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 간병인, 상주보호자 PCR 음성증명서 미등록자는 병동 출입 통제- - 의료기관 방역인력 지원사업 12월까지로 연장- - 주간(8.30∼9.5) 이동량 2억 2874만 건, 직전 주(8.23∼8.29) 대비 3.0% 증가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김부겸)는 오늘 강도태 1총괄조정관 주재로 정부세종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의료기관 방역 관리 강화 방안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조치사항 등을 논의 하였다.
1. 의료기관 방역 관리 강화방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로부터 의료기관(종합병원급) 방역관리 강화방안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최근 대학병원의 집단감염 발생* 관련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의료기관의 방역관리를 강화하여 방역 효과를 높이기로 하였다.
* 대구 소재 한 병원에서 집단감염 발생, 8.21.∼ 9.5. 누적 218명 중 병원관련 169명(n차 49명)
① 먼저 종합병원은 간병인, 상주보호자를 대상으로 전산등록 방식의 출입통제시스템을 운영할 것을 권고한다.
- 개별 전산등록 방식으로 PCR 음성증명서를 확인하고, 미등록자는 면회 및 병동 출입금지 기능을 설정하며,
- 상주보호자는 현행 지침대로 1인만 허용하며, 상주보호자 교대 시 72시간 내 PCR 음성결과를 제출하도록 할 예정이다.
② 간병인 근무수칙, 면회객 관리 등을 추가한 방역수칙 점검표를 모든 종합병원에 배포하여 9월 중에 일제 자체 점검을 실시하고 미비점은 개선하도록 하였다.
- 호흡기내과 병동 근무 의료진은 마스크 외에 ‘안면보호구’를 추가 착용토록 하고,
- 원내 다수 확진자 발생에 대비한 모의대응 훈련을 1회 이상 자체 실시하도록 하였다.
③ 병원 내 의료인, 간병인, 환자 중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는 관할 보건소와 협의하여 자체 예방접종이 조속히 시행될 수 있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 기저질환으로 인해 접종이 어려운 입원환자는 퇴원 후 외래방문 시 접종하는 방안 고려
④ 보건복지부는 올해 추경 예산으로 6월부터 의료기관 방역인력 지원 사업을 시행 중에 있으며, 9월 중에 신규 참여 또는 인력 증원 여부를 조사하여 반영할 계획이다.
- 사업기간도 10월에서 12월말까지 2개월 연장하여 병원의 동절기 방역관리 강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이 외에도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지자체와 합동으로 병원급 의료기관의 방역 수칙 준수 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갈 예정이다.
2. 방역 관리 상황 및 위험도 평가
9월 8일(수) 0시 기준으로 지난 1주일(9.2.~9.8.) 동안의 국내 발생 환자는 11,765명이며, 1일 평균 환자 수는 1,680.7명이다.
수도권 환자는 1,180.7명으로 전주(1,124.4명, 8.26.~9.1.)에 비해 56.3명 증가하였고, 비수도권은 500.0명으로 전주(564.9명, 8.26.~9.1.)에 비해 64.9명 감소하였다.
< 권역별 방역 관리 상황(9.2.~9.8.)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경북권 | 경남권 | 강원 | 제주 | ||
---|---|---|---|---|---|---|---|---|
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 | 1,180.7명 | 156.9명 | 75.6명 | 84.1명 | 148.4명 | 26.9명 | 8.1명 | |
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 | 4.5명 | 2.8명 | 1.5명 | 1.7명 | 1.9명 | 1.7명 | 1.2명 | |
즉시 가용 중환자실(9.7. 17시기준) | 227개 | 29개 | 28개 | 28개 | 43개 | 14개 | 5개 |
정부는 선제적인 진단검사를 확대하여 적극적으로 환자를 찾고, 역학조사를 통한 추적과 격리를 실시하는 등 강화된 방역 대응을 유지하고 있다.
어제도 전국의 선별진료소를 통해 5만 1255건, 임시 선별검사소를 통해 9만 4391건의 검사가 이루어졌다.
- 익명검사가 가능한 임시 선별검사소는 총 212개소*를 운영 중이며, 그간(12.14.~9.8) 총 1322만 6595건을 검사하였다.
