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설명자료)IAEA 보고서가 제시한 두 가지 원자력 발전 시나리오 중 하나에만 기반한 해석 및 평가는 부적절함(아경, 문화 9.17)

2021.09.17 산업통상자원부
목록
IAEA 보고서*2050년 원자력 발전량 및 발전비중에 대해 특정 수치가 아닌 2시나리오에 따라 수치를 범위 형태로 제시하고 있는 만큼, 1(높은) 시나리오에만 기반한 해석 및 평가는 부적절
* Energy, Electricity and Nuclear Power Estimates for the Period up to 2050
 
2050원자력 발전비중은 높은 시나리오에서는 증가하지만, 낮은 시나리오에서는 2020년보다도 감소하는 측면이 있음
* 원자력 발전비중(%) : (‘20) 10.2 (’50) 높은(12.3) vs. 낮은(6.3)
 
일본의 2030년 원전 발전 비중이 ’19년에 비해 3배 이상 확대되는 것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급격한 원전 감축에 따른 기저효과로부터 기인 * (’10) 24.8% (’12) 1.5% (’19) 6.4% (‘30) 20~22%
 
917일 아시아경제 년 원전 더 는다세계 흐름과 반대로 가는 정부>, 문화일보 원자력발전량 전망치 10년만에 상향> 보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드립니다.
 
1. 보도내용
 
IAEA9.16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 전세계 발전량에서 원자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202010%에서 205012% 확대될 것으로 예상
 
일본은 (원자력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3배로 확대한다는 방침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산업부의 입장
 
IAEA 보고서는 2050년 원자력 발전량 및 발전비중에 대해 높은(high case) 낮은(low case) 등 두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수치를 범위 형태로 제시하고 있는 만큼, 높은 시나리오 1개에만 기반한 해석 및 평가는 적절하지 않음
 
* (high case) 국가의 기후대응 정책이 반영,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기술 발전과 함께 정책결정자, 원자력산업, 대중의 적극적인 협조(참여)를 요구
 
* (low case) 현재 원자력 시장을 반영, 기술발전은 계속되지만 원자력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법률, 정책의 변화는 거의 없는 상황을 가정
 
전세계 발전량 중에서 원자력 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상대적 비중) 지난해 10.2%와 비교할 때, 2050년 높은 시나리오에서는 12.3%증가하는 것은 맞지만, 낮은 시나리오에서는 6.3%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세계 전체 발전량은 ‘5050,071 TWh’20(25,124TWh) 대비 약 2배 증가
 
< IAEA 보고서의 전세계 원자력 발전·설비비중 전망 >
 
2020
2030
2040
2050
low
high
low
high
low
high
발전량(TWh)
2,553
2,850
3,609
2,986
4,853
3,140
6,166
발전비중
10.2
8.6
10.8
7.2
11.7
6.3
12.3
설비용량(GW)
392.6
366
471
378
628
394
792
설비비중(%)
5.0
3.6
4.7
2.9
4.9
2.4
4.8
 
아울러, 2050년 원자력 발전설비의 비중은 높은(4.8%) 및 낮은(2.4%) 시나리오 모두에서 2020(5.0%)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IAEA 보고서는 최근 전세계 원자력 발전소 증감과 관련한 세계적 추세를 반영하여 2050년 전세계 지역별 원자력 발전을 전망하고 있음
 
보고서에 따르면 북미, 북서남유럽 등 주요 선진국이 소재한 지역의 원자력 발전량·비중, 설비용량·비중은 높은 및 낮은 시나리오 모두에서 감소할 것으로 나타남
반면, 중국·인도·러시아 등 주요 개도국이 소재한 중앙··남아시아, 동유럽 등 지역은 원자력 발전량·비중, 설비용량·비중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발전량(TWh) 기준 주요 지역별 전망치 >
 
2020
2030
2040
2050
low
high
low
high
low
high
북미
882.1
699
880
499
883
310
881
북서남유럽
636.6
630
650
547
603
353
600
동유럽
358.1
407
465
425
700
484
864
남아시아
55.8
132
196
239
361
370
609
중앙·동아시아
570.7
871
1,283
1,054
1,946
1,326
2,661
아프리카
11.6
13
22
43
77
69
115
<!--[if !supportEmptyParas]--> <!--[endif]-->
< 설비용량(GW) 기준 주요 지역별 전망치>
 
2020
2030
2040
2050
low
high
low
high
low
high
북미
110.2
86
108
61
107
38
106
북서남유럽
105.3
78
86
66
85
43
96
동유럽
53.8
54
62
55
92
62
110
남아시아
8.5
18
27
32
49
47
78
중앙·동아시아
106.2
115
169
134
247
166
331
아프리카
1.9
2
3
6
11
9
16
 
한편, 일본의 ‘30년 원자력 발전 비중이 ’19년에 비해 3배 이상 확대되는 것은 기저효과에 따른 것으로서, ’1024.8%에 달했던 일본의 원자력 발전 비중이 후쿠시마 사고 직후 ’121.5%로 낮아진 것에 기인
 
* 일본은 후쿠시마 사고 직후 운영 중이던 전체 원전(54)을 전면 가동 중지한 후, 그 중 21기는 폐로 확정했으며, 나머지 33기 중에서 안전성이 확보된 원전에 한해 순차적으로 재가동하고 있어, 현재 가동 원전은 10기에 불과
 
- 일본의 원전 발전 비중은 (’10) 24.8% (’12) 1.5% (’19) 6.4%로 급격히 하락한 뒤 점차적으로 회복중
 
일본정부가 6차 에너지 기본계획 초안(‘21.7.21 발표)에서 2030년 원자력 발전비중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 2022% ’0030.5%, ’1024.8% 발전비중에 비해서도 여전히 낮은 수치
 
일본정부는 4(’14)·5(’18)·6(‘21년 초안) 에너지기본계획에서 모두 20~22%의 동일한 2030년 원자력 발전비중 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3(’10) 계획에서 제시한 목표치(50%)에 비해서 대폭 감소한 수준임
 
< 일본의 원전 발전비중 변화 >
 
참고로, 국은 9차 전력수급계획에서 ’30년 원자력 발전비중을 일본보다 높은 25%로 제시하는 등 완만하고 점진적인 원전감축을 진행 중임
 
* ’30년 원전 발전 목표 비중 : (한국) 25% > (일본) 2022%
* 한국의 원전 발전 비중 추이 : (’00) 37.8% (’10) 29.9% (’19) 25.2% (’30) 25%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여승배 차관보, 헝가리 방문(9.15.-17.) 결과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