맥동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낭염 1례(화이자) 3) 아나필락시스 심의 사례 中 중증 아나필락시스는 14건(인과성 인정 11건·불인정 3건) |
□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제28차 회의(8.27.)에서는 신규 87건 및 재심의 5건을 포함하여 총 155건(사망 46건, 중증 46건, 아나필락시스 63건)을 평가하였다.
○ 아나필락시스 17건에 대해 인과성이 인정되었고, 사망 1건(심근심낭염 1건) 및 중증 5건(길랑-바레증후군 1건, 혈소판감소증 2건, 급성심근염 2건)은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로 평가하였다.
○ 그 외 사망 및 중증 82건, 아나필락시스 46건에 대해서는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사망 4건은 재평가하기로 하였다.
□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제28차 회의(8.27.)에 제출된 신규 사망 및 중증 이상반응 사례를 분석한 결과,
○ 신규 사망 신고사례 43건의 평균 연령은 76.6세(범위 21~103세)였고, 이 중 38건(90%)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21건), 화이자(18건), 얀센(1건), 모더나(2건) 및 교차접종(1건)였다.
* 고혈압, 뇌졸중, 당뇨, 고지혈증, 허혈심장질환 등
○ 신규 중증 신고사례 44건의 평균 연령은 70.9세(범위 17-99세)였고, 이 중 35명(79%)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후부터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2.4일(범위: 직후∼74일),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21건), 화이자(20건), 모더나(2건), 교차접종(1건)이었다.
4. 제8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
□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위원장: 김중곤)는 8월 31일 제8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이하 “보상위원회”)를 열고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피해보상 신청된 사례 총 551건을 심의하였다.
* 임상의사, 법의학자, 감염병·면역학·미생물학 전문가, 변호사 및 시민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 15명 등으로 구성
○ 의무기록 및 역학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저질환 및 과거력·가족력, 접종 후 이상반응까지의 임상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한 결과,
- 예방접종 후 발열, 두통, 근육통, 어지럼증, 알레르기 반응 등의 이상반응으로 치료를 받은 사례 등 총 193건(35.0%)에 대해 보상 결정하였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기각 사례】
(사례1) 예방접종과 이상반응과의 시간적 개연성이 떨어짐(접종 18일 후 팔다리 저림, 12일 후 어지럼증, 9일 후 근육통, 5일 후 두드러기 발생 등)
(사례2) 백신보다는 기저 질환과 전신상태(대동맥박리, 뇌부종, 뇌출혈, 폐렴, 심근경색, 폐색전증, 담낭염에 의한 패혈증, 당뇨환자로 저혈당에 의한 실신 등)로 인하여 발생한 증상
(사례3) 면역저하 등 다른 원인에 의한 발생 가능성이 높음(2개월간 지속되는 전신피부발진, 1개월 지속되는 발열과 두통, 2주간 지속되는 어지러움 등) |
○ 전체 예방접종 43,823,599 건 중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는 총 180,677건이었고(9.1. 0시 기준), 이 중 의료기관을 방문할 정도의 이상반응으로서 피해보상을 신청하여 보상위원회에서 제8차까지 심의한 건수는 총 2,851건(1.6%)이었으며 이 중에서 1,544건(54.2%)이 보상 결정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심의 현황】
구분 |
심의건수 |
보상위원회 심의결과 |
보상구분2) |
||||||
보상 |
기각 |
보류1) |
계 |
진료비 및 간병비 |
장애인 일시보상금 |
사망일시보상금 및 장제비 |
|||
누계 |
차수 |
2,851 |
1,544 |
1,305 |
2 |
1,544 |
1,544 |
- |
- |
8월(2) |
제8차 |
551 |
193 |
356 |
2 |
193 |
193 |
- |
- |
8월(1) |
제7차 |
746 |
368 |
378 |
- |
368 |
368 |
- |
- |
7월(2) |
제6차 |
551 |
256 |
287 |
8 |
256 |
256 |
- |
- |
7월(1) |
제5차 |
300 |
202 |
98 |
- |
202 |
202 |
- |
- |
6월(2) |
제4차 |
291 |
172 |
117 |
2 |
172 |
172 |
- |
- |
6월(1) |
제3차 |
223 |
183 |
40 |
- |
183 |
183 |
- |
- |
5월 |
제2차 |
190 |
166 |
24 |
- |
166 |
166 |
- |
- |
4월 |
제1차 |
9 |
4 |
5 |
- |
4 |
4 |
- |
- |
1) 제4차(6월(2)) 및 제6차(7월(2)) 보상위원회에서 보류된 건은 이 후 보상위원회에서 심의 완료
2)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9조에 따른 보상의 종류로 구분
□ 한편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인과성 근거가 불충분하여 보상에서 제외된 중증 환자에 대해서도 의료비 지원사업을 신설하여 1인당 1천만 원까지 진료비를 지원하고 있다.
〈 중증 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
△ (지원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중증 이상반응이 발생 하였으나, 피해조사반 또는 피해보상전문위원회 검토 결과 인과성 인정을 위한 근거자료가 불충분하여 피해보상에서 제외된 환자(심의기준, ④-1 해당 시에만 지원)」
* ④-1 판정기준 :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이 접종 전에 이를 유발할 만한 기저질환, 유전질환 등이 불충분하고, 이상반응을 유발한 소요시간이 개연성은 있으나, 백신과 이상반응 인과성 인정 관련 문헌이 거의 없는 경우 * 중증 이상반응 : 사망, 중환자실 치료 또는 이에 준하는 치료, 장애 등 발생 경우
△ (지원내용)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질병의 진료비*로서 1인당 1,000만원 한도에서 지원하되, 기존의 기저질환 치료비 및 장제비는 제외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질환 관련 필수적인 비급여 포함하여 지원 * 실제 간병비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1일당 5만원 범위에서 간병비 지원 |
○ 현재까지 의료비 지원대상으로 확정된 인원은 총 32명이며, 이 중 지원을 신청한 5명에 대해서는 의료비 지원이 완료되었다.