* 수도권 : 142개소(서울 57개소, 경기 74개소, 인천 11개소)
비수도권 : 70개소(충남 19, 전남 11, 울산 9, 부산 6, 경남 6, 전북 5, 대전 4, 대구 3, 강원 2, 경북 2, 광주 1, 세종 1, 충북 1)
- 정부는 임시 선별검사소에 의료인력 641명을 배치하여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 어제는 하루 동안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574명의 환자를 찾아냈다.
코로나19 환자의 증가에 따라 치료 병상을 지속 확충하고 있다.
생활치료센터는 총 88개소 19,905병상을 확보(9.8.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51.6%로 9,629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 이 중 수도권 지역은 13,058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61.5%로 5,034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감염병전담병원은 총 9,524병상을 확보(9.7.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63.5%로 3,477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1,036병상의 여력이 있다.
준-중환자병상은 총 443병상을 확보(9.7.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62.3%로 167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83병상이 남아 있다.
중환자병상은 총 949병상을 확보(9.7.기준)하고 있으며, 전국 439병상, 수도권 268병상이 남아 있다.
< 중증도별 병상 현황 >
구분 | 생활치료센터 | 감염병 전담병원 | 준-중환자병상 | 중환자병상 | |||||
---|---|---|---|---|---|---|---|---|---|
보유 | 가용 | 보유 | 가용 | 보유 | 가용 | 보유 | 가용 | ||
전국 | 19,905 | 9,629 | 9,524 | 3,477 | 443 | 167 | 949 | 439 | |
수도권 | 13,058 | 5,034 | 4,367 | 1,036 | 276 | 83 | 630 | 268 | |
중수본 | 3,088 | 1,455 | - | - | - | - | - | - | |
서울 | 5,134 | 2,057 | 2,149 | 471 | 81 | 43 | 326 | 132 | |
경기 | 3,877 | 1,254 | 1,722 | 362 | 172 | 37 | 225 | 99 | |
인천 | 959 | 268 | 496 | 203 | 23 | 3 | 79 | 37 | |
비수도권 | 6,847 | 4,595 | 5,157 | 2,441 | 167 | 84 | 319 | 171 | |
중수본 | 844 | 377 | - | - | - | - | - | - | |
강원 | 326 | 204 | 388 | 195 | 5 | 4 | 28 | 17 | |
충청권 | 1,102 | 749 | 1,222 | 433 | 46 | 23 | 65 | 33 | |
호남권 | 700 | 395 | 920 | 547 | 10 | 4 | 51 | 33 | |
경북권 | 1,206 | 840 | 1,149 | 512 | 28 | 13 | 66 | 32 | |
경남권 | 2,317 | 1,719 | 1,204 | 532 | 73 | 36 | 101 | 50 | |
제주 | 352 | 311 | 274 | 222 | 5 | 4 | 8 | 6 |
이러한 병상 확보 노력과 함께 의료기관, 생활치료센터, 임시 선별검사소, 예방접종센터 등에 의사, 간호사 등 2,865명의 의료인력을 파견하여 치료와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어제 수도권 신규 확진자 중 자가치료(9.8.기준) 환자는 69명(서울 5명, 경기 62명, 인천 2명)으로 전일 대비 16명 증가하였다.
* 12세 이하 소아 31명, 소아의 보호자 2명, 성인 1인 가구 30명, 기저질환 2명, 자가치료요청(단독가구) 4명
3. 이동량 분석 결과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장관 권덕철)는 통계청이 제공한 휴대전화 이동량 자료*를 기초로 이동량 변동을 분석하였다.
* S이동통신사 이용자가 실거주하는 시군구 외에 다른 시군구의 행정동을 방문하여 30분 이상 체류한 경우를 이동 건수로 집계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조정 8주차 전국의 주간(8.30.~9.5.) 이동량은 2억 2,874만 건으로, 직전 주(8.23.~8.29.) 이동량(2억 2,210만 건) 대비 3.0%(664만 건) 증가하였다.
- 수도권의 주간(8.30.~9.5.) 이동량은 1억 2,060만 건으로, 직전 주(8.23.~8.29.) 이동량(1억 1,768만 건) 대비 2.5%(292만 건)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의 주간(8.30.~9.5).의 이동량은 1억 814만 건으로, 직전 주(8.23.~8.29.) 이동량(1억 441만 건) 대비 3.6%(373만 건) 증가하였다.