○ 다른 대상자 분들도 관할 시·군·구 보건소를 통해 지원신청 하는 대로 신속하게 지원해드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5. 코로나19 국외 발생동향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에 대해 9주 연속 증가 이후 최근 주간 신규 발생은 소폭 감소하였고, 독일, 일본, 베트남에서 발생 증가가 지속되고 있음을 밝혔다.
○ 최근 1주간(8.23.∼8.29.) 전 세계 신규환자는 441만명(WHO 기준)으로 전주(455만명)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 (33주) 확진 4,557,959명, 사망 68,765명 → (34주) 확진 4,415,822명(-3%), 사망 67,106명(-2%)
- 미국은 9주 연속 발생이 급증한 이후 최근 1주 감소세를 보였으나, 사망자는 5주 연속 증가하였다.
* 미국: (34주) 확진 938,014명(-8.0%), 사망 7,323명(+9.1%)
- 독일은 8주 연속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접종완료자에게 실내 식당 및 카페 이용을 허용하는 등 접종을 독려하고 있다.
* 독일: 확진 64,350명(+36.4%), 사망 154명(+41.3%)
- 일본은 10주 연속 발생이 급증하였으며 위중증 환자 수가 역대 최대(8.29. 2,075명)를 기록하고 있다.
* 일본: (34주) 확진 156,931명(+5.3%), 사망 300명(+53.1%)
* 긴급사태발령 지역 총 21개 현(일본 전체 인구의 약 75%)으로 확장(8.27.∼9.12.)
- 베트남은 낮은 접종률(1회 접종: 17.1%, 접종완료: 2.4%, 8.27.)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최근 확진자 및 사망자가 급증(7월1주 9,160명 → 8월4주 85,762명)하였다.
* 베트남: (34주) 확진 85,762명(+20.4%), 사망 2,865명(+36.2%)
○ 전 세계적으로 델타변이로 인해 높은 발생이 지속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다른 주요 국가 대비 발생이 낮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100만 명당 주간 확진자는 238명으로 지난주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미국은 2,834명, 프랑스는 1,743명으로 전 주 대비 감소한 상황이나 영국은 3,499명, 독일은 774명, 이스라엘은 6,933명, 일본은 1,241명으로 증가하였다.
- 100만 명당 주간 사망자의 경우 우리나라는 지난주와 유사하며, 미국 22.1명, 영국 11.6명, 이스라엘 19.5명, 일본 2.4명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8.29. 0시 기준)】
구분 |
누적 발생(명) |
인구100만명당 누적발생(명) |
인구100만명당 최근 7일간 발생 (8.23.∼8.29.) |
예방접종률 (%) |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치명률) |
확진자 수 |
사망자 수 |
1회 이상 |
접종 완료 |
|
미국 |
38,343,343 |
629,782 |
115,840 |
1,903(1.6%) |
2,834 |
22.1 |
60.7 |
51.5 |
프랑스 |
6,539,707 |
112,503 |
100,550 |
1,730(1.7%) |
1,743 |
8.4 |
71.0 |
57.7 |
영국 |
6,698,490 |
132,376 |
98,673 |
1,950(2.0%) |
3,499 |
11.6 |
70.3 |
62.3 |
독일 |
3,932,547 |
92,130 |
47,285 |
1,108(2.3%) |
774 |
1.9 |
64.3 |
59.6 |
이스라엘 |
1,046,952 |
6,982 |
120,957 |
807(0.7%) |
6,933 |
19.5 |
67.7 |
62.2 |
일본 |
1,434,370 |
15,896 |
11,341 |
126(1.1%) |
1,241 |
2.4 |
55.0 |
43.9 |
한국 |
248,564 |
2,279 |
4,848 |
45(0.9%) |
238 |
1.2 |
55.8 |
28.5 |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해외 주요 국가 방역 현황(8.29. 기준)
4. 코로나19 예방접종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5. 알아두면 편리한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꿀팁
6. 코로나19 예방접종 온라인 예약방법 안내(영문)
7.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8.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9.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0.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1.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2.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3.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4.「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필리핀 진출 우리기업의 성공적인 경영활동 지원을 위한 경제노무관리 온라인 세미나 개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전 국민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 원~45만 원 지급…7월 21일부터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이 대통령 "민생 고통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 만들 것"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31조 8000억 원 규모 추경 국회 통과…소비쿠폰, 이달 1차 선지급
-
7월부터 '양육비 선지급제' 시행…미성년 자녀에 월 20만 원 지원
최신 뉴스
-
건설경기 회복·서민 주거안정 추경 확정…1조 9000억 원 규모
-
전 국민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 원~45만 원 지급…7월 21일부터
-
고용안전망 보강·청년일자리 지원 등 추경 확정…1조 5837억 원
-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대비 0.5% 상승
- 농식품부, 제44차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총회 참석
-
취약계층·소상공인 채무부담 완화 등 1조 1000억 원 추경 확정
-
산업부 추경 4456억원 확정…고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 바로 시행
- 제29회 임시국무회의 브리핑
-
새 정부 첫 추경 국무회의 의결…이 대통령 "하루라도 빨리 집행"
- 행안부-지자체, 재해예방사업 추진 속도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