< 주간 이동량 추이 분석 >
(단위 : 만 건)
구분 | 0주차 (11.9~11.15) | … | 3주차 (7.26~8.1) | 4주차 (8.2~8.8) | 5주차 (8.9~8.15) | 6주차 (8.16~8.22) | 7주차 (8.23~8.29) | 8주차 (8.30~9.5) | |
---|---|---|---|---|---|---|---|---|---|
거리 두기 단계 | 거리두기 이전 | - | 수도권 4단계(7.12~), 비수도권 새로운 거리두기(7.1~) | ||||||
주간 이동량 | 전국 | 24,751 | - | 23,415 | 23,341 | 23,321 | 21,992 | 22,210 | 22,874 |
직전 주 대비 증감 | - | 3.6% | ▲0.3% | ▲0.1% | ▲5.7% | 1.0% | 3.0% | ||
수도권 | 13,093 | - | 11,347 | 11,271 | 11,738 | 11,321 | 11,768 | 12,060 | |
직전 주 대비 증감 | - | 0.8% | ▲0.7% | 4.1% | ▲3.6% | 4.0% | 2.5% | ||
비수도권 | 11,658 | - | 12,068 | 12,070 | 11,583 | 10,671 | 10,442 | 10,814 | |
직전 주 대비 증감 | - | 6.4% | 0.02% | ▲4.0% | ▲7.9% | ▲2.2% | 3.6% |
4. 자가격리자 관리현황 및 사회적 거리두기 이행상황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자가격리자 관리현황 및 사회적 거리두기 이행상황’을 점검하였다.
9월 7일(화) 18시 기준 자가격리 관리 대상자는 총 11만 2279명으로, 이 중 해외 입국 자가격리자는 2만 5119명, 국내 발생 자가격리자는 8만 7160명이다.
전체 자가격리자는 전일 대비 699명 감소하였다.
9월 7일(화)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식당·카페(12,533개소), 이·미용업(1,812개소) 등 23종 시설 총 24,602개소를 점검하여, 방역수칙 미준수 32건에 대해 현장 지도하였다.
한편, 클럽·감성주점 등 유흥시설 3,331개소를 대상으로 경찰청 등과 합동(119개 반, 632명)으로 심야시간 특별점검을 실시하였다.
< 붙임 > 1.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수칙(9.6 조정)
2.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관련 Q&A
3. 감염병 보도준칙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제5차 한-호주 외교·국방[2+2] 장관회의 개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다음주부터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보장' 의무화
-
7월부터 어린이집 0∼2세·장애아 보육료 지원금 오른다
-
이 대통령 "폭염 극심…국민 건강·재산 지키는데 가용 행정력 총동원"
-
해수부, 부산 청사 자리 확정…연내 일괄 이전 마무리
-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가동…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
'소비쿠폰' 문자에 URL 링크있다면 100% 사기…"118번 신고를"
-
이 대통령 "방위산업, 미래 먹거리…AI·무인 로봇 무기 체계 개발"
-
내년 '최저임금 시간급' 2.9%↑, 1만 320원…"17년만에 합의"
-
1년 이상 성실상환 채무자 '개인회생 기록' 즉시 삭제 추진
-
대통령실, 대미 통상현안 관계부처 대책회의…"국익 관철이 중요"
최신 뉴스
-
김 총리, 농민단체와 경청 차담회…"다양한 단체의 목소리 듣겠다"
- 기후변화대사, 영국 기후특별대표 면담(7.14.)
-
이 대통령, 오송참사 현장 방문…"관리 부실 인명사고 엄격 처벌"
- 한미일캐나다 4개국, 북태평양 공해상 불법어로 근절 위한 국제공조에 나서
- 농촌진흥청, 폭염 이은 잦은 비에 벼 안정 생산 총력… 현장 점검 나서
- 농촌진흥청,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5명 수상…연구 저력 입증
- 2025 「세계신안보포럼」 준비를 위한 라운드테이블 개최
- [보도자료] 김민석 국무총리, 농민단체 면담 보도자료
-
한·미·일·캐나다, 북태평양 불법어업 합동단속
-
내달 6일까지 국산 농축산물 40% 싸게…전통시장은 환급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